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正趣菩薩 信仰과 正趣菩薩圖 - 보타락가산 신앙의 또 다른 측면-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일본과 달리 한국 고려시대의 보타락가산 신앙은 관음신앙과 함께 정취신앙도 그 한 축을 이루고 있었다. 양양 낙산사에 대한 『삼국유사』 기록을 비롯하여 진주 용암사의 관음보살...

      중국, 일본과 달리 한국 고려시대의 보타락가산 신앙은 관음신앙과 함께 정취신앙도 그 한 축을 이루고 있었다. 양양 낙산사에 대한 『삼국유사』 기록을 비롯하여 진주 용암사의 관음보살상과 정취보살상 조성 기록은 고려 보타락가산 신앙의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관음보살상과 함께 정취보살상이 봉안된 양양 낙산사와 진주 용암사는 관음보살의 상주처이자 정취보살과 선재동자의 만남의 장소인 보타락가산이 고려화한 곳이었다. 관음신앙과 정취신앙이 결합된 보타락가산 신앙이 고려에서 뿌리를 내릴 수 있었던 데에는 중국의 송대에 성립하여 고려에 유입되고 성행하였던 선재동자역참도(善財童子歷參圖) 류의 서적이 크게 작용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선재동자역참도 류의 서책이 고려에 유입되었을 개연성은 의천의 『대각국사문집』과 『원종문류』의 기록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려와 똑같이 선재동자역참도 류가 성행하였지만 정취신앙이 성립되었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은 중국의 송대나 일본의 겸창기(鎌倉期)와 달리 고려에서 정취신앙이 관음신앙과 결합하여 독특한 보타락가산 신앙을 이룬 배경에는 이통현의 지비일체론(智悲一體論) 등의 주장에 호의적인 고려 화엄학승들의 역할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필자는 고려 정취신앙을 반영한 현존 미술품으로서 일본 경도(京都) 천초사(淺草寺)의 <정취보살도>를 새로이 제시하였다. 물가에 선 선재동자로부터 그림의 배경이 보타락가산이며, 보살의 보관에 안치된 화불, 두 손에 쥔 버들가지와 정병 등의 도상으로부터 관음보살도로 판단되었던 그간의 주장들에 반해, 입상이라는 자세, 물방울 모양의 광배, 물 또는 허공처럼 아무 것도 없는 배경 등으로부터 오히려 보타락가산의 정취보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 것이다. 고려에서 성행한 이후 조선 후기 17세기까지 명맥을 이어가던 정취신앙은 조선 후기 18세기 이후에는 거의 사라져 버린 듯하다. 낙산사와 용암사에 봉안되었던 정취보살상은 모두 회신하여 지금은 단 한 점의 정취보살상도 유존하지 않게 되었으며, 자비의 상징인 관음보살과 지혜의 상징인 정취보살이 서로 보완하여 지비일체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하였던 고려의 보타락가산 신앙은 지혜를 잃고 자비만 남긴 불완전한 신앙으로 남게 되었다. 천초사 입상 정취보살도의 재발견은 정취보살의 존명 회복을 통해 관음과 정취의 지비회통(智悲會通)을 추구하였던 한국 보타락가산 신앙을 완전하게 복원하는 작업이었으며, 좌상 수월관음도와 입상 정취보살도가 하나의 세트를 이룸은 완전한 보타락가산 보살도의 완성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like in China and Japan, the Ananyagāmin faith, along with the Avalokiteśvara faith, constituted an additional pillar of the Mount Potalaka faith during the Goryeo period in Korea. Historical records on Naksan-sa Temple in Yangyang in the Samguk y...

      Unlike in China and Japan, the Ananyagāmin faith, along with the Avalokiteśvara faith, constituted an additional pillar of the Mount Potalaka faith during the Goryeo period in Korea. Historical records on Naksan-sa Temple in Yangyang in the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nd records on the creation of the statues of Avalokiteśvara and Ananyagāmin at Yongam-sa Temple in Jinju are clear illustrations of the nature of the Mount Potalaka faith of the Goryeo period. Statues of Ananyagāmin are enshrined together with those of Avalokiteśvara in both Naksan-sa Temple and Yongam-sa Temple; and Naksan-sa Temple is situated on Naksan Mountain (Korea’s Mount Potalaka) – the point of encounter between Ananyagāmin Bodhisattva and Sudhana, and the place wher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s believed to live. Books like The Pilgrimage of Sudhana, written during China’s Song Dynasty and transmitted to and subsequently widely read throughout Goryeo, paved the way for the Mount Potalaka faith, which combined the Ananyagāmin and Avalokiteśvara faiths, to embed itself firmly within Goryeo’s culture. However, as the aforementioned books have not survived to the present day in Korea, records in books written by Uicheon, such as the Collected Writings of the State Preceptor Daegak or Wonjong mullyu (A book of collected writings and commentaries by the Hwaeom masters), serve instead as a testament to the plausibility of their introduction during the Goryeo period. The open and embracing attitude of Goryeo-era Hwaeom masters towards such ideas as Li Tongxuan’s theory on the “oneness of wisdom and compassion” may have contributed to the unique nature of the Mount Potalaka faith, which combines the Ananyagāmin and Avalokiteśvara faiths and is distinct from that of China’s Song Dynasty or Japan’s Kamakura Period - where The Pilgrimage of Sudhana and similar books were just as widely read as in Goryeo, but where no signs or traces of the Ananyagāmin faith are to be found. This study newly suggests that the <Painting of Ananyagāmin Bodhisattva> in Senso-ji Temple, Kyoto, Japan is a surviving artwork that reflects the Ananyagāmin faith of the Goryeo perio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certain symbols within the painting, such as the representation of Sudhana standing by the water, the nirmāna-buddha on the Bodhisattva’s crown, the willow branch and the kuṇḍika in both his hands, it is a painting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n Mount Potalaka. Conversely, this study has determined that it is more likely that the painting portrays Ananyagāmin Bodhisattva, judging from the Bodhisattva’s standing posture and droplet-shaped halo, and a backdrop that is seemingly filled with water or a complete void. The Ananyagāmin faith was widely held and taught throughout the Goryeo period and up until the latter days of the Joseon period in the seventeenth century. No traces of the faith’s continued existence beyond eighteenth-century Joseon can be found anywhere. The Ananyagāmin statues preserved at Naksan-sa Temple and Yongam-sa Temple - at one time the last two remaining statues of Ananyagāmin in the country - were destroyed. The Mount Potalaka faith of Goryeo, which focused on the accomplishment of a state of harmony, or “oneness”, between wisdom (Ananyagāmin Bodhisattva) and compassio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urned into an imperfect faith with only one of its two pillars - compassion - surviving intact. The rediscovery of the painting of a standing Ananyagāmin Bodhisattva in Senso-ji Temple restored the dignity of Ananyagāmin Bodhisattva and in effect provided the momentum for the full restoration of Korea’s Mount Potalaka faith, which believed in the harmony between Avalokiteśvara and Ananyagāmin, or between wisdom and compassion. The newly discovered painting of Ananyagāmin forms a complete set with the painting of Avalokiteśvara sitting on a diamond, which, when put together, create a complete painting of Bodhisattvas in Mount Potalak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화엄경 입법계품과 관음ㆍ정취 신앙
      • 3. 善財童子歷參圖의 유포와 관음ㆍ정취보살도
      • 4. 고려의 正趣菩薩圖: 일본 淺草寺 보살도의 존명 再考
      • 국문초록
      • 1. 서론
      • 2. 화엄경 입법계품과 관음ㆍ정취 신앙
      • 3. 善財童子歷參圖의 유포와 관음ㆍ정취보살도
      • 4. 고려의 正趣菩薩圖: 일본 淺草寺 보살도의 존명 再考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韓繼禧, "洛山寺記"

      2 "洛山寺事跡(襄州地密記)"

      3 奈良六大寺大觀刊行會, "奈良六大寺大觀 卷11" 岩波書店 1972

      4 김정희, "한국의 千手觀音 信仰과 千手觀音圖" 한국정토학회 (17) : 149-196, 2012

      5 김호성, "천수경의 새로운 연구" 민족사 2006

      6 정각, "천수경연구" 운주사 1996

      7 김천학,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3 : 151-188, 2010

      8 임상희, "이통현의 화엄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용진, "대각국사 의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5

      10 황금순, "낙산(洛山)설화와 고려수월관음도, 보타산 관음도량" 불교학연구회 18 : 93-118, 2007

      1 韓繼禧, "洛山寺記"

      2 "洛山寺事跡(襄州地密記)"

      3 奈良六大寺大觀刊行會, "奈良六大寺大觀 卷11" 岩波書店 1972

      4 김정희, "한국의 千手觀音 信仰과 千手觀音圖" 한국정토학회 (17) : 149-196, 2012

      5 김호성, "천수경의 새로운 연구" 민족사 2006

      6 정각, "천수경연구" 운주사 1996

      7 김천학,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3 : 151-188, 2010

      8 임상희, "이통현의 화엄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용진, "대각국사 의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5

      10 황금순, "낙산(洛山)설화와 고려수월관음도, 보타산 관음도량" 불교학연구회 18 : 93-118, 2007

      11 김흥삼, "나말려초 굴산문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2

      12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동문선 Ⅵ 書記"

      13 黃金順, "高麗 水月觀音圖에 보이는 『40華嚴經』 영향" 미술사연구회 (17) : 2003

      14 田中一松, "額裝本華嚴經五十五所會について(上)" 173 : 1954

      15 朴世敏, "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保景文化社 1993

      16 朴全之, "靈鳳山龍岩寺重創記"

      17 申楫, "關東錄下"

      18 李時善, "關東錄"

      19 南孝溫, "遊金剛山記"

      20 杜斗城, "西秦佛敎述論" 13 : 2000

      21 박은경, "西日本 지역 한국의 불상과 불화" 민족문화 2008

      22 法藏, "華嚴經探玄記"

      23 石田尙豊, "華嚴海會善知識曼茶羅圖" 155 : 1964

      24 石田尙豊, "華嚴海會善知識曼茶羅圖" 11 : 1972

      25 石田尙豊, "華嚴五十五所繪卷" 11 : 1972

      26 石田尙豊, "華嚴五十五所繪" 11 : 1972

      27 殷 博, "莫高窟第85窟善財童子五十三參初探" 144 : 2014

      28 梁尉英, "莫高窟第464窟善財五十三參變" 49 : 1996

      29 義天, "至本國境上乞罪表"

      30 申用漑, "續東文選"

      31 梅津次郞, "繪卷物叢考" 中央公論美術出版 1968

      32 梅津次郞, "繪卷物叢考" 中央公論美術出版 1968

      33 梅津次郞, "繪卷物叢考" 中央公論美術出版 1968

      34 李通玄, "略釋新華嚴經修行次第決疑論"

      35 藤原裕二, "淺草寺所藏<水月觀音像」の美術史的位相-高麗佛畵における中國繪畫受容の一側面" 1390 : 2011

      36 申楫, "河陰集"

      37 齊慶媛, "江南式白衣觀音造型分析" 174 : 2014

      38 李時善, "松月齋集"

      39 徐居正, "東文選"

      40 小野玄妙, "東大寺所藏華嚴變相(善財童子繪卷)巧" 145 : 1910

      41 木村淸孝, "李通玄과 普照國師知訥" 2 : 1988

      42 朝鮮總督府內務部地方局, "朝鮮寺刹史料"

      43 李靜杰, "明代佛寺壁畵善財童子五十三參圖像考察" 8 : 2012

      44 田中一松, "日本繪卷物集成 1" 雄山閣 1929

      45 田中一松, "日本繪卷物集成 1" 雄山閣 1929

      46 相見香雨, "新出現の宋拓華嚴入法界品善財參問變相經について" 15 : 1954

      47 章衡, "慧因院敎藏記"

      48 李翥, "慧因寺志"

      49 平田寬, "廣福護國禪寺藏善財童子歷參圖" 33 : 1974

      50 張雪芬, "安岳臥佛院北巖宋代善財童子五十三參浮雕圖像辨識" 10 : 2014

      51 黎方려, "大足北山多寶塔內善財童子五十三參石刻圖像" 49 : 1996

      52 義天, "大覺國師文集"

      53 亘湜, "大聖山淨菴重建記 新等面淨趣菴"

      54 般若, "大方廣佛華嚴經"

      55 佛馱跋陀羅, "大方廣佛華嚴經"

      56 實叉難陀, "大方廣佛華嚴經"

      57 玄奘, "大唐西域記"

      58 義天, "圓宗文類"

      59 百橋明穗, "善財童子歷參圖について(4)" 1025 : 1979

      60 百橋明穗, "善財童子歷參圖について(3)" 1024 : 1979

      61 百橋明穗, "善財童子歷參圖について(2)" 1023 : 1979

      62 百橋明穗, "善財童子歷參圖について(1)" 1022 : 1979

      63 中國佛敎文化硏究所, "善財童子五十三參圖" 中國佛敎文化出版有限公司 1996

      64 聖堅, "佛說羅摩伽經"

      65 惟白, "佛國禪師文殊指南圖讚"

      66 "五相智識頌"

      67 "五大眞言集(諺解)"

      68 韓龍雲, "乾鳳寺及乾鳳寺末寺史蹟" 亞細亞文化社 1977

      69 황금순, "中國과 韓國의 白衣觀音에 대한 考察" 불교미술사학회 18 : 97-129, 2014

      70 捌關, "三門直指"

      71 一然, "三國遺事"

      72 Fontein, Jan, "The Pilgrimage of Sudhana - A study of Gaṇḍavyūha illustrations in China, Japan and Java" Mouton & Co. 1967

      73 Yü, Chün-fang, "The Chinese Transformation of Avalokiteśvar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74 Soper, Alexander, "Four columns from a Chinese temple" Trustees of the Honolulu Academy of Arts 194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태동고전연구 제24집 -> 태동고전연구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6 1.75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