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리지를 이용한 조선시대 교량의 특성 연구 = Characteristics of Bridge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Seen through the Geographical Descri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63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량은 지형적 장애요소를 극복하고 도로를 이어주는 중요한 교통시설인 동시에, 문학과 그림의 소재가 될 정도로 시대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담은 상징물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

      교량은 지형적 장애요소를 극복하고 도로를 이어주는 중요한 교통시설인 동시에, 문학과 그림의 소재가 될 정도로 시대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담은 상징물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학을 제외한 분야에서는 교량, 특히 옛 교량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이 거의 없는 형편이었으며, 그가장 큰 이유로는 옛 교량에 대한 연구 자료의 부족을 들 수 있다. 그렇지만 조선시대에도 교량은 지역의 중요한 기반시설이었기 때문에, 지역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기록한 지리지에는 각 군현의 교량의 숫자, 위치 등이 기재되어 있어 당시 교량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조선시대 간행된 『新增東國輿地勝覽』,『輿地圖書』, 『大東地志』 등 3종의 지리지에 수록되어 있는 교량 관련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량의 분포상황을 분석하여 그 지역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교량의 명칭?위치?형식 등의 특징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교량은 각 지역의 자연환경과 인구, 교통 등 사회경제적 조건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량의 특성에 대한 고찰은 조선시대 각 지역의 지역성 파악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금까지의 교량 연구가 정성적인 연구에 치우쳐 있었던 데 비해, 본 연구는 교량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ridge was not only an important transportation facility overcoming topographical obstacles and linking roads, but also a cultural and historical symbol of a region or an age, even becoming sources of literature and art.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

      Bridge was not only an important transportation facility overcoming topographical obstacles and linking roads, but also a cultural and historical symbol of a region or an age, even becoming sources of literature and art.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few academic studies on bridges of the past in disciplines other than engineering. That’s mainly because of a lack of documents related to bridges of the past. However, as bridges were important infrastructures of regions also in Joseon Dynasty, geographical descriptions in which regional facts are comprehensively recorded contain the number and location of bridges in individual counties(gunhyon), making it possible to comprehensively figure out the conditions of bridges back then.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database of contents related to bridges contained in 〈Sinjeungdonggookyeojise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Yeojidoseo (輿地圖書)〉, and 〈Daedongjiji (大東地志)〉, 3 geographical descriptions published in Joseon Dynasty, and analyze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bridges using this database. Then, based on this analysis, it searched ou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and examined traits of bridges such as their names, locations, and shapes. As a result, it can be known that the traits of bridges reflect socioeconomic conditions of each region such as natural environment, population, and transportation. Thus, a study on the traits of bridges could be a key to figure ou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during Joseon Dynasty. Plu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unlike previous studies on bridges which were rather qualitative, it tried a quantitative study on brid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조선시대 지리지의 교량에 대한 기록
      • 3. 조선시대 교량의 지역적 분포
      • 4. 조선시대 교량의 특징
      • 국문요약
      • 1. 머리말
      • 2. 조선시대 지리지의 교량에 대한 기록
      • 3. 조선시대 교량의 지역적 분포
      • 4. 조선시대 교량의 특징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준, "한국의 옛길-영남대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2 반영환, "한국의 옛 다리" 25 (25): 1977

      3 황학주, "한국의 橋梁史에 관한 연구" 24 (24): 1976

      4 정찬묵, "한국의 古橋梁에 관한 연구" 11 : 2006

      5 김기혁, "한국역사지리" 푸른길 2011

      6 손영식, "한국 고교량의 특징" 2 (2): 1980

      7 김종혁, "조선후기의 대로" 역사문제연구소 (69) : 359-383, 2004

      8 김종혁, "조선후기 한강유역의 교통로와 시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9 오재택, "우리의 옛 다리" 반석기술 2009

      10 정충식, "우리나라의 옛 다리에 관한 소고" 1 : 1982

      1 최영준, "한국의 옛길-영남대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2 반영환, "한국의 옛 다리" 25 (25): 1977

      3 황학주, "한국의 橋梁史에 관한 연구" 24 (24): 1976

      4 정찬묵, "한국의 古橋梁에 관한 연구" 11 : 2006

      5 김기혁, "한국역사지리" 푸른길 2011

      6 손영식, "한국 고교량의 특징" 2 (2): 1980

      7 김종혁, "조선후기의 대로" 역사문제연구소 (69) : 359-383, 2004

      8 김종혁, "조선후기 한강유역의 교통로와 시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9 오재택, "우리의 옛 다리" 반석기술 2009

      10 정충식, "우리나라의 옛 다리에 관한 소고" 1 : 1982

      11 윤용혁, "백제 熊津橋에 대하여: 공주의 다리 1" 7 : 1994

      12 "輿地圖書"

      13 "與猶堂全書"

      14 "磻溪隨錄"

      15 황학주, "橋梁史-(3)" 43 (43): 1995

      16 황학주, "橋梁史-(2)" 43 (43): 1995

      17 황학주, "橋梁史-(1)" 43 (43): 1995

      18 "月沙集"

      19 "新增東國與地勝覽"

      20 "大東地志"

      21 朴齊家, "北學議" 을유문화사 1971

      22 고승희, "19세기 함경도 商業都會의 성장" 조선시대사학회 (21) : 137-170, 2002

      23 "1972년 地方地圖"

      24 강석화, "18세기 함경도 지역의 개발과 사족" 35 : 1996

      25 고승희, "18, 19세기 함경도 지역의 유통로 발달과 상업활동" 151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