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永明延壽의 無心論과 후대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74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종경록』에 나오는 무심(無心)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것이 연수 후대 고려의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과 현대 한국의 퇴옹성철(退翁性徹, 1...

      이 글의 목적은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종경록』에 나오는 무심(無心)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것이 연수 후대 고려의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과 현대 한국의 퇴옹성철(退翁性徹, 1912-1993)에게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우선 무심은 『종경록』 제45권에 집중해서 나온다. 무심은 천태지의와 청량징관이 세운 ‘정혜(定慧)의 안심(安心) 법문’과 대비되는 ‘선종의 무심(無心) 법문’으로 제시된다. 연수에 따르면, 정혜의 안심법문은 불안한 마음을 대치하기 위한 방편적 가르침인 반면, 선종의 무심법문은 대치할 대상과 주체인 마음이 모두 텅 비어 존재하지 않음을 드러내는 가르침이므로, 불안한 마음 그 자체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를 무심합도(無心合道)라고 한다. 무심은 망념분별이 사라짐과 동시에 그에 대한 분명한 자각이 현전한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종경록』의 종지인 일심·진심과 상통한다. 연수의 무심론은 동아시아 불교계에 있어 고려의 보조지눌에게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보조는 그가 세운 3문 중 경절문의 내용을 연수의 무심론에 입각하여 무심합도문(無心合道門)으로 건립하였는데, 이 문의 구조와 내용은 모두 연수 『종경록』 제45권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다만 지눌은 연수 시대에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던 간화선을 무심합도문과 대응시키고 있다. 보조 이후 한국불교계에서 연수의 문헌을 가장 널리 활용한 이는 퇴옹성철이다. 『종경록』에서는, 견성하면 곧장 무심하게 됨을 강조했는데, 퇴옹 역시 이러한 견성과 무심의 관계에 주목하였고, 더 나아가 그에 따른 수증론으로 돈오돈수를 제창하였다. 연수의 돈점론은 근기에 입각하여 돈오돈수를 위주로 삼아 돈오점수를 함께 제시하는 것인데, 보조가 연수의 돈오점수의 견해를 수용한 것에 비해 퇴옹은 연수의 돈오돈수의 관점을 취하는 점이 특징적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n master Yongming Yanshou(永明延壽, 904- 975), who lived in the period of five dynasties China, understood all the dharma through One mind(一心). One mind was used as the same meaning with True mind(眞心). However, his main work, the Zo...

      The Chan master Yongming Yanshou(永明延壽, 904- 975), who lived in the period of five dynasties China, understood all the dharma through One mind(一心). One mind was used as the same meaning with True mind(眞心). However, his main work, the Zongjinglu, explained the opposite term ‘Nomind( 無心)’ as playing a major role besides One mind. ‘No-mind(無心)’ was frequently mentioned in the fascicle forty five among one hundred books of the Zongjinglu and suggested as ‘the dharma door of No-mind(無心法門) in the Chan school(禪宗)’ against ‘the dharma door of pacifying the mind(安心法 門) by meditation and wisdom(定慧)’. He exemplified Tientai Zhiyi(天台智顗)’s Cessation and Observation(止觀) and Qingliang Chengguan(淸涼澄觀)’s Meditation and Wisdom(定慧) for the dharma door of pacifying the mind(安 心法門). And also he regarded those theories as the expedient teaching to treat mind suffering. On the other hand, the dharma door of No-mind in Chan school was the teaching that ‘mind and the subject are vacant and do not exist’, so it did not accept anxious mind. Therefore, Yongming Yanshou insisted that we can be naturally placed on the Way(道) in the state of Nomind. This No-mind theory emphasizes that all deluded thoughts and discriminations disappear and simultaneously it lets us know what it is through the obvious recognition, so it shows the same context of One mind(一心) and True mind(眞心). Bojo Jinul(普照知訥, 1158- 1210) of Gory Korea positively accepted such a theory of No-mind by Yongming Yanshou. The theory of cultivation by the reverend Bojo may be suggested as Three doors. He set up the theory of Mushimhapdomun(無心合道門, the door of entering the Way with No-mind) for Gyongjolmun(徑截門, the path of direct cutting) among Three doors. First of all, the structure emphasizing the dharma door of No-mind of the Chan school which went beyond the limitation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 was to employ the structure of ‘from Meditation and Wisdom(定慧) to No-mind(無 心)’ suggested in the Zongjinglu. Also in its content, we can find out that he tried to establish his own theoretical system as positively quoting the phrases related to No-mind in the fascicle forty five in the Zongjinglu. However, Jinul compared Ganhwa Son(看話禪)that did not appear in the time of Yongming Yanshou with Mushimhapdomun(無心合道門, the door of entering the Way with No-mind). This is the discrepancy between two theories. Meanwhile, the figure who widely used Yongming Yanshou’s literatures after the reverend Bojo in the Korean Buddhism was Toi’ong Songchol(退翁 性徹, 1912-1993). He quoted in detail the phrase especially about Gyonsong(見性, attaining Buddhahood) from the Zongjinglu. In the Zongjinglu, it stressed that ‘if attaining Buddhahood, then we can be No-mind’. He also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yonsong(見性) and Mushim(無心) and then suggested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as the theory of cultivation. Yongming Yanshou’s Sudden and Gradual theory(頓漸論) was to sugges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together as mainly focusing on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according to one’s ability(根機). The reverend Bojo accept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but the reverend Toi’ong followed the view of Yanshou’s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종경록(宗鏡錄)』의 무심론(無心論)
      • 1. 정혜(定慧)의 안심법문(安心法門)
      • 2. 선종의 무심합도(無心合道)
      • 국문 초록
      • Ⅰ. 서론
      • Ⅱ. 『종경록(宗鏡錄)』의 무심론(無心論)
      • 1. 정혜(定慧)의 안심법문(安心法門)
      • 2. 선종의 무심합도(無心合道)
      • Ⅲ. 연수 무심론(無心論)의 후대 영향
      • 1. 보조지눌(普照知訥)의 무심합도문(無心合道門)
      • 2. 퇴옹성철의 무심(無心)과 돈오돈수(頓悟頓修)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마해륜, "작용즉성(作用卽性) 비판으로서의 무심(無心)" 불교학연구회 35 : 61-98, 2013

      2 서명원, "가야산 호랑이의 체취를 맡았다: 퇴옹성철, 이 뭣고?"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3

      3 澄觀, "隨疏演義鈔, 大正藏 36"

      4 澄觀, "華嚴經疏, 大正藏 35"

      5 常盤義伸, "絶觀論" 禪文化硏究所 1973

      6 性徹, "禪門正路" 海人叢林 1981

      7 性徹, "無心論" 백련불교문화재단 2 : 1992

      8 知訥,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韓國佛敎全書 4"

      9 柳幹康, "永明延壽と『宗鏡錄』の硏究" 法藏館 2015

      10 朴仁錫, "永明延壽 『宗鏡錄』의 ‘一心’ 思想 硏究" 은정불교문화재단 2014

      1 마해륜, "작용즉성(作用卽性) 비판으로서의 무심(無心)" 불교학연구회 35 : 61-98, 2013

      2 서명원, "가야산 호랑이의 체취를 맡았다: 퇴옹성철, 이 뭣고?"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3

      3 澄觀, "隨疏演義鈔, 大正藏 36"

      4 澄觀, "華嚴經疏, 大正藏 35"

      5 常盤義伸, "絶觀論" 禪文化硏究所 1973

      6 性徹, "禪門正路" 海人叢林 1981

      7 性徹, "無心論" 백련불교문화재단 2 : 1992

      8 知訥,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韓國佛敎全書 4"

      9 柳幹康, "永明延壽と『宗鏡錄』の硏究" 法藏館 2015

      10 朴仁錫, "永明延壽 『宗鏡錄』의 ‘一心’ 思想 硏究" 은정불교문화재단 2014

      11 崔鍾洙, "普照知訥의 禪思想에 대한 再照明" 伽山佛敎文化振興院 上 : 1992

      12 정영식, "普照知訥과 眞覺慧諶에 미친 중국선의 영향"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8) : 263-285, 2006

      13 延壽, "宗鏡錄, 大正藏 48"

      14 辛奎卓, "圭峯宗密과 法性敎學" 올리브그린 2013

      15 石井修道, "南宗禪의 頓悟思想 展開" 백련불교문화재단 3 : 1992

      16 아라키 겐고, "佛敎와 儒敎" 예문서원 2000

      17 方立天, "中國佛敎哲學要義"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2

      18 정영식, "『종경록』이 진각혜심에 미친 영향" 한국사상문화학회 (69) : 337-35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