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송미술관 소장 《삼청첩(三淸帖)》의 역사성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Historicity of 《Three Purities Album (三淸帖)》 in the Kansong Art Muse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5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간송미술관 소장 《삼청첩》은 조선 중기 문인 화가인 탄은(灘隱) 이정(李霆)이 매화, 난초, 대나무를 그리고, 시를 지어 함께 장첩한 시화첩(詩畵帖)이다. 조선 묵죽화의 전범(典範)을 세운 ...

      간송미술관 소장 《삼청첩》은 조선 중기 문인 화가인 탄은(灘隱) 이정(李霆)이 매화, 난초, 대나무를 그리고, 시를 지어 함께 장첩한 시화첩(詩畵帖)이다. 조선 묵죽화의 전범(典範)을 세운 화가로 평가받는 이정의 시화(詩畵)를 한 곳에서 감상할 수 있다는 점만으로도 《삼청첩》의 미술사적 가치는 매우 높다. 그러나 《삼청첩》의 가치는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삼청첩》의 이력(履歷)이라 할 수 있는 제작배경, 성첩(成帖)과정, 전래시말 등에는 제작 당시의 시대상은 물론, 통시대적인 다양한 역사상들이 투영되어 있다.
      《삼청첩》은 이정이 임진왜란시 왜적에게 칼을 맞는 수난을 겪은 후, 필생의 역작을 남기려는 의도 하에 만들어졌다. 이후 최립(崔凌), 차천로(車天輅), 한호(韓濩) 등 시서(詩書) 각 분야에서 당대 최고의 성가를 구가하던 문인들이 동참하여 성첩되었다. 그리고 유근(柳根), 이안눌(李安訥), 유몽인(柳夢寅) 등이 찬문과 제시를 지어 상찬하였다. 그야말로 ‘일대교유지사(一代交遊之士)’가 동참하여 만들어낸 ‘일세지보(一世之寶)’였던 것이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삼청첩》은 이정 개인의 작품을 넘어 조선 중기 문예의 지향과 역량이 한 자리에 모인 종합예술품이며, 조선 중기 문화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삼청첩》은 이정이 세상을 뜬 후, 선조의 부마인 홍주원(洪柱元)에게 넘어갔고, 병자호란 시 소실(燒失)될 위기를 겪는다. 현재까지도 그때의 화흔(火痕)이 역력하게 남아 있어, 당시의 급박한 상황을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다. 호란이 끝나고 홍주원은 동서(同壻)인 윤신지(尹新之)의 도움으로 훼손된 일부 제발문(題跋文)들을 복원하였고, 이후 풍산 홍씨(豊山洪氏) 집안에서 7대를 이어가며 가보(家寶)로 전해진다. 홍중기(洪重交)의 요청에 의해 쓰여진 송시열(宋時烈)의 발문과 홍상한(洪象漢)의 요청에 의해 쓰여진 어유봉(魚有鳳)의 발문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정 생존시 문인들이 이정과 《삼청첩》의 지닌 작품성에 대해 상찬한 것과는 달리 후대 문인들의 글은 《삼청첩》의 전래과정과 그와 관련된 인물들에 초점을 두고 있어 대조적이다. 후대의 문인들은 《삼청첩》 자체의 작품성보다는 그에 얽힌 일화와 그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흥미를 느끼고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삼청첩》을 다시 복원한 홍주원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는 《삼청첩》의 소장자로 글을 부탁한 홍주원의 후손들인 홍중기, 홍상한 등의 정치적, 사회적 입지를 강화시켜 주고자 하는 의도가 없지 않을 것이다. 홍주원의 후손들에게는 《삼청첩》이 가문의 조상을 추숭(追崇)하는 기재인 동시에, 정치적 정통성과 가격(家格)을 담보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미술품의 미적 가치 못지않게 그 안에 내재된 역사성을 중시했던 동아시아 특유의 예술 인식의 근인(根因)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삼청첩》은 조선 말기 외세 침탈의 와중에서 일본인 츠보이 코우소(坪井航三)에게 넘어가는 비운을 맞게 된다. 다행히도 일제시기 심혈을 기울여 우리 문화재를 수호했던 전형필(全鎣弼)이 이를 되찾아왔고, 현재 간송미술관에 수장되어 전해오고 있다.
      《삼청첩》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일제 침탈로 이어지는 조선시대 국난과 이를 극복하는 과정이 그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으며, 우리 문화재의 수난과 보존의 역사를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인산, "조선중기 수묵문인화 연구 - 四君子畵를 중심으로 -" 미술사학연구회 28 (28): 157-184, 2007

      2 백인산, "조선시대 묵작화 연구" 동국대학교 2005

      3 이선옥, "조선시대 매화도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4

      4 李德溫, "龜村集"

      5 高松, "高松竹譜" 中華書畵出版社 1979

      6 中國道敎協會, "道敎大辭典" 華夏出版社 1994

      7 洪錫熹, "豊山洪氏族譜" 豊山洪氏族譜所 1962

      8 崔岦, "簡易集"

      9 尹新之, "玄洲集"

      10 徐潤慶, "灘隱 李霆(1554~1626)의 회화연구-묵죽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99

      1 백인산, "조선중기 수묵문인화 연구 - 四君子畵를 중심으로 -" 미술사학연구회 28 (28): 157-184, 2007

      2 백인산, "조선시대 묵작화 연구" 동국대학교 2005

      3 이선옥, "조선시대 매화도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4

      4 李德溫, "龜村集"

      5 高松, "高松竹譜" 中華書畵出版社 1979

      6 中國道敎協會, "道敎大辭典" 華夏出版社 1994

      7 洪錫熹, "豊山洪氏族譜" 豊山洪氏族譜所 1962

      8 崔岦, "簡易集"

      9 尹新之, "玄洲集"

      10 徐潤慶, "灘隱 李霆(1554~1626)의 회화연구-묵죽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999

      11 白仁山, "灘隱 李霆 硏究" 58 : 2000

      12 崔完秀, "澗松 先生 評傳" 한국민족미술연구소 41 : 1991

      13 洪奭周, "淵泉集"

      14 李安訥, "東岳集"

      15 白仁山, "朝鮮의 墨竹" 2007

      16 柳夢寅, "於于集後集"

      17 白仁山, "宣祖年間 文人畵 三絶-黃執中, 李霆, 魚夢龍" 65 : 2003

      18 宋時烈, "宋子大全"

      19 黃堅, "古文眞寶 全集" 을유문화사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