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 地名의 文化政治的 變遷에 關한 硏究 : 舊 公州牧 鎭管 區域을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ultural Politics of Place Nam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91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f human beings had owned the space which has the concrete shape, they would have their name up. This empirical thought is possible by naming which represents the concrete shape of space. In this context, place names inscribe the shape and contour on ...

      If human beings had owned the space which has the concrete shape, they would have their name up. This empirical thought is possible by naming which represents the concrete shape of space. In this context, place names inscribe the shape and contour on the existence around the space. In addition, place names could distinguish the self from the other and indicate it.
      The indicating and distinguishing function of place names could be enlarged as the level which is to represent and constitute the identity and ideology of the diverse social subjects and groups. This aspect is related to the cultural politics that is concerned with the conflict and contestation among different social subjects over the meaning and meaning production of place name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place names and social subjects, it needs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on which the synchronic features of space and the diachronic trait of time should be analyzed as the synthetic ways.
      Korean peninsula has a long history and a geopolitical location as a borderland and a buffer zone, which has provided the conditions for cultural diversity and the power relations within contestation across space and time. Moreover, the split of daily language life caused by discrimination of social classes has produced the varying plural place names which sit opposite to or coexist with each other. These changing processes of place names in Korea are considered to be better suited to the study on cultural politics that is interested in the culture wars over the meaning of culture among different social subjects. Cultural politics of new cultural geography defines the culture as a realm, path, and medium in which diverse social power relations have been contested, dominated, and made resistant. Now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legitimacy of cultural politics for the study of place names in Korea.
      Based on such a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representing and constituting processes of identity and ideology belonged to social subjects through the formation and change of place names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diverse aspects of cultural politics on which the interactions between ‘space-human subject-power’ are represented and contested within the place and territory. As a result, I intend to define the cultural-political features and the transformation of place names' territory.
      I have recognized that three arguments are needed for the study on cultural politics of place names in Korea. The first is to construct a geographical theory for cultural-political study of place names in Korea.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types and cultural-political meaning of place names in Gongju-Mok Jingwan Area. Finally, it is empirically analyzed as a case study that the contestation and transformation of place names' territory are exposed to space of cultural politics over place names.
      1. Identity representation and territorial contestation by place names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theoretical construction based on the three concepts of place identity, territorial contestation, and the politics of scale. Firstly, place names have been representing and constituting place identity related to social subjects. Not only do place names indicate the natural environment, a social subjects, and the others, but they also realize the constitution of place identity representing social subjects' identity. These functions of place names offer the spatial information of social subjects to the other. Representing externally social subjects' identity and ideology, these are also able to identify their existence. The processes that place names represent the social subjects' identity have been advanced by two procedures which are to name and to cognize of place names. Then cultural and linguistic theories to be best applied to the study of place names are the theories on Angehrn's and Castells' identity, Pcheux's identification, Hall's decoding, and Bakhtin's ideological sign. The process of naming includes selective courses which represent internal identity(Angehrn's numerical - qualitative - I identity) and external identity(Castells' legitimizing - resistance - project identity). The process of cognizing contains Pe^cheux's identification(identification - counteridentification - disidentification) and Hall's decoding(dominant-hegemonic position - negotiation position - oppositional code). These theories help to understand the processes that specific social subjects are including or excluding the definite identity by means of place names. Especially, Bakhtin's ideological sign is available to analyze the process that specific ideology is reflected by a place name.
      Place identity is based on relations between social subjects and place. Place names representing place identity are found out in plenty around Korea. For example, the place names transcribed family name[姓氏 地名] are representing a sense of belonging to lineage group[宗族集團], and the place names spelled Gun-Hyeon(country and prefecture) name[郡縣名 表記 地名] are representing belongingness to Gun-Hyeon. Moreover, there are the place names alluding to a Chinese historical event and the Japanese place name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o forth.
      Secondly, place names' territory is contested and transformed by power relations(territorial contestation). Power relations involved i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are necessarily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place identity or territorial identity by means of a place name, which represents identity and ideology of a social subject. Specific social subjects make use of place names as the medium and means practicing power, so that the place names could form the definite territory and contest against the other's territory. The contestation among different territories of place names would strengthen the territoriality that the dominant social subjects control and enlarge their identity. And then the territoriality of social subjects could proceed to the stage of territorialization that identity within territory is expanded into the exterior territory. In the series of process, it is necessary to take the theory of Bakhtin's centripetal(attempting to unify and standardize the letter and transcription ways of place names) and centrifugal force(offering resistance and diversifying the place names) on language or place names into consideration.
      Thirdly, the politics of scale works on the process of territorial contestation by means of place names. The contestation between place names represented and appropriated by social subjects is involved in the process obtaining boundary and territory in the definite geographical scale, enlarging their territory all the more. This process is just to construct the scale politically and socially. What is more, this is the process related to the politics of scale that specific social subjects intend to shrink and enlarge the existing scale, or to create the new scale for attaining the aim and intention of themselves. Therefore, this process is analyzed as the view-point of politics of scale implying the scalar strategy, such as scaling down and scaling up.
      2. The types and cultural-political meaning of place names in Gongju-Mok Jingwan Area.
      The features as borderland and transitional zone of Gongju-Mok Jingwan Area have generate residence and migration of the diverse social subjects, so that those lead to produce the varying types of the change of place names. I have analyzed three aspects of place names in Gongju-Mok Jingwan Area, that is, the linguistic change, the naming source, and the contestation of place names.
      The first is the type according to the linguistic change[言語的 變遷]. In this type, I investigate the linguistic-social process in which the social subjects make use of or translate the linguistic change of place names by power relations. In the concrete, I have analyzed the place names of transcription change, phonological change, and Idu transcription. Especially, these changes have been unintentionally generated in the daily language life by the people.
      The place names of transcription change[表記 變化 地名] mean the place names which get transcribed by the similar sound of letter[取音], by similar form of letter[取形], and by the same meaning of letter[取義], and the place names which get changed by the omission and replacement of letter. For example, Gongju(公州), Yuseong(儒城), and Neobundl(廣里) are the instances that new cognition of place names is derived from not understanding 公, 儒 and 廣 as the simple loan transcription by sound[音借 表記] but interpreting meaning of transcribed letter. As well as the unintended changes, there are beautified place names[美化 地名] with intended change by specific social subjects. These examples include the cases that the specific social subjects refuse and wrongly cognize(i.e., counter-identification or disidentification) the transcribed letter, as a result of that, would even change and beautify the place names as good and right letters, such as 獄geori>玉巨里, Dodukgol>道德洞, and Picheonmal>碑 seonmal. What is more, it is kept an eye on that 赤谷面 had been changed into 長坪面 by anti-Communism in the circumstance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dominant social subjects[班村民] in village had altered the place name of 下所田(Lower-sojeon) where they were resident into 上所田(Upper-sojeon) where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民村民] resided in.
      Meanwhile, The place names of phonological change[音韻 變化 地名] have generated the diverse cognition of place names. The results of phonological change through time were reflected on the transcription letter of place names and could derive the new cognition and interpretation about place names[for example, Toheungri(土興里)>Tongri>Dongri(桐里>東里)>Dungi]. Part of these place names have been made use of or translated by specific social subjects, and then transcribed with the definite Chinese characters implying their ideology. For example, Yurye[有禮] had been transcribed the result of phonological change[Yibeulnae(伊火川)>Yieulnae>Yieurae>Yurae] into Yurye[有禮] which represented their ideology by gentry families[士族] trained in Confucianism
      The place names of Idu transcription[吏讀式 地名] which are the device of borrowing either the reading or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 to the loan transcription by sound[音借 表記], by meaning[訓借 表記], and by meaning-sound(訓音借 表記) of the letter. These place names do connote the potentiality used by the cultural politics of social subjects for representing their identity and ideology.
      The second is the type in accordance with the naming source[命名 有緣性], especially that of the front place names morpheme[前部 地名素]. These place names are classified into four large groups, that is, natural place names, socio-ideological place names, historical place names, and economical place names. Also, these types of place names could represent the place identity and ideology of diverse social subjects or attend the change by power relations between themselves, so that this type is classified the geographical-social type.
      The natural place names include the geomorphological place names and the direction and numeral place names. There are the place names of Gar[Garaeul(楸洞·楸木里) etc.] and Eol[Eungol and Eoeungol(隱洞·魚隱洞) etc.] category each reflected divergence and confluence landform of mountains and rivers in the geomorphological place names. And there are also the place names reflected linear hill landform jutting out flatland[Dolgogi(乭串之里)·Gogimal(花村)·Deulkkotmal(野花) etc.], reflected meander landform of rivers[Meudri·Moldori(水回里·水圖里) etc.]. The naming source of these place names has been not only accurately cognized by the people, but also generally continued to the present time. Because of that, these place names could tend scarcely to allow the cultural-political approach. But Eungol(隱洞) has been cognized as the place names representing a hermitage by specific social subjects yearning for the life in seclusion. Meanwhile, the direction and numeral place names, such as 東一面, 東二面, 一里 and 二里 etc, have been generally disappeared because these are not produced by the people in ordinary life, but forcibly created by a local administrative power.
      The socio-ideological place names represent the social belonging of the specific social subjects and groups, or reflect the dominant ideology and Zeitgeist in contemporary society. These place names include the place names transcribed family name[姓氏 地名] in relation to the lineage-village and an ancestral graveyard[姜村(the Kangs of Jinju)(晋州姜氏)-閔村(the Mins of Yeoheung)(驪興閔氏)-李村(the Lees of Gyeongju)(慶州李氏), 宋山所(the Songs of Eunjin)(恩津宋氏)-韓山所(the Hans of Cheongju)(淸州韓氏)-朴山所(the Parks of Milyang)(密陽朴氏) etc.], the place names spelled Gun-Hyeon name[郡縣名 表記 地名](魯城pyeon·恩津tteum etc.). In addition, there are the Confucianism place names[儒敎 地名][the Samgang(三綱, the three basic human relations) and Osang(五常, the five constant virtues) place names(忠谷里·山所里 etc.), the Confucian idea place names(崇文洞·文學洞 etc.), the Confucian status and facilities(祠宇村·永慕里 etc.), and the place names alluding to Chinese historical events, scriptures, vestiges(魯城·闕里村·子陵臺 etc.)], the Buddhism place names[佛敎 地名](彌勒院>美堂里·金剛院>琴江里 etc.), and the Feng Shui place names[風水 地名][Bulmutgol(鳳舞洞)·Seobanggol(棲鳳洞) etc.].
      The socio-ideological place names are intensely related to the cultural-political study of place names because these are deeply implicated with the cultural-political traits, and have been produced by the upper classes since the majority of these place names represented the features, value system, identity and ideology of the specific social subjects.
      Next, there are the historic and legendary place names[Beomnaemi(凡南)·Gwangol(寬洞)·Beomjae(虎峴) etc.] and the Japanese place names(大和町·昭和町·本町一丁目 etc.) in the historical place names. These place names have generated the certain sense of place or place identity, which was endowed with the particular meaning at dwelling place through identifying the place name with the national-historical fact and the legend related to lineage group.
      The economical place names are classified into the industrial place names[産業 地名][GatJeom(笠店)·白丁村·農所 etc.] and the commercial place names[商業 地名][Apsulmak·東酒幕·Garujeongol(粉廛里) etc.]. these place names have been not only forcibly changed by means of the disidentification of the upper classes cultured in Confucianism, but could have been voluntarily changed by the lower classes because the occupation in relation to industry and commerce had been treated contemptuously in Joseon Dynasty[朝鮮].
      The third is the type as the contestation[競合] over the place names in Gongju-Mok Jingwan Area, which is composed of the place names suffering from the contestation and territorial transformation. These place names belong to the political-social type because the process of contestation and territorial change imply the power relations between social subjects. These are classified into ‘the contesting place names, the place names unified transcription way, the place names of enlarged territory, the place names of shrunk territory.
      The contesting place names imply the place names to contest for using exclusively when the place names above two are indicating the same place. I have identified two cases, that is, the contestation between the Buddhism and Confucianism place names[佛堂gol/友德·Buldanggol/書堂洞 etc.], and between the native and Confucianism place names[Yurae-伊火川/有禮-院村 etc.]. There are the power relations in which the social subjects conflict with the other within the process of contestation. In particular, if the different social subjects have preferred and supported the specific place nam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testation between oppositional place names as the viewpoint of cultural politics.
      The place names unified transcription way indicate that the transcription of place names have been unified and standardized by exercising the centripetal force of social subjects through the same transcription letter and transcription way. According to a geographical scale in which unified transcription way is working, these place names can divide into the national, regional, and local scale. The power relations could intervene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ontesting place names and the place names unified transcription way. In addition to that, the superiority or inferiority of contestation and the features of transcription way could be changed because of the shift of dominant identity and ideology.
      There are the place names of enlarged territory[論山里(Nolmoe)>論山市·窺岩里>Buyeo-gun 窺岩面 etc.] and the place names of shrunk territory[南扶餘(another name of Baekje Kingdom)>扶餘郡 扶餘邑·韓山郡>Seocheon-gun 韓山面 ·德恩縣>Nosan-si Gayagok-myeon Samjeon-ri 德恩堂·Noseong-hyeon 豆寺面>Noseong-myeon 豆寺里 etc.]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administrative unit(市郡區邑面洞里) indicated by the back place names morpheme, that is, the territory of place names. However, the territorial change of the back place names morpheme means not simply the transcription change, but the change of power relations related to the certain social subjects. That is to say, the culture wars among social subjects over place names have been projected on the territorial change of place name in which the cultural-political traits are inherent.
      3. The contestation and transformation of place names' territory
      The cultural politics over the place names in Gongju-Mok Jingwan Area has been developed the diverse paths and aspects which are forming, contesting, and differentiating the place names' territory. What is more, the certain social subjects have endowed their place with the ideological place names, and produced the place names representing their place identity. Consequently, they have constructed and strengthened their territoriality, generated the aspects of territorialization in which the territory of place names are enlarged in, shrunk from, or fought with by the power rel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formation, contestation, and transformation of place names' territory, I hav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formation and contestation of place names' territory, the place names representing identity and the construction of territoriality, and lastly the territorialization of place names being accompanied with the power.
      Firstly, I have analyzed the formation and contestation of place names' territory[領域]. As a result of studying, I have identified the diverse paths in which the place names' territory was formed and differentiated, or deviated and transgressed. For example, the case of 木洞面/池谷里 has shaped and differentiated the different territories by the discriminatory development. But Motgol(池谷) and 木洞 have had the same naming source, that is, Motgol reservoir. Another case is 葛巨里/蘆長里. Producing the place nam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上蘆長) reflecting the place identity of social subjects[the Kwons of Andong(安東權氏)], they have driven the existing native place name(Galgeori) out the corner of territory. The other case is Mikkugi/美湖/養仁, in which the weakened native place name(Mikkugi) was defeated in the contestation against the dominant Confucianism place name(禮養里 養仁洞), and then have made resistance to 禮養里 養仁洞, transformed Mikkugi into 美湖, and transgressed the other territory.
      Secondly, I have analyzed the place names representing identity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territoriality[領域性]. The dominant social subjects have possessed the certain territoriality, that is, the capacity which controls and enlarges their identity. Producing the place names representing their place identity and ideology, and changing the existing place names into the identifying place names, they have strengthen their territoriality. First of all, I have investigated the case study that territoriality was constructed by naming the ideological place names. These place names have shown off the Confucian ideology related to the specific social subject outside their territory, and strengthened the place identity and distinguishable territoriality generated from the appropriate territory. For example, the special grant of place names[地名 特賜](孝橋洞/典洞/仁良里) which had been gone into operation by central government in the late Joseon corresponds to this case.
      Next, there is the case that territoriality have constructed by producing the place names representing place identity. This case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place names divide the territory of specific social subjects from the other, and strengthen territoriality of place occupied by them. For example, the Yuns of Papyeong(坡平尹氏 魯宗五房派) in Noseong-hyeon and the Hongs of Namyang(南陽洪氏 燕岐派) in Yeongi-hyeon who have been holding the certain social status and power in the country of the late Joseon Period are the appropriate cases. And the last case in relation to the construction of territoriality is 林里(Supmal) and 靑林. I have analyzed the case that territoriality of lineage village had been constructed according to endowing the name of new separated village with the same transcription letter(林) as the native village(林里). Consequently, I have verified that the place identity and definite territoriality have been constructed and reinforced through the process of giving the same transcription letter.
      Thirdly, I have analyzed the case study in relation to the territorialization[領域化] of place names being accompanied by the power. It is related with territorialization that the specific social subjects and groups have enlarged the place names' territory by power. Territorialization of place names being accompanied by the power have been found out in process of the reorganization of an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enlargement of specific river place names. I have investigated the case of territorialization to Myeon place names(面 地名)(窺岩面·恩山面·場岩面), to Eup place name(邑 地名)(鳥致院邑), and to Gun-Hyeon place name(郡縣 地名)(論山市). In addition to that, the case that the territories of river place names have been enlarged, struggled, and transformed have been analyzed centering around the basin of the Geum River(錦江·論山川). The power relations of Japanese residents and some Korean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centripetal force of the local administrative office had influence on the process of territorializ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人間은 구체적인 형상을 지닌 空間을 얻어야 이름나게 된다. 이러한 경험적 사유는 공간의 구체적 형상을 드러내는 이름 짓기(naming)로 인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땅이름인 地...

      人間은 구체적인 형상을 지닌 空間을 얻어야 이름나게 된다. 이러한 경험적 사유는 공간의 구체적 형상을 드러내는 이름 짓기(naming)로 인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땅이름인 地名(place name)은 공간의 內外와 그 사이에 자리한 무수한 存在들에 형상과 윤곽을 새기며 그것을 다른 존재와 구별하고 지시하게 된다.
      지명의 지시와 구별 기능은 다양한 社會的 主體들의 아이덴티티(identity)와 이데올로기(ideology)를 再現하고 構成하는 수준으로 확대되어, 지명의 意味와 意味 生産을 둘러싼 상이한 주체들 간의 葛藤과 競合에 주목하는 文化政治(cultural politics)로 연결되기도 한다. 이 때 지명과 사회적 주체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관계에 함축되어 있는 수평적 공간의 共時性과 수직적 시간의 通時性을 적절한 접점에서 통합해 분석하는 多學問的인(multidisciplinary) 시각과 방법이 요구된다.
      韓半島에서는 수천 년의 역사와 境界·漸移 地帶라는 地政學的 위치에 따라 정치·사회적 격변과 文化 變動이 끊임없이 발생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이한 사회적 주체들이 상호 갈등하고 경합하는 權力關係(power relations)가 양산되었다. 더욱이 社會的 身分의 차별에 따른 言語 生活의 분열은 일정한 권력관계와 연결되어 複數 地名이 상호 對立하며 共存하는 이른바 競合 地名(contesting place name)이 발달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와 같은 한국 지명의 競合的 성격은 文化戰爭(culture wars)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는 文化政治의 연구 주제로 적합한 것이다.
      한 가지 특성으로 단정 짓기 어려운 한국 지명의 多樣性과 複雜性은 전통 문화지리학이 수행해 온 言語 內的인 形態的 地名 硏究를 극복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新文化地理學의 文化政治는 사회적 주체들이 文化의 意味를 둘러싸고 벌이는 葛藤과 競合의 權力關係를 연구하는 분야로 한국 지명을 둘러싼 사회적 주체들 간의 권력관계를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공한다. 한국 지명을 文化政治的 觀點과 方法으로 연구하기 위한 당위성은 이제 지리적이고 공간적인 실천 수준에서 입증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가 지향한 文化政治的 地名 硏究는 한국 지명의 生成과 變遷 과정을 통해 사회적 주체가 지니고 있는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가 再現되고 構成되는 과정을 분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空間-主體-權力 간의 상호 작용이 구체적인 場所와 領域 수준에서 競合되는 文化政治의 다양한 양상을 地名과 權力關係를 매개로 고찰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 지명이 지닌 文化政治的 變遷의 특성과 地名 領域의 變動 양상을 규명하려 하였다.
      본 연구는 韓國 地名에 대한 文化政治的인 硏究를 위해 세 가지 논의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먼저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 연구를 위한 地理的인 理論 構成의 논의가 필요하다. 그 다음으로 이로써 마련된 이론 논의가 사례 지역에 적용 가능한 가를 확인하는 公州牧 鎭管 地名의 類型과 文化政治的 意義 분석이 요구된다. 끝으로 지명을 둘러싼 文化政治가 가시적인 공간으로 표출되는 地名 領域의 競合과 變動 양상을 실증적으로 사례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 가지 논의로 구성된 本論의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지명의 아이덴티티 재현과 영역 경합
      한국의 지명은 自然과 社會的 主體를 지칭하고 재현하여 場所 아이덴티티의 再現과 構成에 개입한 역사적 내용을 풍부하게 지니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價値 評價를 근거로 지명을 이데올로기적 기호(ideological sign)로 만들거나 地名의 求心力과 遠心力을 이용하여 權力關係를 地名의 領域에 실천하여 왔다. 사회적 주체의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가 지명에 투영되는 과정은 장소 아이덴티티가 구성되는 과정이기도 하며, 이러한 과정에는 반드시 包含과 排除라는 權力關係가 적극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복합적인 과정은 결과적으로 空間의 形象化를 동반하므로, 地名 領域의 形成과 競合은 물론 지명 스케일의 변동을 설명하고 해석하기 위한 이론 구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인식 위에서 본 연구는 場所 아이덴티티(place identity), 領域 競合(territorial contestation), 스케일 政治(politics of scale)라는 세 개념을 기초로 하여 한국 지명을 文化政治的으로 연구하기 위한 地理的인 理論 構成을 다음과 같이 시도하였다.
      1) 地名은 場所 아이덴티티(place identity)를 再現하고 構成한다. 이와 관련하여 지명은 자연, 사회적 주체, 타자를 지칭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아이덴티티를 재현하여 장소 아이덴티티의 구축을 실현한다. 지명의 기능은 자연, 주체, 타자를 지칭하여 특정한 존재가 있음을 언어적, 시각적, 물리적으로 확증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사회적 주체에 대한 공간적 정보를 타자에게 제공해 주는데 그치지 않고, 사회적 주체가 지닌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대외적으로 表象하여 사회적 주체의 現存性을 확인해 준다.
      한국의 지명이 사회적 주체의 아이덴티티를 재현하는 과정은 地名 命名과 地名 認識이라는 두 가지 과정으로 진행되어 왔다. 여기에서 地名 命名 과정은 內部的 아이덴티티(안게른의 數的-質的-自我 아이덴티티와 지명 명명)와 外部的 아이덴티티(카스텔스의 正當化-抵抗-企劃 아이덴티티와 지명 명명)를 재현하는 선택적인 과정을 거쳐 왔다. 사회적 주체가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근거로 외부에 존재하는 지명을 인식하는 과정을 분석할 때는 페쇠의 同一視 理論(同一視-逆同一視-非同一視)과 홀의 디코딩 이론(支配的 헤게모니적-妥協的-對抗的 위치)이 적용될 수 있다. 이들 이론은 특정한 사회적 주체가 지명을 대상 또는 수단으로 하여 일정한 아이덴티티를 包含하고 排除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바흐찐의 이데올로기적 記號 이론은 특정한 이데올로기가 하나의 지명에 반영되는 과정, 즉 이데올로기적 기호화를 분석하는데 상대적으로 유용하다.
      특정한 사회적 주체가 하나의 지명을 매개로 자기 자신의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재현하는 과정은 곧 자기 고유의 場所 아이덴티티를 構成해 가는 과정이다. 장소 아이덴티티는 사회적 주체가 장소와 맺는 관계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 아이덴티티를 재현하는 지명 사례들은 한반도 전역에서 풍부하게 발견된다. 그 대표적 사례로는 宗族에 대한 소속감을 표상하는 姓氏 地名, 郡縣에 대한 소속감을 표상하는 촌락 지명, 특정한 中國 故事를 再現하는 지명, 그리고 일제 시대에 명명된 日本式 地名 등이 있다.
      2) 權力關係를 통해 地名 領域은 競合(territorial contestation)되고 變動된다. 사회적 주체가 특정한 지명을 認識하는 과정은 곧 우리와 그들을 구별하는 包含과 排除의 과정이며, 여기에는 가치 평가를 실천하는 權力關係가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정한 사회적 주체가 하나의 지명을 權力을 실천하는 매개이자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그 지명은 일정한 스케일의 地名 領域을 형성하고 他者들이 생산한 지명 영역과 競合하게 된다. 상이한 지명 영역 간의 경합은 영역 내의 유력한 사회적 주체가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고 확장하려는 領域性을 강화시키고, 영역 내부의 아이덴티티가 강화되어 영역 외부로 확장되는 領域化 과정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바흐찐이 언급한 지명을 統一시키고 標準化하려는 求心力과 획일적인 지명에 抵抗하고 多樣化하려는 遠心力이 사회적 주체들의 權力關係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3) 지명을 매개로 하는 領域 競合 과정에는 스케일 政治(politics of scale)가 작용하고 있다. 사회적 주체에 의해 再現되고 專有된 지명에는 일정한 스케일의 境界와 領域을 획득하고 자신의 영역을 더욱 확장해 나가는 과정이 존재한다. 이 과정은 바로 스케일을 社會的이고 政治的으로 構築하는 과정이며 특정한 사회적 주체가 자신들의 의도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기존의 스케일을 縮小하고 擴大하거나, 전혀 새로운 스케일을 創造하는 스케일 정치의 과정이다. 그러므로 사회적 주체가 權力關係를 통하여 지명의 영역을 人爲的으로 縮小하고 擴張하는 과정은 스케일 하강(scaling down)과 스케일 상승(scaling up)이라는 스케일 전략이 담긴 스케일 정치의 관점에서 분석해야 한다.
      2. 공주목 진관 지명의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公州牧 鎭管 區域의 위치와 영역이 지닌 境界的·漸移的 성격은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의 居住와 移動에 영향을 미치면서, 이들에 의한 다양한 地名 生成과 變遷 類型을 양산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는 공주목 진관 지명의 一般的 類型과 그 안에서 포착되는 文化政治的 意義를 言語的 變遷(linguistic change), 命名 有緣性(naming source), 競合(contestation)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1) 공주목 진관 지명의 言語的 變遷(linguistic change)에 따른 유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언어적 변천 양상이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의 權力關係에 의해 活用되거나 變容되는 言語-社會的인 과정을 포착하였다. 본 연구는 言衆들에 의해 일상 언어생활에서 부지불식중에 非意圖的으로 발생하는 지명의 表記 變化와 音韻 變化, 그리고 이를 포함한 音借, 訓借, 訓音借, 받쳐적기법 등의 표기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吏讀式 表記의 지명들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공주목 진관 지명들의 순수한 언어적 변천 유형과 함께 이들 유형 내에 文化政治的인 變容 및 解釋의 가능성이 내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기 한자의 변화를 고려한 ‘表記 變化 地名’은 固有 地名이나 漢字 地名을 다른 한자로 取音, 取義, 取形하거나 表記字가 탈락, 치환되어 변천된 지명들을 말한다. 일례로 ‘公州, 儒城, 너분들(廣里)’ 등은 音借 表記로 변화된 前部 지명소(‘公, 儒, 廣’)를 표기자의 뜻(訓)을 중심으로 해석하거나 인식하면서 새로운 지명 인식이 발생하게 된 사례들이다. 이와 같은 표기 변화의 비의도적인 발생과는 달리 특정한 사회적 주체에 의해 표기 한자가 意圖的으로 변경된 ‘美化 地名’도 같은 경우에 해당된다. 특정 지명의 表記 文字를 거부하거나 부정적으로 인식(非同一視)하여 다른 긍정적이고 좋다고 판단되는 漢字로 美化하거나 雅化한 ‘獄거리>玉巨里, 도둑골>道德洞, 피천말>碑선말’ 등이 해당된다. 특히 南北 分斷의 대치 상황에서 反共 이데올로기에 의해 특정한 表記 漢字(‘赤’)가 거부되어 변천된 ‘赤谷面>長坪面’의 사례와 촌락 내 지배적인 사회적 주체(班村)가 기존 지명(下所田)을 거부하고 非同一視하여 피지배자 집단(民村)의 이름(上所田)을 빼앗아 헤게모니적으로 지명을 변경한 ‘下所田>上所田’ 사례가 주목된다.
      음운 변화가 표기에 반영되어 변천된 ‘音韻 變化 地名’은 지명 인식의 다양성을 발생시켰다. 시대에 따른 지명의 音韻 變化 결과는 지명 표기에 반영되어 새로운 지명 해석과 인식을 초래하였다[토흥리(土興里)>통리>동리(桐里>東里)>둥이]. 이들 중 일부는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에 의해 活用 및 變容되어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漢字로 음운 변화를 표기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有禮’라는 지명은 그곳에 거주하는 儒敎的 素養을 지닌 士族들에 의해 ‘이블내(伊火川)>이□래>이을래>이으래>유래’의 음운 변화 결과를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再現해 주는 ‘유례(有禮)’로 표기한 것이다.
      漢字의 音(音借)과 訓(訓借), 訓音(訓音借)을 빌어 借字 表記한 ‘吏讀式 地名’은 한국적인 독특한 지명 표기 방식이다. 일례로 ‘넓은 산’이란 의미를 지닌 것으로 추정되는 ‘너븐달(仍火達)’이란 지명은 ‘仍火’가 ‘넓은’을 뜻하는 ‘너블~내블~너벌’의 音借+訓音借 표기이며, ‘達’은 後部 지명소로서 ‘山’의 의미를 지닌다. 한편 이두식 지명 중 받쳐적기법(訓主音從法)에 의해 표기된 지명으로는 버드내(柳等川), 바리고개(鉢里峙), 흘림골(流林洞) 등이 있다. 그런데 이두식 지명은 후대로 오면서 地名素의 脫落과 變形 등이 심하여 그 원형이 지속되는 경우가 희박하다. 이러한 이두식 표기 지명은 사회적 주체들에 의해 자신들의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재현하거나 권력관계를 행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문화정치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2) 공주목 진관 지명들은 地名素, 특히 前部 지명소의 命名 有緣性(naming source)에 따라 自然的 地名, 社會 理念的 地名, 歷史的 地名, 經濟的 地名 등의 地理-社會的인 類型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유형의 지명들은 다양한 사회적 주체의 장소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再現하거나 이들의 權力關係로 인해 지명이 變遷되는 지명들도 있기 때문에 문화정치적인 적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前部 지명소의 命名 有緣性이 자연 지리적 특성과 관련된 ‘自然的 地名’은 지명이 생성된 장소의 지형을 반영하는 ‘地形 地名’과 장소의 동서남북 方位, 前後 등의 위치와 그 순서를 표현하는 ‘方位 및 숫자 地名’이 있다. 지형을 有緣性으로 하는 지형 지명들은 다른 자연적 지명들에 비해 그 有緣性 내지는 由來가 정확하며 가시적인 형태 확인이 가능하다. 지형 지명은 지명이 지칭하는 장소의 지형적 특성과 관련되어 각각 산지와 하천의 分岐 地形[가래울(楸洞·楸木里) 등의 ‘가르’계 지명]과 合流 地形[은골·어은골(隱洞·魚隱洞) 등의 ‘얼’계 지명], 평지로 돌출한 線狀 丘陵 地形[돌고지(乭串之里)·고지말(花村)·들꽃미(野花) 등], 河川 曲流 地形[무드리·몰도리(水回里·水圖里)] 등이 포함된다. 이들 지형 지명들은 일반적으로 言衆들의 有緣性 인식에 깊이 각인되어 있고 地名 變遷에 있어서도 강한 存續性을 보이므로 文化政治的인 접근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다만 ‘얼’계 지명인 ‘은골(隱洞)’은 表記字인 ‘隱’자가 隱逸者를 동경하는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에 의해 隱遁 思想을 재현하는 지명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한편 ‘東一面, 東二面’ 혹은 ‘一里, 二里’ 등과 같은 방위 및 숫자 지명은 言衆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생성된 지명이 아니라, 지방 行政 權力에 의해 획일적으로 부여되었기 때문에 현대로 오면서 대체로 소멸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지명의 命名 有緣性이 사회적 주체의 社會的 所屬을 표현하거나 특정 사회의 주요 理念과 思想을 반영하는 ‘社會·理念的 地名’은 특정한 종족 촌락임을 나타내는 宗族村 및 山所 관련 姓氏 地名[姜村(晋州姜氏)-閔村(驪興閔氏)-李村(慶州李氏), 宋山所(恩津宋氏)-韓山所(淸州韓氏)-朴山所(密陽朴氏) 등]과 郡縣의 境界 지역에서 소속 군현의 명칭을 前部 지명소로 표기한 郡縣名 表記 地名[魯城편·恩津뜸 등]이 있다. 또한 사회의 특정 이념을 반영하고 있는 儒敎 地名[三綱 및 五常 관련 지명(忠谷里·山所里 등), 유교적 관념 관련 지명(崇文洞·文學洞 등), 유교적 신분 및 시설 관련 지명(祠宇村·永慕里 등), 중국의 故事·經典·遺跡을 인용한 지명(魯城·闕里村·子陵臺 등)]과 佛敎 地名(彌勒院>美堂里·金剛院>琴江里 등), 風水 地名[불뭇골(鳳舞洞)·서방골(棲鳳洞) 등] 등이 포함된다. 대체로 사회·이념적 지명들은 文化政治的 屬性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地名 意味를 둘러싼 사회적 주체 간의 競合과 葛藤 양상에 주목하는 文化政治的 地名 硏究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특히 사회·이념적 지명들은 사회적으로 지배적인 위치에 있던 上層民들에 의해 생성된 경우가 많다.
      歷史 및 傳說 地名[범내미(凡南)·관골(寬洞)·범재(虎峴) 등]과 日本式 地名[大和町·昭和町·本町一丁目 등]이 포함된 ‘歷史的 地名’은 지명 생성의 시간적 측면에 주목하여 분류한 유형이다. 이들 지명은 생성 과정에 있어 일정한 歷史的 사실과 사건, 地名 傳說 등이 개입되어 명명되었다.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은 역사적 지명들을 매개로 자신들이 거주하는 場所의 의미를 국가적인 유명한 역사적 사실이나 특정한 종족의 傳說과 연관시켜 同一視하였다. 이를 통해 거주 장소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일정한 場所感이나 場所 아이덴티티를 생성하기도 하였다.
      ‘經濟的 地名’은 특정한 下層民이 거주하던 前産業時代의 생산 및 서비스 관련 지명들로써, 산업 지명[갓점(笠店)·白丁村·農所 등]과 상업 지명[앞술막·東酒幕·가루전골(粉廛里) 등]이 포함된다. 경제적 지명들은 조선 시대 經濟 活動에 대한 上流層의 蔑視와 사회의 否定的인 評價로 인해 非同一視되었고, 후대로 오면서 대체로 소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3) 공주목 진관 지명의 競合(contestation)에 따른 유형 분류는 地名 競合과 領域 變動을 경험한 지명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명 경합과 영역 변동의 과정에는 權力關係가 작용하는 경우가 발견되기 때문에 政治-社會的인 성격을 띤다. 이 유형에는 地名素의 競合과 統一 양상에 따라 競合 地名과 表記 方式 統一 地名이 있으며, 後部 지명소의 領域 變化에 따라 領域이 擴大되거나 縮小되는 지명이 포함된다.
      ‘競合 地名’이란 동일한 場所를 두 가지 이상의 지명이 지칭할 때, 특정 장소의 이름으로 專用되기 위해 서로 경합하는 지명들을 가리킨다. 경합 지명에는 특히 佛敎 地名과 儒敎 地名 간의 경합[佛堂골/友德·불당골/書堂洞 등]과 固有 地名과 儒敎 地名 간의 경합 사례(유래-伊火川/有禮-院村 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경합 지명의 내부에는 사회적 주체들 사이에 갈등하는 權力關係가 작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경합하는 지명들의 背後에 각각의 지명을 選好하고 後援하는 상이한 사회적 주체가 地名 言衆으로 포진해 있을 경우 이러한 지명들 간의 경합 양상은 文化政治的인 觀點에 의한 관찰과 분석이 필요하다. 한편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이 지명을 대상으로 행사하는 求心力에 의해 동일한 表記字와 表記 方式으로 지명이 標準化되는 ‘表記 方式 統一 地名’이 있다. 표기 방식 통일 지명은 統一的인 表記 方式이 작동되는 지리적 스케일에 따라 국가적(중앙 권력에 의한 전국 단위의 지명 개정 사례), 지역적, 국지적 스케일로 구분된다. 경합 지명과 표기 방식 통일 지명의 생성과 변천에는 특정한 사회적 주체의 權力關係가 개입되기도 하며, 지배적인 아이덴티티나 이데올로기가 교체될 경우 競合의 優劣과 표기 방식의 특성이 變形되기도 한다.
      後部 지명소가 지칭하는 行政 單位(市郡區邑洞面里), 즉 地名 領域의 변화에 따라 ‘領域 擴大 地名’[論山里(놀뫼)>論山市·窺岩里>부여군 窺岩面 등]과 ‘領域 縮小 地名’[南扶餘(국호)>扶餘郡 扶餘邑·韓山郡>서천군 韓山面·德恩縣>논산시 가야곡면 삼전리 德恩堂·노성현 豆寺面>노성면 豆寺里 등]이 분류된다. 그런데 後部 지명소의 領域 變化는 단순한 지명 표기의 변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역 변동에 작용한 사회적 주체의 權力關係가 바뀌었음을 뜻한다. 地名 領域의 變化에는 지명을 둘러싼 사회적 주체들 간의 文化戰爭과 일정한 영역을 자기의 것으로 차지하기 위한 영역 싸움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文化政治的인 屬性이 담겨 있다.
      3. 지명 영역의 경합과 변동
      다양한 사회적 주체들이 公州牧 鎭管 地名을 둘러싸고 벌이는 文化政治는 地名 領域이 形成, 競合, 分化되는 다양한 경로와 양상을 전개시켰다. 사회적 주체들은 특정한 이데올로기적인 지명을 부여하고 장소 아이덴티티를 재현하는 지명을 생산하면서 자신들의 領域性을 構築하거나 强化해 나갔다. 이러한 과정은 다른 사회적 주체와 地名 領域 사이에 작용하는 權力關係에 의해 지명 영역이 擴張, 縮小, 爭奪되는 領域化 양상으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地名에 내재된 境界와 領域의 形成, 競合, 分化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를 사회적 주체들에 의한 場所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 再現, 그리고 社會的 權力關係에서 찾았다. 이를 규명하는 작업으로 領域(territory), 領域性(territoriality), 領域化(territorialization)라는 세 개념을 중심으로 地名 領域의 形成과 競合, 아이덴티티 재현 지명과 領域性 구축, 마지막으로 權力을 동반한 지명의 領域化를 사례 분석하였다.
      1) 地名 領域(territory)의 形成과 競合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명 영역이 형성되어 분화되거나 타 영역으로 離脫·越境(transgression)하는 다양한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는 상이한 사회적 주체들이 지명을 매개로 벌이는 地名 競合과 領域 競合의 다양한 양상이 자리 잡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동일한 지명 有緣性에서 유래한 두 지명, 즉 ‘못골(池谷)’과 ‘木洞’이 借字 表記와 領域 形成의 차별적 전개로 인해 상이한 지명 영역을 형성하여 분화해 간 ‘木洞面/池谷里’ 사례를 분석하였다. ‘葛巨里/蘆長里’ 사례에서는 특정한 사회적 주체(安東權氏)가 자신들의 장소 아이덴티티를 반영하는 漢字 地名(上蘆長)을 생성하면서 기존의 固有 地名(갈거리)을 구석으로 逐出하고 자신들의 地名 領域을 확대해간 과정이 포착되었다. 마지막으로 儒敎 地名(禮養里 養仁洞)과의 競合에서 밀려 쇠락해진 固有 地名(미꾸지)이 유교 지명에 抵抗하고 變身, 越境해간 ‘미꾸지/美湖/養仁’ 사례를 살펴보았다.
      2) 사회적 주체가 아이덴티티를 再現하는 지명을 생산하여 領域性(territoriality)을 구축해간 양상을 분석하였다. 특정한 영역 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사회적 주체는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고 확장하려는 능력, 즉 領域性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자신의 장소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재현하는 지명들을 생산하거나 同一視하는 지명으로 변경시키면서 그들의 領域性을 강화해 갔다. 본 연구는 우선 영역성 구축의 양상이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이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지명 부여로 인해 영역성이 구축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지명들은 특정한 사회적 주체의 儒敎 이데올로기를 대외에 과시하고 해당 지명 영역을 통해 생성된 장소 아이덴티티와 차별적인 영역성을 강화하는 지명들이다. 조선 시대 중앙 권력에 의해 시행된 ‘國家的인 地名 特賜’의 경우(孝橋洞/典洞/仁良里)가 이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장소 아이덴티티를 재현하는 지명의 생산으로 인해 領域性이 구축된 사례가 있다. 이러한 사례 분석은 지명이 他者로부터 사회적 주체의 領域을 區劃하고 자신들의 장소 아이덴티티를 재현하여 그들이 占有하고 있는 장소의 領域性을 강화한다는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여기에는 鄕村이란 지역적 스케일에서 일정한 지위와 권력을 소유하고 있던 조선 시대 魯城縣의 坡平尹氏(魯宗五房派)와 燕岐縣의 南陽洪氏(燕岐派) 사례가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宗族村에서 分洞된 촌락 지명에 母村落과 동일한 表記字가 부여되면서 종족촌의 領域性이 구축된 사례가 있다. 사례 지명인 靑林의 촌락 分洞 과정에서 光山金氏 文敬公派 宗族에 의해 확대 재생산된 숲말(林里)의 象徵性이 分洞된 촌락(靑林)의 지명 表記字로 ‘林’을 공유하게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광산김씨 종족의 장소 아이덴티티가 再現되고 그들의 거주 領域과 일정한 領域性이 강화·구축되었다.
      3) 權力關係가 동반되면서 地名 領域이 擴張되는 양상, 즉 領域化(territorialization) 사례를 확인하였다.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이 權力을 행사하여 지명 영역을 확장시킨 사례는 領域性이 강화되어 새로운 영역을 확장시키는 領域化 개념, 즉 영역 내부의 아이덴티티가 더욱 강화되어 영역 외부로도 확장되는 과정과 연관된다. 權力을 동반한 地名의 領域化 사례는 행정 구역의 개편과 통폐합 과정에서 발생한 특정 지명의 행정 구역 확대와 특정한 河川 地名의 확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명 영역의 확장 양상을 面 地名(窺岩面·恩山面·場岩面), 邑 地名(鳥致院邑), 郡縣 地名(論山市)으로의 領域化 사례와 河川 地名의 영역이 擴大, 爭奪, 變動되는 사례를 錦江 유역(錦江·論山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지명들의 領域化 과정에는 해당 지명 영역에 거주하던 당시 日本人 居留民과 일부의 朝鮮人, 그리고 行政 官廳의 求心力과 中心性이 일정한 權力關係로 작용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국내외 학계의 연구 경향 = 4
      • 3. 연구의 방법과 자료 = 17
      • 4. 연구 지역의 문화정치적 함의 = 25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국내외 학계의 연구 경향 = 4
      • 3. 연구의 방법과 자료 = 17
      • 4. 연구 지역의 문화정치적 함의 = 25
      • II. 지명의 아이덴티티 재현과 영역 경합 = 38
      • 1. 지명을 통한 장소 아이덴티티의 재현 = 38
      • 가. 지명의 문화정치적 의의와 재현 = 38
      • 나. 지명의 아이덴티티 재현과 이데올로기적 기호화 = 40
      • 다. 지명을 매개로 한 장소 아이덴티티 구축 = 50
      • 2. 권력을 통한 지명의 영역 경합 = 54
      • 가. 지명 영역의 형성과 권력관계 = 55
      • 나. 지명 영역의 아이덴티티와 경합 = 58
      • 3. 지명을 둘러싼 스케일 정치 = 62
      • 가. 스케일의 사회적 구성과 스케일 정치 = 62
      • 나. 지명을 통한 스케일 정치 = 63
      • III. 공주목 진관 지명의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 66
      • 1. 공주목 진관 지명의 분포와 일반적 유형 = 66
      • 가. 연구 대상 지명의 선정 = 66
      • 나. 연구 대상 지명의 유형 = 68
      • 2. 언어적 변천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 언어-사회적 유형 = 72
      • 가. 표기 변화 지명 = 73
      • 나. 음운 변화 지명 = 79
      • 다. 이두식 지명 = 82
      • 3. 명명 유연성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 지리-사회적 유형 = 87
      • 가. 자연적 지명 = 87
      • 나. 사회 이념적 지명 = 96
      • 다. 역사적 지명 = 142
      • 라. 경제적 지명 = 151
      • 4. 경합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 정치-사회적 유형 = 159
      • 가. 경합 지명 = 159
      • 나. 표기 방식 통일 지명 = 165
      • 다. 영역 확대 지명 = 167
      • 라. 영역 축소 지명 = 169
      • IV. 공주목 진관 지명의 문화정치적 변천 : 지명 영역의 경합과 변동 = 172
      • 1. 지명 영역의 형성과 경합 = 172
      • 가. 지명 영역의 차별적 형성과 분화 = 173
      • 나. 한자 지명의 창출과 고유 지명의 축출 = 175
      • 다. 쇠락한 고유 지명의 저항과 월경 = 180
      • 2. 아이덴티티 재현 지명과 영역성 구축 = 184
      • 가. 이데올로기적 지명 부여와 영역성 구축 = 185
      • 나. 장소 아이덴티티 재현 지명의 생산과 영역성 구축 = 188
      • 다. 분동된 촌락의 지명 표기와 영역성 구축 = 196
      • 3. 권력을 동반한 지명의 영역화 = 199
      • 가. 면 지명으로의 영역화 = 201
      • 나. 읍 지명으로의 영역화 = 206
      • 다. 군현 지명으로의 영역화 = 215
      • 라. 하천 지명의 영역화 = 220
      • V. 결론 = 226
      • 1. 연구 결과의 요약 = 226
      • 2. 연구 과제와 제언 = 236
      • 참고문헌 = 238
      • ABSTRACT = 253
      • 부록 : 공주목 진관 지명의 변천 = 2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