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화대혁명이 중국 음악 발전에 미친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revolution on the development of music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9511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상명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70 판사항(6)

      • DDC

        78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 115장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악보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장민호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대혁명 시기의 음악 연구는 마오쩌둥의 집권 직후의 시기보다 2000년 이후부터 많이 생겨났음을 볼 수 있다. 현재의 중국 문학계나 예술계 안의 교육 분야는 특별하고 극히 화제성이 있...

      문화대혁명 시기의 음악 연구는 마오쩌둥의 집권 직후의 시기보다 2000년 이후부터 많이 생겨났음을 볼 수 있다. 현재의 중국 문학계나 예술계 안의 교육 분야는 특별하고 극히 화제성이 있는 이 문화대혁명 역사 시기의 연구에 대해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10여 년간, 문화 대혁명기의 음악적 발전을 연구배경으로 한 주제는 국내외 연구자들의 흥미를 끌었다.
      중국 음악학자 량마오춘(梁茂春)의“음악사 연구를 깊이 하자―문화대혁명 음악 연구 단상”,워이쥔(魏军)의“전지신가: 문화대혁명 음악의 역사적 전환”,영국 정치학자 리차드 커트크라우스(Richard CurtKraus)의 “피아노와 정치 중국에서: 중국 중산층의 서양음악에서의 포부와 발악”(Pianos and Politics in China: Middle -class Ambitions and the Struggle over Western Music), 독일 중문학자 파파라 미트르 (Barbara Mittler)의 문화대혁명 시기의 모범극과 정치 현대화: 지혜롭게 위호산을 탈취한 사건을 개별적인 사건으로 연구(Cultural Revolution Model Works and the Politics of Modernization in China: An Analysis of Taking Tiger Mountain by Strategy) 등 문화대혁명 음악 현상과 음악의 역사적 전환, 그 시기 음악의 개별사례 분석, 음악교육의 연구, 문화대혁명 음악 형식의 특징 연구 등을 볼 수 있고 연구자들은 자신의 관점과 이 시기 음악의 각 형태의 발전에 대하여 상세한 분석을 하였고 많은 귀중한 역사적 가치를 제공하였다.
      문화대혁명 시기에 교육의 전면적 중단화와 혁명을 일으키는 정책으로 인해 중국 문화 발전에 전례 없는 역사적 단층이 나타났다. 예술은 공산당을 대중에게 선전하는 편리한 수단으로서 발전 과정 중 이미 전부 정치화되었고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마오쩌둥은 사회의 발전에 예술을 적용하여 수시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지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예술은 대중화와 정치를 위해 봉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이 시기 마오쩌둥의 예술사상 추진 하에 중국 근대 시기의 새 민요, 민요 개편, 희곡 음악 등 음악 형식들은 모두 혁명 발레, 혁명 모범극, 혁명 교향곡, 혁명 영화음악, 마오쩌둥 어록가 등 혁명 특징을 갖춘 음악 형식으로 대체되었다. 또한, 서양의 유익한 문화를 받아들여 중국의 민족주의적인 정서를 부각하고 음악의 민족화를 발전시키는 일에 힘썼던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시기의 피아노와 서양 현악기는 고전 클래식 음악 연주를 금하고 중국 전통 모범극을 개편하고 그 외 혁명 주의적 성격을 띤 민족음악만을 연주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대혁명 시기 마오쩌둥 집권 하의 문예 정책과 예술사상, 그 시기 중국음악의 변화와 음악 창작에 대한 제한 및 창작된 음악 유형과 그 후에 음악의 변화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화대혁명 전반에 걸친 시기가 현재까지 이어오는 중국 음악발전에 미친 영향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다각화된 시각을 열어 문화대혁명 시기의 음악과 정치의 관계를 재조명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동시에 다른 연구자들에게 선행연구로서 참고 가치를 가져다주고 중국음악 연구 영역에 미미한 힘이나마 가져다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본 논문에 나타나는 부족한 점은 훗날 중국 음악과 역사에 관한 연구학자들이 직접 비판하고 바로잡아주기를 바란다.

      주제어: 문화대혁명, 중국음악,마오쩌둥의 문예 사상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ies on the music of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appeared in a larger number after year 2000, compared to the period immediatelyafter Mao Zedong’s seizure of power. The education field in the current literatureand art worlds of China is seeking...

      Studies on the music of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appeared in a larger number after year 2000, compared to the period immediatelyafter Mao Zedong’s seizure of power. The education field in the current literatureand art worlds of China is seeking a new direction for research on thehistorical period of Cultural Revolution, which is special and a topic of greatinterest. In the last ten years, subject matters having musical progress during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as a research background have caught the interest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rs.
      Consequently, the following studies have emerged: studies onthe Cultural Revolution music phenomenon and music’s historical transition,individual case studies of music in that period, studies on music education, and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Revolution music forms. The examplesinclude: “Let Music History Go Deep: Preliminary Studies of Cultural RevolutionMusic” by Liang Maochun (梁茂春), a Chinese musicologist; “NewSongs from the Battlefield: Historical Changes of Cultural Revolution Music” byWei Jun (魏军); “Pianos and Politics in ChinaMiddle-class Ambitions and the Struggle over Western Music” by Richard Curt Kraus,a British political scientist; and “Cultural Revolution Model Works and thePolitics of Modernization in China: An Analysis of Taking Tiger Mountain byStrategy” by Barbara Mittler, a German Chinese-literature scholar. Theresearchers conducted detailed analysis on the progress of each musical form inthis period as well as their perspectives, and provided many invaluablehistorical insights.
      Because of the full-scale suspension of education in theCultural Revolution period and the enforcement of policies inducing therevolution, an unprecedented historical fault line appeared in the Chineseculture development. As a convenient means of propagating the Communist Partyto the general public, arts had become politicized during the process ofprogress. Furthermore, Mao Zedong, who led the Cultural Revolution, gave adirective that the arts should be applied to the progress of society andchanged frequently.
      To be more specific, Mao insisted that the arts should bepopularized and serve politics. Consequentially,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Maoist art philosophy, musical forms such as new folk music of Chinese modernperiod, reform of folk music, and music for plays were all replaced with onesthat had revolution characteristics such as revolutionary ballets,revolutionary model plays, revolutionary symphonies, revolutionary film music,and Mao’s quotations songs. Furthermore, by adopting beneficial cultures of theWest, efforts were made to raise the nationalistic sentiments of China and advancethe racialization of music. Pianos and western string instruments of thisperiod were allowed only for playing nationalistic music that had revolutionarycharacteristic, in addition to reformed Chinese traditional model operas, whileprohibiting classical music.
      This study aims to perform a detailed analysis of the effectof the Cultural Revolution as a whole on the progress of Chinese music up to presentday by looking at the arts and literature policies and art philosophy under Mao’sregime in the period, changes in Chinese music, restriction on music creation,created music types during the period, and changes in music thereafter.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new light will besh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 and politics of the CulturalRevolution period by having diversified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it is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the value of reference as a preliminary study toother researchers and contribute to the Chinese music study domain, regardlessof how small or large it is. It is hoped that, in future, scholars of Chinsemusic and history will criticize and rectify the limitations of this paper.

      keywords: Cultural Revolution,Chinese music,Mao Zedong's literary and artistic ide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개요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범위 5
      • Ⅱ. 본 론 8
      • I. 서 론 1
      • 1. 연구의 개요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의 범위 5
      • Ⅱ. 본 론 8
      • 1. 마오쩌둥과 문화대혁명 8
      • 1.1. 마오쩌둥의 생애 8
      • 1.2. 문화대혁명 개요 10
      • 1.3. 문예강화(文艺讲话)의 문예정책 13
      • 1.4. 문화대혁명과 중국의 예술 18
      • 2. 문화대혁명 시기의 음악 창작에 대한 제한 25
      • 2.1. 정치화 주제 25
      • 2.2. 민족화 언어 28
      • 2.3. 사회 환경 29
      • 2.4. 창작형식의 단순화 30
      • 2.5. 창작조성의 단순화 32
      • 3. 문화대혁명 시기에 만들어진 음악들 35
      • 3.1. 혁명발레 35
      • 3.2. 혁명모범극 37
      • 3.3. 혁명교향곡 41
      • 3.4. 혁명영화음악 43
      • 3.5. 마오쩌둥 어록가 48
      • 4. 문화대혁명과 중국 음악 54
      • 4.1. 중국 음악교육의 변화 54
      • 4.1.1. 학과 개혁 54
      • 4.1.2. 서양음악에 대한 관계의 정립 60
      • 4.2. 서양 음악적 요소의 활용 61
      • 4.2.1. 피아노로 개편한 모범극‘홍등기’ 62
      • 4.2.2. 현악4중주로 개편한 모법극‘해항’ 68
      • 4.3. 민족 관현악기의 발전 72
      • 4.3.1. 소재의 변화 72
      • 4.3.2. 음악 스타일의 변화 78
      • 4.3.3. 구조의 변화 81
      • 5. 문화대혁명 시기와 그 후에 음악의 변화 85
      • 5.1. 음악적 변화 85
      • 5.1.1. 음악 주제의 변화 85
      • 5.1.2. 음악 가사의 변화 88
      • 5.1.3. 작곡 기법의 변화 95
      • 5.2. 서양 악기의 쓰임 새 변화 99
      • 5.2.1. 서양악기로 무주제음악의 연주 등장 99
      • III. 결 론 104
      • [참고문헌] 108
      • [ABSTRACT] 11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달중, "『中國의 改革政治와 政策』,", 法文社, 1990

      2 김시준, "『中國의文藝政策수립 및 변화 연구』", 法文社, 서울, 1995

      1 김달중, "『中國의 改革政治와 政策』,", 法文社, 1990

      2 김시준, "『中國의文藝政策수립 및 변화 연구』", 法文社, 서울,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