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에 나타난 역사 공간의 장소성 연구 = A study on placeness of historical space in media facade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0681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커뮤니케이션학과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00.13 판사항(6)

      • DDC

        700.10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74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병민
        참고문헌: 장 67-72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edia facades in historical space are increasingly being used to make local and historical spaces attractive in Korea. However, the quantitative spread of media facade that only focuses on the spectacle technology of new media can bring 'pla...

      Recently, media facades in historical space are increasingly being used to make local and historical spaces attractive in Korea. However, the quantitative spread of media facade that only focuses on the spectacle technology of new media can bring 'placeles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facade contents and 'placeness'; this study defines media facade in historical space as a kind of cultural content and analyzes placeness of historical space in media facade contents. The previous studies on media facade mainly approach from technical and design viewpoint, or deal with media facade cases of contemporary space. Thu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media facade contents in historical space.
      The study relates the components of the media facade in historical space to placeness and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formed by media facade in historical space. 'Historical space' evokes social place memories, and 'Contents' allows subjective experience and feelings of place. 'Media facade' serves as a mediator between history space and contents, and forms placeness through collective and intense experience.
      The combination of historical space and media facade has been realiz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jection mapping. It started in 'Son et lumière' of France and developed into a festival form. Media facade combined with the historical space became cultural contents and it has been used to develop place identity. Media facade in historical space is able to be typed according to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 and it influences the experience of the viewer depending on the type.
      The study analyzes the media facade contents in Korea based on above theoretical framework. Seokjojeon contents, Jeondong Catholic Church contents, and Suwon Hwaseong contents case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omponents of historical space, ‘physical setting’, ‘activities’, and ‘meanings’ were expressed by 'virtual extension and transformation', 'community experience', and 'branding' through the contents plan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역사공간 미디어 파사드들이 지역과 역사공간을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활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신매체의 기술적 스펙타클에만 집중한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의 양적...

      국내 역사공간 미디어 파사드들이 지역과 역사공간을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활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신매체의 기술적 스펙타클에만 집중한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의 양적인 확산은 오히려 장소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역사공간 미디어 파사드를 일종의 문화콘텐츠로 분석해 장소성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기존 미디어 파사드 연구들은 주로 기술적, 디자인적 관점에서 접근하거나 현대 공간의 미디어 파사드 사례들을 다루었다. 따라서, 역사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에 집중한 연구가 필요하다.
      역사공간 미디어 파사드의 구성요소와 장소성 간의 관계를 고찰해보면, 역사공간은 사회적인 장소기억을 불러일으키고, 콘텐츠는 장소에 대한 주체적인 체험과 감정이입을 가능하게 했다. 미디어 파사드는 역사공간의 장소정신과 콘텐츠를 통한 장소감을 상호작용하게 만드는 매체의 역할을 하면서 집단적이고 강렬한 체험을 통해 장소성을 형성한다.
      역사공간과 미디어 파사드의 결합은 프로젝션 맵핑 기술의 발전을 통해 실현되었으며 프랑스 ‘송에뤼미에르’를 시작으로 축제 형태로까지 발전하였다. 역사공간과 결합한 미디어 파사드는 문화콘텐츠의 성격과 퍼포먼스의 성격이 강해졌으며 장소와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는 기능으로 활용되었다. 본 논문은 시·공간적 성격에 따라 역사공간 미디어 파사드의 유형화를 시도했는데 유형에 따라 관람객의 몰입과 체험요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에 나타난 역사공간의 장소성을 분석하였다. 유형분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경험적 특징을 가지는 <석조전, 낭만을 상상하다>, <전동성당, 빛의 옷을 입다>, 수원야행의 <빛의 산책>, <빛을 바라보다>의 콘텐츠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역사공간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물리적 요소, 활동적 요소, 의미적 요소가 미디어 파사드의 매체 특성을 활용한 콘텐츠 기획을 통해 각각 가상적 확장과 변용, 공동체 경험, 브랜드화로 장소성이 표현되었다. 따라서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를 통한 역사공간의 장소성 표현을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에 특화된 기획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ⅴ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3
      • 국문초록 ⅴ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검토 3
      • 제3절 연구방법 7
      • 제2장 이론적 고찰 9
      • 제1절 역사공간과 장소성 10
      • 제2절 미디어 파사드와 장소성 12
      • 제3절 콘텐츠와 장소성 17
      • 제4절 역사공간 미디어 파사드의 장소성 특징20
      • 제3장 미디어 파사드와 역사공간의 결합 24
      • 1절 국내외 동향 24
      • 2절 유형분류와 특징 29
      • 제4장 사례 분석 36
      • 제1절 석조전 <석조전, 낭만을 상상하다> 37
      • 제2절 전동성당 <전동성당, 빛의 옷을 입다> 45
      • 제3절 수원화성 <빛의 산책>, <빛을 바라보다> 52
      • 제4절 소결 61
      • 제5장 결론 65
      • 참고문헌 67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