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계(漁溪) 조려(趙旅)의 은둔과 문화경관 = The Eyogye Cho Lyeo and His Secluded Cultural Landsca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1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계 조려 선생의 시작품과 그의 세거지 및 후대에 조성된 문화경관 요소들을 통하여 조선전기 은둔자로서, 선비로서 지켜 나갔던 은둔문화 경관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

      본 연구는 어계 조려 선생의 시작품과 그의 세거지 및 후대에 조성된 문화경관 요소들을 통하여 조선전기 은둔자로서, 선비로서 지켜 나갔던 은둔문화 경관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지로는 그의 세거지였던 원북재, 채미정, 고마암, 묘소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어계집(漁溪集)" 등과 같은 관련 고문헌의 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세거지에 나타난 경관요소의 파악, 그리고 조려의 은둔문화 경관 특정 분석, 시문에 나타난 의경미학의 분석 등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1) 조려는 단종의 폐위와 함께 성균관에서 고향으로 은둔하여 세상과 결별하면서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2) 그의 출처관에 영향을 주었던 인물로는 성균관 동학이었던 류계분, 배중후 등과 생육신으로 교분을 나누었던 원호, 김시습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과 은둔관을 같이 했다. 3) 조려의 은둔이 갖는 의미는 호 '어계'에서처럼 어부로서의 은둔관을 표명한다. 이러한 은둔문화는 독특한 행동양식으로 나타나는데, 행동의 집중화 현상, 절대 은둔의 기행, 산천유람과 풍수지리학의 조예, 은둔의 고집스런 지속성, 실천효행의 유가적 자세 등이 있다.4) 은둔문화의 경관영역을 네 곳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펴본 바, 조려 당대의 은둔문화 경관과 후손과 사람들에 의해 전승되어진 경관전승으로 파악할 수 있다. 5) 시문에 나타난 의경미학을 분석한 결과, 경물로는 식물, 자연요소와 인공요소 등이 있었으며, 표현되어진 주제의식으로는 '유가적 은둔', '아취있는 은둔', '충절의 은둔' 등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ecluded cultural landscapes that were retained by Eyogye Cho Lyeo(漁溪 趙旅) as a recluse or a schola at the early time of Chosun dynasty through his poems, residential site and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ecluded cultural landscapes that were retained by Eyogye Cho Lyeo(漁溪 趙旅) as a recluse or a schola at the early time of Chosun dynasty through his poems, residential site and his successors' landscapes. The study sites were selected such as Wonbukgae(院北齋), Chamijeong(採薇亭), Gomaam (叩馬巖) and his graveyard. In order to do that, Wonbukgae, Chamijeong, Gomaam and his cemetery were selected as studying sites. Also researching methods were used by grasping the landscape elements through reading ancient books such as "Eyogyezip(漁溪集)", field-researching, analyzing characters of his secluded landscapes and interpreting his poem's meaning. This research found that: 1) After Danjong(端宗)'s dethronement, he returned to his home town and never come out to the world again. He wanted to keep fidelity to his king forever. 2) He was affected for his seclusion from many people who were Ryu Gyebun(柳桂芬), Bae Junghu(裵仲厚) as his classmates at Sunggyungwan(成均館). Also Won ho(元昊) and Kim Sisyub(金時習) as members of Sangyuksin(生六臣) affected him for sake of their seclusion. 3) The meaning of his seclusion expressed the notation of seclusion as a fisherman from his pen name as 'Yeogye'. Also this kind culture has very particular behavior such as concentration phenomenon of action, absolute eccentricity of seclusion, tourism of nature and deep knoledge of feng shui, strong persistence of seclusion and confucian practical attitude of filial behavior. 4) The secluded cultural landscape is divided to four regions. They have two types of landscape such as secluded cultural landscape of his lifetime and landscape transmission of his posterity and scholars. 5) The interpretation of his poems and their aesthetic analysis found two characters. His poems were expressed by landscape substance like plants, natural and man-made elements. Their theme was confucian, peaceful and faithful seclus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