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강남춘(江南春)`의 문학적 이미지와 <강남춘도(江南春圖)> = Literary and Pictorial Images of Chinese "Gangnam Spring" in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시대 문인들의 중국 “江南春”에 대한 인식과 강남춘을 형상화한 문학과 회화 이미지가 표상하는 바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중국의 강남은 수려한 산수와 오랜역사, 번화...

      이 논문은 조선시대 문인들의 중국 “江南春”에 대한 인식과 강남춘을 형상화한 문학과 회화 이미지가 표상하는 바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중국의 강남은 수려한 산수와 오랜역사, 번화한 문화와 세속적인 부와 향락을 갖춘 이상적인 공간으로 후대 문인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강남은 지리·행정상의 구체적인 지역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언어와 시각이미지에 의해 만들어진 문화적 관념으로서, 이는 다시 문학과 회화의 강남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강남이라는 공간에 시간 개념이 부여된 “강남춘”은 江南景 가운데서도 가장 애호된 시공간이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중국의 詩文과 地理志, 회화와 연행에서 얻은 정보 등 간접적인 체험과 언어와 시각 이미지가 만들어낸 심상을 통해 “강남의 봄”을 상상하고 자신들의 이상과 심회를 표출했다.
      먼저, 조선시대 강남춘 詩畵에 영향을 끼친 중국의 강남춘 문예의 전통, 특히 明代蘇州 지역 문인들의 「江南春詞」 和韻詩와 江南春圖 제작양상을 살펴보았다. 唐代에 형성된 강남춘 시화의 전통은 명대 소주 지역 문인들에 의해 새로운 단계로 나아갔으며, 원대 倪瓚의 화운시 唱和를 기념하려는 의도에서 강남춘도 제작이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는 초기부터 강남춘과 강남경이 佳麗地의 경관과 歸隱의 이상처로서 선망의 대상이 되었으며, 16-18세기에는 활기차고 평화로운 전원 풍경과 한적하고 쓸쓸한 강변 경관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봄물, 수양버들, 芳洲, 煙霧 등 전통적으로 강남춘의 시공간을 나타내는 모티브들은 조선시대 강남춘 詩畵에 지속적으로 반영되었다.
      조선후기 <강남춘도>는 후기 오파 화가인 杜冀龍의 작품이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강남춘을 노래한 唐宋의 시구를 畵題로 한 詩意圖로도 그려졌다. 이하곤, 김성하, 김광수, 강세황, 심사정, 김광국, 이인상 등 명대 강남 문화에 경도되었던 인물들이 제작과 감상을 주도한 것은 주목을 요한다. 강남춘의 시각 이미지는 고즈넉하고 쓸쓸한 강변풍경에서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활기찬 경관으로 변화했으며, 물가의 작은 亭子는 점차 주택구조의 주거 공간으로 변모했고, 閑談, 釣魚, 觀水, 遊覽 등 閑寂한 문인생활을 즐기는 인물 표현이 추가되어 市隱의 공간처럼 변해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clarify what literary and pictorial images created by literati and painters in the Joseon Dynasty symbolize Chinese “Gangnam Spring(Gangnamchun, 江南春).” Gangnam in China is an ideal place with its beautiful scenery, long h...

      This thesis aims to clarify what literary and pictorial images created by literati and painters in the Joseon Dynasty symbolize Chinese “Gangnam Spring(Gangnamchun, 江南春).” Gangnam in China is an ideal place with its beautiful scenery, long history, flourishing culture, secular riches and pleasures, and has been loved by literati in the later times. Gangnam indicated a geographic and administrative area specifically but also was a cultural notion created by language and visual images, which again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angnam image in literature and painting. “Gangnam Spring” where time concept is applied to Gangnam, it is the most favored space-time among “Gangnam View(Gangnamkyoung, 江南景).”
      The literati of the Joseon Dynasty imagined Gangnamchun and expressed their ideals and emotions through the images created by their indirect experiences with Chinese poetry, geographical documents, paintings, and information from diplomatic mission to Beijing. The understanding and envy of Gangnamchun, which was an imaginary space-time that could not be experienced, is possible by studying the images of Gangnamchun that is reflected in literature and visual images.
      First, the tradition of Chinese Gangnamchun literature, which influenced the poetry and paintings of Gangnamchun in the Joseon Dynasty was studied with the particular focuses on the Gangnamchun literature and paintings by the literary artists of Suzhou area in the Ming Dynasty. The tradition of Gangnamchun poetry and painting was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and was developed into the new phase by Suzhou literary artists in the Ming Dynasty. Moreover, the Gangnamchun paintings were created to commemorate verses in response following the rhymes used by Ni Zan of Yuan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Gangnamchun and Gangnamkyoung became the object of envy as the ideal place of beautiful and graceful view and as the place for a recluse from the early time. It was often considered as a lively and peaceful countryside and also as a solitary and quiet scenery near the river in 16-18 centuries. The traditional motifs representing the space-time of Gangnamchun such as spring water, weeping willow, beautiful waterside land, fog, and spring flowers were continuously reflected in the poems of Gangnamchun during the Joseon Dynasty. Paintings of Gangnamchun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work of Du Jilong(杜冀龍), a Wu School painter, and was also portrayed in paintings by poems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Lee Hagon, Kim Seongha, Kim Gwangsu, Gang Sehwang, Shim Sajeong, Kim Gwangguk, and Ri Insang, who were strongly influenced by Gangnam culture, led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the Gangnamchun paintings. The visual image of Gangnamchun is changed from the secluded riverside scenery with the vast stretches of water to the animated view with the harmony of nature and humans. Furthermore, the small pavilion near the water were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residential area with housing structures, and it became like the secluded space of the city with the expression of literati`s lifestyle of tranquility such as a leisurely conversation, fishing, enjoying the water view, and sightsee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