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근대 몽골 법률자료의 들불 관련법의 검토 = An Examination of the Premodern Mongolian Legal Materials on Wildfire-related Regul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wildfire-related clauses of the premodern Mongolian legal materials and based on the analysis, it examines the endeavors the premodern era Mongolian had made in order to prevent wildfire and to conserve nature. The Mongolian’s t...

      This study analyzes wildfire-related clauses of the premodern Mongolian legal materials and based on the analysis, it examines the endeavors the premodern era Mongolian had made in order to prevent wildfire and to conserve nature.
      The Mongolian’s traditional trade is nomadism. Nomadism utilizes nature at it is. In a traditional sense, a nomadic life signifies livestock feeding on the grass of the prairie, which is part of the Mother Nature, and humankind relying on livestock and its by-products. In this respect,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claim that nomadism is the most eco-friendly way of living among the many ways of living that humankind have created. Nature is the life and source of the nomad, who conform to the cyclical system of nature, livestock, and mankind. In order for the nomad’s lives to continue, harmonizing with nature is essential. Because of it, the Mongolian cultivated their unique view of nature, which is to treasure nature and to conserve it. Over the course of history, the Mongolian had put great effort in protecting and conserving nature.
      As a natural consequence, the act of destroying nature had been strictly regulated, and without exception, the premodern legal materials had relevant regulations. Needless to say, the main culprit that leads to destruction of nature is wildfire. It not only consumes plains and forests but also takes away humans, animals, and assets, and the lives of wild animals at once, and it devastates the prairie, thus, a major catastrophe that results in the demolition of foundation of the lives of the nomad. This is why wildfire-related penalties were implemented and heavily regulated as a threat to the safety of the public over the course of the history of Mongolia, The modern Mongolian law follows this tradition in a broader view. This demonstrates how seriously the Mongolian have contemplated the wildfire issue, which still continues in the modern Mongolia. See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wildfire issue is not of the past but of the present. Therefore, analyzing the legal materials and a variety of taboos to prevent wildfire is meaningful not only as a history of law but also as an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the Mongolian’s tradition of protecting nature.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s the premodern Mongol into three periods and analyzes the wildfire-related regulations that were enacted in each period, and examines these regulations have changed and developed with of time and the ways in which the Mongolian had put effort into protect their space of living. The discussion centers on the Mongol empire period(13th to 14th century), the political division period(16th to 17th century), and the ruling of other nations period(18th to 19th century), and the conclusion examines the ways these tradition of the premodern wildfire-related regulations are reflected in the modern legal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전근대 몽골 법률자료에 등장하는 들불 관련 조항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근대 이전 몽골인들이 들불을 막고 자연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가를 살펴본 연구이...

      이 논문은 전근대 몽골 법률자료에 등장하는 들불 관련 조항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근대 이전 몽골인들이 들불을 막고 자연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가를 살펴본 연구이다.
      몽골인들의 전통생업은 유목이다. 유목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이용하는 생업이다. 가축은 대자연의 일부인 초원의 풀을 먹고 자라고, 사람은 가축과 그 부산물에 의존해 살아가는 삶이 고전적 의미의 유목이다. 이런 점에서 유목은 자연에 인위를 가하지 않는 사람이 개발한 생업 중 가장 환경 친화적인 생계방식이라 할 수 있다. 자연과 가축과 인간의 순환체계에 순응하며 살아온 유목민에게 자연은 삶의 터전이요 원천이다. 따라서 유목민들의 삶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자연과의 조화가 필수적이고, 여기에서 자연을 아끼고 보호해야 한다는 몽골인들의 독특한 자연관이 생겨났으며, 역사 속에서 그들은 자연을 보호하고 지키기 위하여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왔다.
      당연하지만 자연을 파괴하는 행위는 엄격하게 규제되었고, 전근대 법률자료에는 예외 없이 이에 관한 규정이 등장한다. 자연을 파괴하는 최대 주범은 뭐라 해도 들불이다. 들불은 초원과 삼림은 물론이고 人畜과 재산,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하는 야생동물의 목숨을 일시에 앗아갈 수 있고, 초원을 황폐화시켜 유목민들의 생존 기반을 허물어버리는 대재앙이다. 몽골사 전시기를 통하여 들불 관련 법률 처벌 조항이 나타나고, 이를 공공의 안전을 해하는 公共危險罪로서 엄격하게 처리하였던 것도 이 때문이다. 근현대 몽골국의 법 또한 큰 틀에서 이 전통을 따르고 있다. 이는 그 만큼 몽골인들이 들불을 심각하게 생각해왔고, 현재도 그렇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런 점에서 들불은 과거사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한 각종 금기와 법률자료에 대한 분석은 法史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음은 물론 몽골인들의 자연보호 전통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이에 필자는 전근대를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에 제정된 법률자료의 들불 관련 조항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들불 관련법이 어떻게 변화 발전해왔는지, 그리고 몽골인들이 삶의 터전을 지키고 보호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기울여왔는지를 검토해보았다. 논의는 몽골제국시대인 13-14세기, 정치분열시기로 일컬어지는 16-17세기, 이민족 지배시기인 18-19세기를 다루고, 결론에서 근현대 법률자료에 전근대 들불 관련법의 전통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チンゲル(靑格力), "「『グゥシ․ハン法典』の成立」-所謂『アルタン․ハン法典』に對する疑問-" 48 (48): 2003

      2 이평래, "전근대 몽골 법전에 등장하는 생태 보호법의 분석 ― 공동체 유지 기능과 관련하여 ―" 동양사학회 (123) : 151-193, 2013

      3 V.A. 랴자노프스키, "시베리아 유목부족의 관습법" 서경문화사 1994

      4 V.A. 랴자노프스키, "몽골의 관습과 법" 혜안 1996

      5 B.Ya. Vladimirtsov, "몽골사회제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0

      6 장룽, "늑대토템 1" 김영사 2004

      7 蘇魯格, "阿勒坦汗法典" (2) : 29-, 1996

      8 牛慧, "蒙古族傳統生態理念與生態保護體制的法理學分析" 402 : 2017

      9 王國維, "蒙古史料四種" 正中書局 1962

      10 二木博史, "白樺法典についで" 21 : 1981

      1 チンゲル(靑格力), "「『グゥシ․ハン法典』の成立」-所謂『アルタン․ハン法典』に對する疑問-" 48 (48): 2003

      2 이평래, "전근대 몽골 법전에 등장하는 생태 보호법의 분석 ― 공동체 유지 기능과 관련하여 ―" 동양사학회 (123) : 151-193, 2013

      3 V.A. 랴자노프스키, "시베리아 유목부족의 관습법" 서경문화사 1994

      4 V.A. 랴자노프스키, "몽골의 관습과 법" 혜안 1996

      5 B.Ya. Vladimirtsov, "몽골사회제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0

      6 장룽, "늑대토템 1" 김영사 2004

      7 蘇魯格, "阿勒坦汗法典" (2) : 29-, 1996

      8 牛慧, "蒙古族傳統生態理念與生態保護體制的法理學分析" 402 : 2017

      9 王國維, "蒙古史料四種" 正中書局 1962

      10 二木博史, "白樺法典についで" 21 : 1981

      11 島田正郞, "淸朝蒙古例の硏究" 創文社 1982

      12 萩原守, "淸朝治下諸地域の法制史に關する硏究" (7) : 2004

      13 島田正郞, "明末淸初モンゴル法の硏究" 創文社 1987

      14 中國社會科學院邊疆史地硏究中心, "回疆則例" 全國圖書館文獻縮微復制中心 1988

      15 奇格, "古代蒙古生態保護法規" 22 (22): 2001

      16 冰梅, "古代蒙古族自然資源保護法律及啓示" 36 (36): 2008

      17 赵雪波, "古代草原法规中的源头保护制度探析" 38 (38): 2018

      18 島田正郞, "北方ユ-ラジア法系の硏究" 創文社 1981

      19 島田正郞, "北方ユ-ラシア法系通史" 創文社 1995

      20 金山, "人與自然和諧的法則-探析蒙古族古代草原生態保護法" 33 (33): 2006

      21 田村實造, "中國征服王朝の硏究" 東洋史硏究會 1971

      22 チョクト, "チンギス․かンの法" 山川出版社 2010

      23 "https://niigmiintoli.mn/?p=11566, Он гарсаар 56 удаа ой, хээрийн түймэр гараадбайна"

      24 "https://ikon.mn/n/ywc, Ой хээрийн түймрийн 96 хувь нь хүний буруутай үйлажиллагаанаас болж гардаг"

      25 "http://www.olloo.mn/n/44186.html, Он гарсаар 127 удаагийн ой хээрийн түймэргарчээ"

      26 李平來, "[알탄칸법전] 연구" 동양사학회 79 : 3-96, 2002

      27 Bastsaikhan, O., "Zarligaar togtooson Mongol ulyn khuul’ züiliin bichig" Soyombo printing 2018

      28 Erdentuyaa, U., "Ugsaatan sudlal. Tomus XVI" 1-23, 2004

      29 Tsibikov, B. D., "Obychnoe pravo selenginskikh buriat" Buriatskoe knijnoe izdatelistvo 1970

      30 Tsibikov, B. D., "Obychnoe pravo khorinskikh buriat: Pamiatniki staromongol'skoi pis'mennosti" Sivirskoe Otdelenie 1992

      31 Bayarsaikhan, B., "Mongɤ olč aɤ aǰ in-ub ičig" Center for Mongol Studies, National Univ. of Mongolia 2004

      32 Bayarsaikhan, B., "Mongolyn tör, erkh züin tüükh(deej bichig) III devter" MUIS-iin Khuul' züin surguul' 2006

      33 Punsag, A., "Mongolchuudyn ulamjlalt tseeriin yos" Tüükhiin khüreelen 2003

      34 Boldbaatar, J., "Mongolchuudyn baigal' orchnoo khamgaalakh zan zanshil, khuul' togtoomjiin khögjiliin tüükhiin toim" 188 (188): 2002

      35 Tserenbal, Gü., "Khökh nuuryn chuulgany tsaazyn bichig" Soyombo printing 2018

      36 Perlee, Kh., "Khalkhyn shine oldson tsaaz erkhemjiin dursgalt bichig, Mongol ba töv aziin ornuudyn soyolyn tüükhend kholbogdokh khoyor khovor survalj bichig, Monumenta Historica, Tom. VI" Shinjlekh ukhaany akademiin khevlel 1-2, 1974

      37 Dylykova, S.D., "Khalkha Djirum, Pamiatnik mongol'skogo peodal'nogo prava XVII v" Izdatel'stvo Nauka 1965

      38 Bayarsaikhan, B., "Khalkh juram(ekh bichgiin sudalgaa) deed"

      39 Gongor, D., "Khalkh Mongolchuudyn övög deedes ba khalkhyn khaant uls(VIII-XII zuun)" Shinjlekh ukhaany akademiin khevlekh gazar 1970

      40 Batbayar, B., "Ikh tsaaz-yn ekh bichgiin sudalgaa" MUIS-iin Khuul' züin surguul' 2008

      41 Dylykova, S.D., "Ikh Tsaaz(Velikoe Ulojenie), pamiatnik mongol'skogo peodal'nogo prava XVII v." Izdatel'stvo Nauka 1981

      42 Boyle, J.A., "Genghis Khan-The History of the World Conqueror" The Univ. of Washington Press 1997

      43 Dashnyam, G., "D. Kh. Perleegiin Mongolchuudyn baigal' khamgaalal, utga soyolyn tüükhend kholbogdokh khoyor büteel" Ündesnii töv arkhiv 2001

      44 Mongol ulsyn baigal’ orchny yam, "Baigal orchny tukhai Mongol ulsyn khuulud" Orbis 1997

      45 Bira, Sh., "BNMAU-yn tüükh, soyol, tüükh bichlegiin asuudald" Shinjlekh ukhaany akademiin khevlel 1977

      46 陳志强, "<蒙古-衛拉特法典>的生態保護法規及思想述論" (3) : 2009

      47 이평래, "17-18세기 몽골法典에 登場하는 竊盜의 分析" 3 :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KAFMS -> KAM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3 0.50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