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비평적 해석 = A critical interpretation on the development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concepts in architectural herit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06503

      • 저자
      • 발행사항

        부여군 : 韓國傳統文化大學校,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韓國傳統文化大學校 文化遺産融合大學院 修理復元學科 文化財修理專攻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00.27 판사항(6)

      • DDC

        702.8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x, 117 p. : 삽화, 초상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金榮才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건축문화유산 보전을 위한 보편적 접근방식인 보존과 복원을 다룬다. 보존과 복원은 건축문화유산에 개입하는 것으로 국가적, 지역적으로 매우 다르며 개별적인 경향을 반영...

      본 논문에서는 건축문화유산 보전을 위한 보편적 접근방식인 보존과 복원을 다룬다. 보존과 복원은 건축문화유산에 개입하는 것으로 국가적, 지역적으로 매우 다르며 개별적인 경향을 반영하는 복잡한 양상을 보여준다. 보존할 것인가, 복원할 것인가의 문제는 과거 건축물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이다. 역사는 보존과 복원이라는 대립되는 두 단어가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며 끊임없이 혼란을 야기했음을 보여준다. 과거의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방식은 현재의 보존문화의 기초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변화를 읽는 것은 현재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언제 복원할 것이며 보존할 것인가를 안다는 것은 작품의 존재를 통해 더 중요한 것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를 과거로 위치시키는 것은 건축물을 과거시대의 증언으로 보는 것이며 과거를 기억하기 위한 기능으로 기념물을 인식하는 것이다. 반면에 그 의미를 현재에 위치시키는 것은 건축물을 하나의 문화, 또는 한 시대를 표현하는 동일성(同一性)의 자격으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보존과 복원은 기억을 보존하거나 동일성을 회복하기 위한 것으로 재해석되어야 하며, 더 이상 두 가지 상반되는 관점의 선택사항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아래 문화재의 개념의 발생부터 파편적으로 남아있는 보존과 복원에 관한 이론들을 정리하고 이해와 해석에 따른 보존 및 복원 사례를 통해 방법론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19세기말 유럽에서는 새로운 시간의 인식에 기원하여 보존과 복원은 그 자체로 하나의 분야로 나타났다. 하나는 미학에 가치를 둔 개입주의자들로, 유럽 전역에서 나타났으며, 다른 하나는 역사성에 가치를 둔 반(反)개입주의자들로 영국에서 주로 나타났다. 이 대립은 Eugène Emmanuel Viollet-le-Duc과 John Ruskin으로 상징되며, 복원가와 보존가라는 구별되는 두 접근 방식의 출현에 기여했다. 이후 보존과 복원은 César Brandi에 의해 재정의 된다. 그의 복원이론은 미학적, 역사적 상태에 의해 지배되는 예술작품의 특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각각의 작품의 재인식을 통해 보존적, 복원적인 개입을 보여준다. César Brandi에 의해 발전한 비평적 복원은 세계 2차 대전의 전쟁이라는 엄청난 희생과 재건이라는 사회현상과 연관 지을 수 있다. 전쟁 피해는 기존의 복원방식에 한계를 느끼게 하였고 새로운 접근방식을 필요로 하였다. Giulio Carlo Argan, Roberto Pane, Bonelli Renato, Giovanni Carbonara 등은 César Brandi의 비평적 복원을 건축에 적용하고자 했다.
      이후 60년대의 세계경제의 호황에 의한 도시의 발전은 많은 건축물을 파괴시켰고, 현대의 개발이라는 파괴의 반향으로 보존의 개념은 확대된다. 이러한 보존개념의 확대와 과학적 보존의 발달은 비평적 복원 아래 활발했던 보존과 복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은 정지하고 보존의 방향으로 나아간다.
      1990년대 이후 이러한 보존이 건축의 영속성으로 이어지지 않음의 자각과 건축의 본질에 대한 질문, 즉 사용성의 질문과 함께 다시 복원과 보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활발해 지고 있다. 90년대 이후 변화된 비평적 복원의 가장 큰 성격으로는 예술작품의 보존과 복원에서 건축의 구별이다. 현대의 비평적 복원가들은 건축은 인간생활 방식의 변화에 적응하며, 새로운 기능의 요구에 부응해왔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보존과 복원의 관계에서 건축의 미래를 다시 생각하게 했으며, 건축 복원은 미학적·역사적 관점에서 보존과 기능적 효율성에 대한 관점으로 옮겨갔다. 따라서 보존과 복원은 19세기 시작된 논쟁을 계속하는데 공통점을 보이지만, 비평적 복원아래 복원은 동일성의 복원, 보존적 복원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동일성의 복원은 통합된 건축물로서의 기능을 보다 강조한다고 할 수 있고, 보존적 복원은 기억의 기능을 보다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과거의 보존과 복원이 물질의 보존과 형상의 통합, 즉, 미학과 역사성의 대립 구도 속 발전관계에 있었다면, 현대의 보존과 복원은 비평적 복원의 판단 하에 물질의 보존과 새로운 혁신과의 대립 구도 속 발전관계로 변형하여 진보하고 있다. 이러한 중재를 통해 미래 세대에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과거와 현재의 동질성과 현 상태의 연속성을 통한 건축의 영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보존과 복원은 단순한 이론의 발전이 아닌 현실을 반영하여 이론이 나타났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론과 실천 사이의 연관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지금까지 보존문화는 사회의 발전 밖에서 존재하지 않았으며 사회를 구성하는 일부로서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이 우리의 현 상황에서 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복원을 위한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기 위한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deals with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 universal approach to the con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volve intervention in architectural heritage, which has nationally and regionally different dimensi...

      This thesis deals with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 universal approach to the con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volve intervention in architectural heritage, which has nationally and regionally different dimensions and takes on a complex aspect reflecting individual tendencies. The question of preserving or restoring has caused many controversies in past buildings and led to still a problem. History shows that the two conflicting words regarding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ove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and that they cause constant chaos. The way of dealing with these past problems has become the basis of the present conservation culture, and reading the changes in these ways is an important issue that leads to changes in current attitudes.
      Knowing when to restore and preserve draws more important things through the existence of works. Situating this meaning into the past recognizes the building as a testimony of the past, and simultaneously the monument as a function to remember the past. On the other hand, placing the meaning into the present is to regard the building as a culture, or as a qualification of identity expressing an era. Therefor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should be reinterpreted as preserving memories or restoring the identity, and should no longer be understood as an option of two opposing perspectiv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summarizes the theories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at have remained fragmented from the development on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s under this viewpoint and then examines the methodology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rough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In Europe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of a new time, appeared as a field in itself.
      The one was interventionists that concentrate on aesthetic values, appeared throughout Europe, and the other appeared mainly in England as anti-interventionists that focuses on the worthiness of history. This confrontation between Eugène Emmanuel Viollet-le-Duc and John Ruskin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restorers and conservers approaches. Then, César Brandi redefined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His restoration theory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works dominated by aesthetic and historical conditions and shows conservative and restorative intervention through the re-recognition of each work. César Brandi developed the critical restor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great sacrifice and reconstruct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war damage made the existing restoration method limited and required a new approach. Giulio Carlo Argan, Roberto Pane, Renato Bonelli, and Giovanni Carbonara applied the critical restoration of César Brandi to architectural sphere.
      The city development in the aftermath of the global economic boom in the 1960s destroyed many buildings, and the concept of conservation expanded the echo of the destruction through modern development. The expansion of this concept of conserv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servation proceeded in the direction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which was active under critical restoration. Since the 1990s, there has been a growing awareness of the notion that conservation does not lead to the permanence of buildings. The question on the nature of buildings, that is, together with the question of usability brought about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The greatest characteristic of the critical restoration that has been modified since the 1990s is the distinction of architecture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artworks. Modern critical restorers have recognized that architecture adapts to changes in human lifestyles and has responded to the demands of new functions. These perceptions brought the future of architecture back to mind in terms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nd architectural restoration has shifted to the viewpoint of conservation and functional efficiency from an aesthetic and historical point of view.
      Thu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have common in carrying out the controversy that began in the 19th century, but restoration works under critical restoration can be subdivided into identity restoration and conservation-restoration.
      The restoration of identity emphasizes the function as an integrated building frame, and the restoration of conservation underlines the function of memory.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the past were in the association between conservation of material and integration of form and in the development in a contradiction of aesthetics and history, while contemporary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a conflict composition between conservation of material and new innovation under the judgment of critical restoration, are transforming and promoting a development of reciprocal relationship.
      What conveys to future generations through these interventions is the permanence of architecture through the continuity of past and present homogeneity and present stat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re not the development of simple theory but reflect the real situation. This research shows a connec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 conservation culture did not exist outside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existed as a part of society.
      Accordingly, this thesis will be a stepping stone to raise the issue of conserving and restoring architectural heritages in the present sit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 Ⅱ. 보존과 복원개념의 기원 7
      • 1. 역사적 인식의 탄생 7
      • 1) 고대에서 르네상스 시대까지의 연속성 7
      • 2) 르네상스 시대의 단절과 고대의 재발견 8
      • 3) 과거작품의 현대적 인식 10
      • 4) 19세기 복원과 반(反)복원 논쟁 12
      • 2. 비올레 르 뒥, 존 러스킨, 까밀로 보이토의 이론 15
      • 1) 비올레 르 뒥의 복원론 15
      • 2) 존 러스킨의 반론과 보존개념 22
      • 3) 까밀로 보이토의 총론 29
      • 3. 보존과 복원개념의 이해 39
      • Ⅲ. 건축의 비평적 복원 41
      • 1. 비평적 복원의 탄생 41
      • 1) 전후재건시대 41
      • 2) 베네데토 크로체 45
      • 3) 이탈리아의 역사적, 과학적 복원 49
      • 2. 비평적 복원의 발전 55
      • 1) 체사레 브란디의 복원이론 55
      • 2) 파네, 아르간의 복원이론 60
      • 3) 건축복원의 접근법 62
      • 3. 비평적 복원의 이해 67
      • Ⅳ. 현대 비평적 복원 68
      • 1. 복원에서 보존으로의 이동 68
      • 1) 현대 보존문화의 탄생 68
      • 2) 보존의 윤리성 70
      • 3) 헌장을 통해 본 문화적 가치에서 사용가치로의 전이 71
      • 4) 순수한 보존과 통합된 보존 73
      • 2. 현대 비평적 복원의 개념 75
      • 3. 동일성의 복원 77
      • 1) 동일성 복원의 이해 78
      • 2) 발론(Valognes)의 생-말로(Saint-Malo) 성당 79
      • 4. 보존적 복원 90
      • 1) 보존적 복원의 이해 91
      • 2) 만치(Manche)의 생-로(Saint-Lô) 성당 91
      • 5. 현대 비평적 복원의 이해 98
      • 1) 생-말로(Saint-Malo), 생-로(Saint-Lô) 성당 복원의 의의 98
      • 2) 현대 비평적 복원의 이해 99
      • Ⅴ. 결 론 101
      • 1. 연구의 요약 101
      • 2. 숭례문 복원과 파리 노트르담 복원에 관한 비평적 해석 104
      • 3.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108
      • 참고문헌 110
      • Abstract 1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