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晦谷 權春蘭의 생애와 학문  :  「進學圖」성립 배경 연구 = Gwon Chunlan’s Life and Scholarly Attain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44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 중기 具鳳齡의 문인인 권춘란의 생애와 학문을 고찰한 것이다. 권춘란은 퇴계의 학맥에서 이루어진 도학과 심학 및 성학의 맥락을 계승한 학자로서 ꡔ進學圖ꡕ라는 ...

      본 연구는 조선 중기 具鳳齡의 문인인 권춘란의 생애와 학문을 고찰한 것이다. 권춘란은 퇴계의 학맥에서 이루어진 도학과 심학 및 성학의 맥락을 계승한 학자로서 ꡔ進學圖ꡕ라는 전체 26건의 도상과 그에 대한 해설로 구성된 도설집을 편찬했다. 이 저술의 학문적 가치나 의의에 대한 학계의 평가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나, 장차 이 저술의 가치와 의의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으로 그의 생애와 학문을 고찰한 것이다.
      전체 논문의 구성은 먼저 권춘란의 생애를 3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즉 修學時期, 仕宦時期, 그리고 學問 硏鑽과 著述의 時期로 구분하였다. 주로 그의 「家狀」과 「行狀」의 기사를 참고하되 다른 참고자료를 동원하여 살폈다. 그리고 그의 학문 형성과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또 하나의 배경은 스승 具鳳齡으로부터의 가르침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대해서 ꡔ栢潭集ꡕ과 관련자료들을 동원하여 구봉령이 권춘란에게 준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 마지막으로 권춘란의 학문관에 대해서 살폈다. 이 고찰 역시 궁극적으로는 ꡔ進學圖ꡕ성립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ꡔ進學圖ꡕ는 권춘란의 추구한 爲己之學의 성과라고 간주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 얻어진 내용을 체계화한 것으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이는 비록 李滉의 ꡔ聖學十圖ꡕ의 취지와 학문관을 계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특히 이황보다도 구봉령과의 학문적 수수관계를 중심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는 판단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향후 연구해야 할 과제를 언급하자면, 구봉령과 권춘란으로 이어지는 퇴계학맥 내부의 제3계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ꡔ進學圖ꡕ라는 도설집에 대한 圖像學的 관점에 입각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life and scholarly attainments of Gwon Chunlan is researched. A Confucian scholar, Gwon was a student of Gu Bonglyong who was a famous Confucian scholar and student of Yi Hwang. Therefore Gwon’s learning naturally consisted of Dohak(...

      In this article life and scholarly attainments of Gwon Chunlan is researched. A Confucian scholar, Gwon was a student of Gu Bonglyong who was a famous Confucian scholar and student of Yi Hwang. Therefore Gwon’s learning naturally consisted of Dohak(道學) and Simhak(心學) that belonged to the context of Yi and Gu’s academic research, and he is the author of Jinhakdo(進學圖), that was edited with 26 diagrams and explanations about promotion of Confucian learning. Any evaluation on his work and its meaning has not been tried. So this article tries to research his life and scholarly attainments as the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this work.
      Explanation of his lif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getting his education from Gu and Yi, entering the government service, and cultivation and full growth of his learning by writing and editing books. The main source of research of his life is from the records about his life and his family. The decisive mentor of his life must be Gu, his teacher. This fact is cleared up from the many records on the collection of Gu’ works. And finally his viewpoint of Confucianism related to the work, Jinhakdo, is inquired. Jinhakdo is a result of his pursuit of Confucian moral self cultivation for a long time and so informs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methods of the self cultivation. It seems to succeed to the famous work of Yi,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but it shows more advanced system of Sage learning. And what is important is that his achievement of this work is not only the result of succeeding to Yi’s context but also of Gu’s independent teaching from Yi’s. The future research must aim at explanation of the context from Gu to Gwon as the third one in Yi’s academic circle, and a systematic research of Jinhakdo from the viewpoint of a kind of an iconograph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練藜室記述"

      2 "亂中雜錄"

      3 "한국문집총간" 39 :

      4 "進學圖"

      5 中國基本古籍庫, "經濟類考約編"

      6 "溪門諸子錄"

      7 "淸陰集"

      8 "晦谷先生文集"

      9 "晦谷先生文集"

      10 "新增東國輿地勝覽"

      1 "練藜室記述"

      2 "亂中雜錄"

      3 "한국문집총간" 39 :

      4 "進學圖"

      5 中國基本古籍庫, "經濟類考約編"

      6 "溪門諸子錄"

      7 "淸陰集"

      8 "晦谷先生文集"

      9 "晦谷先生文集"

      10 "新增東國輿地勝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철학탐구 -> 철학탐구
      외국어명 : 미등록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7 0.9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