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국시대 ‘당항성 전투’의 역사적 실상 =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battle of ‘Danghang castle’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eantime, it has been extreme confusion in the documentary record and researchers' discussions about the battle of ‘Danghang castle(党項城)’ in the Three Kingdoms period(三國時代).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lated historical mate...

      In the meantime, it has been extreme confusion in the documentary record and researchers' discussions about the battle of ‘Danghang castle(党項城)’ in the Three Kingdoms period(三國時代).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lated historical material from the basic point of view, the following history can be depicted.
      In 643, Backje(百濟)'s King Uija(義慈王) pushed the attack on the Danghang castle to block Silla(新羅)'s lines of communication with Dang-China(唐). In order to overcome Silla's defensive network, which was concentrated on the traffic road around the Danghang castle, Backje's King Uija cooperated with the Goguryeo(高句麗), who was monitoring the military and diplomatic trends of Silla at the Han River(漢江) and the Imjin River(臨津江) estuary toward the West Sea(西海), and prepared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rough this, the king Uija tried to raid Danghang castle.
      However, at the time when the three countries' secret war plans fiercely developed, such preparations had the adverse effect of releasing relevant information to Silla. Although Silla had already dispatched an envoy to Dang-China to ask for salvation, Silla sent another envoy to Dang-China to announce it. The delegation seemed to have delivered relevant information to Dang-China in November 643. And, as Baekje became aware of the information leak, the king Uija, who mobilized troops to attack Danghang castle in November 643, seemed to have stopped the attack, judging that the raid(surprise attack) was no longer possible. In other words, the king's attack discontinuance on Danghang castle was based on his own military strategic judgment, not on Baekje's relationship with Dang-China. Here, a part of Baekje foreign policy is revealed in this period.
      At that time, Baekje had been pushed foreign policies that pursued both ‘goodwill against China’ and ‘attack on Silla’. In this context, cooperation with Koguryo seems to have been maintained at the level of ‘strategic cooperation’ rather than ‘military alliance’.
      In the later days, Dang-China criticized Baekje for having had duplicity, but it was Baekje's foreign policy to maximize the security and purpose of self- country at that time. This was the result of inheriting his father's ‘two-way policy(兩端策)’. The reason why Baekje was able to use this foreign policy seems to be that it did not assume that the Dang-China could directly penetrate across the sea, believing different geographical advantages from Goguryeo as King Dang-China Taejong(唐 太宗)'s commentary in 643.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삼국시대 ‘당항성 전투’와 관련해선 문헌기록 및 연구자들의 논의 상에서 극심한 혼란이 빚어져왔던바, 관련 자료를 기초적인 측면에서 재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역사상을 그려...

      그동안 삼국시대 ‘당항성 전투’와 관련해선 문헌기록 및 연구자들의 논의 상에서 극심한 혼란이 빚어져왔던바, 관련 자료를 기초적인 측면에서 재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역사상을 그려볼 수 있었다.
      643년 백제 의자왕은 신라의 대당교섭을 차단하고자 당항성 공격을 추진했던바, 무엇보다 당항성 주변 교통로 상에 밀집되어있던 신라의 방어망을 돌파하려면 상당기간의 준비와 함께 당시 한강 및 임진강 하구∼서해상에서 신라의 군사·외교 동향을 감시하던 고구려와의 공조가 필수적이었다. 이에 의자왕은 고구려와 ‘화친’해 고구려의 전략적 협조를 이끌어내는 한편, 자체의 준비를 거쳐 당항성을 ‘급습’하려 하였다. 그러나 당시 삼국 간 첩보전이 치열하게 전개되던 상황에서 상당 기간의 준비는 관련 정보가 신라로 유출되는 역효과를 낳았고, 이에 신라 조정은 이미 643년 9월 구원 요청을 위해 입당한 견당사가 귀국하지 않았음에도 재차 견당사를 파견하였다. 해당 견당사는 같은 해 11월 입당해 당에 관련 정보를 전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 유출 사실이 백제에 알려지면서 643년 11월 당항성 공격을 위해 병력을 동원한 의자왕은 더 이상 ‘전격 작전’이 불가능해졌다고 판단하고, 공격을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 즉, 의자왕의 당항성 공격 중단은 자체의 군사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이었을 뿐, 당과의 관계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니었다. 여기서 이 시기 백제 대외정책의 일단이 드러난다.
      당시 백제는 ‘대당 친선’과 ‘대신라공세’를 동시에 추구하는 대외정책을 구사하고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고구려와의 공조 역시 ‘군사동맹’이 아닌 ‘전략적 협력’ 수준에서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뒷날 중국 측 사서에서는 “百濟懷二”라는 프레임을 덧씌웠지만, 실상 이는 자국의 안위와 목적을 극대화하고자 했던 당시 백제의 대외정책이었다. 이는 의자왕이 父王 무왕의 ‘양단책’을 계승한 결과였다고 여겨진다. 아울러 백제가 이러한 대외정책을 구사할 수 있었던 요인은, 643년 당 태종의 논평처럼 고구려와 다른 지리적 이점을 믿고 당이 바다를 건너 자국을 직접 침입할 수 있다는 상정을 하지 않았던 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보돈, "金春秋의 外交活動과 新羅 內政" 20 : 1993

      2 주보돈,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사계절 2014

      3 정동준, "의자왕대 백제에 대한 당의 인식 변화 — 외교문서의 분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5) : 31-63, 2016

      4 문안식, "의자왕 전반기의 신라 공격과 영토확장" 23 : 2004

      5 최희준, "신라 ‘党項城’의 연혁과 善德王代 羅唐關係" 한국고대학회 (47) : 59-88, 2016

      6 김수태, "삼국의 외교적 협력과 경쟁 - 7세기 신라와 백제의 외교전을 중심으로-" 신라문화연구소 (24) : 23-38, 2004

      7 강종훈,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사료 계통과 그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2) : 79-102, 2006

      8 김진한, "보장왕대 고구려의 대당관계 변화와 그 배경" 고구려발해학회 39 : 97-124, 2011

      9 박윤선, "백제 국제관계사 연구동향과 시기구분 시론" 백제학회 (13) : 47-91, 2015

      10 윤선태,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2007

      1 주보돈, "金春秋의 外交活動과 新羅 內政" 20 : 1993

      2 주보돈,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사계절 2014

      3 정동준, "의자왕대 백제에 대한 당의 인식 변화 — 외교문서의 분석을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55) : 31-63, 2016

      4 문안식, "의자왕 전반기의 신라 공격과 영토확장" 23 : 2004

      5 최희준, "신라 ‘党項城’의 연혁과 善德王代 羅唐關係" 한국고대학회 (47) : 59-88, 2016

      6 김수태, "삼국의 외교적 협력과 경쟁 - 7세기 신라와 백제의 외교전을 중심으로-" 신라문화연구소 (24) : 23-38, 2004

      7 강종훈,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사료 계통과 그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2) : 79-102, 2006

      8 김진한, "보장왕대 고구려의 대당관계 변화와 그 배경" 고구려발해학회 39 : 97-124, 2011

      9 박윤선, "백제 국제관계사 연구동향과 시기구분 시론" 백제학회 (13) : 47-91, 2015

      10 윤선태,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2007

      1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2 방용철, "麗・濟 連和說의 재검토" 민족문화연구소 (62) : 277-314, 2016

      13 이호영, "麗·濟連和說의 檢討" 9·10 : 1982

      14 최호원, "高句麗 寶藏王代 對新羅關係와 認識" 고구려발해학회 50 : 193-219, 2014

      15 "資治通鑑"

      16 "舊唐書"

      17 "维基文库"

      18 박주선, "百濟 義慈王代의 신라 고립책과 對倭관계" 61 : 2015

      19 "漢川草蘆"

      20 "新唐書"

      21 주보돈, "文館詞林에 보이는 韓國古代史 관련 外交文書" 15 : 1992

      22 "影印古籍資料"

      23 "唐會要"

      24 정효운, "古代韓日關係史の硏究" 立命館大学校 1993

      25 권덕영, "古代韓中外交史" 일조각 1997

      26 "冊府元龜"

      27 "中華民國 中央硏究院·歷史言語硏究所 漢籍電子文獻資料庫"

      28 "三國遺事"

      29 "三國史記"

      30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전사』3 중세편 고구려사"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31 임기환, "『쟁점 한국사』 전근대편" 창비 2017

      32 강종훈, "『晉書』 慕容皝載記와 『資治通鑑』 晉穆帝紀 所載 ‘百濟’ 관련 기사의 사료적 가치" 대구사학회 121 : 1-41, 2015

      33 임기환, "「삼국사기」 백제본기 대외관계 기사의 재구성 시론-지명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52) : 275-312, 2008

      34 전덕재, "<三國史記> 百濟本紀 記錄의 基本原典과 改撰" 호서사학회 (80) : 149-192, 2016

      35 황보경, "7세기 초 삼국의 정세와 당항성 전투 의의"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6) : 135-172, 2015

      36 최현화, "7세기 중엽 羅唐關係에 관한 考察" 한국사학회 (73) : 25-55, 2004

      37 박윤선, "7세기 전반 삼국의 역관계와 백제의 대당외교 - 백제의 입장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27) : 3-33, 2007

      38 정동준, "7세기 전반 백제의 대외정책" 한국역사연구회 (46) : 37-72, 2002

      39 김영하, "7세기 동아시아의 정세와 전쟁 -신라의 백제 통합과 관련하여-" 신라사학회 (38) : 1-38, 2016

      40 김지영, "7세기 고구려와 백제 관계의 변화" 인문학연구원 (32) : 99-132, 2016

      41 주보돈, "7世紀 羅唐關係의 始末" 영남문화연구원 (20) : 131-172, 2011

      42 노중국, "7世紀 新羅와 百濟와의 關係" 2010

      43 윤성환, "6세기 말∼7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연구 - 단계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 서울역사편찬원 (79) : 5-51, 2011

      44 윤성환, "624~642년 고구려의대당(對唐)외교와 정국동향" 동북아역사재단 (59) : 6-62, 2018

      45 김영수, "612년 여.수 전쟁과 고구려의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고전번역원 30 (30): 271-304,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0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