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림사 문화콘텐츠 지식맵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96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랜 시간에 걸쳐 물리적 환경과 인간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문화유적은 지역의 역사, 문화를 기록하며 복제 불가능한 존재이다. 문화유적은 유형적인 존재로 무형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

      오랜 시간에 걸쳐 물리적 환경과 인간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문화유적은 지역의 역사, 문화를 기록하며 복제 불가능한 존재이다. 문화유적은 유형적인 존재로 무형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준다. 지역문화자원의 일부로 볼 수 있는 문화유적의 보존 및 전승 패러다임이 인문학 연구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유형물의 보존에 있어 유형물에 담긴 무형적 문화자원에 대한 발굴 및 전승 패러다임도 연구자들에 의해 끝임없이 제시되고 있다.
      문화유적은 문화의 소산으로 인류 역사의 전개 과정에 남겨진 인간 활동의 흔적이며, 문화적인 가치가 있는 유산으로 민족이나 지역의 정체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콘텐츠의 원천소스이다. 문화유적에 담긴 유·무형 자원을 활용하면 다양한 콘텐츠들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 후손들은 전통문화 전파의 올바른 길을 탐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통문화와 현대문화를 융합해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종교 요소, 사회 요소, 역사 요소, 지리·풍토 요소뿐만 아니라 보호, 개발 정책 및 사업 영향 등 다양한 요소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적이라는 존재에 지속적으로 작용하므로 하나의 문화 복합체인 문화유적을 형성시켜 주었다. 오늘날 매체의 다각화와 콘텐츠의 다양화로 갈수록 방대해진 문화유적 관련 정보를 지식으로 조직화하고 효율적인 문물 보존, 지식 전달, 지식 생산을 실현하기 위해서 접근성과 생산력이 높은 지식 전파· 생산 방식을 찾아야 한다. 이중의 한 가지 시도는 바로 지식맵(Knowledge Map) 구축이다.
      본 연구는 소림사를 원형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개발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디지털인문학(Digital Humanities)의 연구방법을 동원하여 지식맵으로 시각화하고 사용자에게 지식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생산적인 지식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소림사 지식맵 구축은 소림사 무형문화자원, 유형문화자원 및 콘텐츠 활동 정보, 관련 정책 정보를 연계 네트워크의 구축과 시각화를 통하여 소림사라는 존재를 보존하고 관련 지식의 창출을 실현하는 것이다.
      전 세계 범위에서 문화 발굴 및 전승의 성공적인 사례로 뽑힐 수 있는 소림사는 역사와 발전에 따라 방대한 정보 데이터를 갖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체계화하여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디지털 시대 문화유적에 대한 보호 및 전승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소림사’라는 중국 대표문화유적을 통하여 시·공간 차원에서의 온톨로지 기반 지식맵을 설계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토대로 디지털 시대에 문화유적 기반의 문화콘텐츠 지식맵 구축 방안을 탐구하고 문화유적 관련 정보를 지식으로 진화시킬 수 있는 네트워크를 설계함을 통해 문화콘텐츠 개발 및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을 체계화하고 문화의 보호, 전승 및 지식의 전파, 생산 등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ltural sites, as a non-replicable existence of recording regional history and culture, are formed in a long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eraction of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What cultural sites present are not only existing fo...

      Cultural sites, as a non-replicable existence of recording regional history and culture, are formed in a long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eraction of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What cultural sites present are not only existing form of the material, but also include its non-material form of the history and culture. With the deepening of the humanities research in the field of cultural sites protection and inheritance, as well as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scholars are constantly exploring and inheriting various new models of cultural resources carried by cultural sites.
      Cultural sites are the marks of human activities left over by launching the process of history and the carrier of regional culture, national culture and historical culture. Therefore, material cultural resources and non-material cultural resources carried by cultural sites provide abundant original sources for culture contents. Taking full advantage of material cultural resources and non-material cultural resources based on cultural sites can not only have the practical significanc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but also have the extraordinary meaning for seeking the right spreading route of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society and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ulture.
      As time goes b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contained by cultural sites are also changing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continuous fusion, the factors of religion, society, history, geography, customs and protection, development policy, industrial development trends and many other elements result in the related knowledge system of today's cultural sit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network and information data of the cultural sites are continuously change and increase. Especially in the diversified forms of media and culture contents today, the problem what we need to solve is that how to transform increasingly large information data of cultural sites into an organized knowledge so as to achieve the protection of cultural relics and the effective spreading of knowledge and production. So we need to explore the knowledge spreading and production ways with practical convenience and high production capacity. And building knowledge map is based on this kind of exploration.
      This study’s target is to provide systematic knowledge of Shaolin Temple and build a productive knowledge system for users by using digital humanities research methods to visualize the relevant information of Shaolin Temple which applies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culture contents through the knowledge map. The construction of Shaolin Temple knowledge map can realize the protection of Shaolin Temple culture and the spreading and production of relevant knowledge through building and visualizing the relationship network of Shaolin Temple’s material cultural resources information, non-material cultural resources in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relevant policy information of culture contents.
      Shaolin Temple is a successful case in cultural development and inheritance in the world. It has a huge amount of information and data in the history valid systematization is an effective way to protect and inherit cultural sites in the digital age. Based on Shaolin Temple,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al sites in China, this paper designs and constructs the knowledge map of the connection ontology in time dimension and spatial dimension. Based on this, the author studied the case of multi-dimensional connected knowledge map in the digital age which takes cultural sites as the center, in order to achieve the protection and inheritance of culture and the spreading and production of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분석 6
      • 제3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14
      • 제2장 문화유적과 지식맵의 이론적 고찰 18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분석 6
      • 제3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14
      • 제2장 문화유적과 지식맵의 이론적 고찰 18
      • 제1절 문화유적과 문화콘텐츠 18
      • 1. 문화유적의 정의와 특징 18
      • 2. 문화콘텐츠 원형으로서의 문화유적 24
      • 제2절 지식맵에 관한 이론적 고찰 27
      • 1.지식맵의 유래 27
      • 2.지식맵의 개념과 기능 28
      • 3.온톨로지와 지식맵 29
      • 제3절 문화유적 지식맵 기능과 의미 34
      • 제3장 문화유적 기반의 문화콘텐츠 정보 네트워크 분석 39
      • 제1절 육하원칙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정보 분류 39
      • 제2절 시‧공간 차원에서의 문화콘텐츠 정보 분류 45
      • 1. 공간 정보 분석 46
      • 2. 시간 정보 분석 50
      • 제4장 소림사 문화콘텐츠 지식맵 지식 요소 분석 56
      • 제1절 소림사 무형문화자원에 관한 정보 분석 57
      • 1. 소림사 역사문화 57
      • 2. 소림사 사상문화 67
      • 3. 소림사 무술문화 77
      • 4. 소림사 의약문화 82
      • 제2절 소림사 유형문화자원에 관한 정보 분석 85
      • 1. 소림사 건축 85
      • 2. 소림사 유물 93
      • 제3절 소림사의 문화콘텐츠 개발 및 관련 정책 정보 분석 98
      • 1. 개발 초기 98
      • 2. 성장기 101
      • 3. 발전기 103
      • 제4절 온톨로지 구성 개체 검토 110
      • 제5장 소림사 문화콘텐츠 지식맵 구축과 활용 115
      • 제1절 소림사 지식맵의 설계 115
      • 1. 클래스 설계 116
      • 2. 속성 부여 122
      • 3. 관계 정의 123
      • 제2절 소림사 지식맵의 구현과 활용 127
      • 1. 소림사 지식맵의 구현 127
      • 2. 소림사 지식맵의 활용 147
      • 제6장 결론 160
      • 참고문헌 163
      • Abstract 175
      • 국문요약 17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위키백과, "https://ko", wikipedia.org, null

      2 釋永信, "『少林功夫』", 少林書局, 2006

      3 施宣圓, "『中國文化辭典』", 上海社會科學院出版社, 1987

      4 한주성(서평자), "네트워크의 지리학", 대한지리학회, 푸른길, 2015

      5 석청화, "역, , 『육조단경』", 관률출판사, 2003

      6 道宣, "『續高僧傳』 제 16권", 中華書局, 2014

      7 강봉진, "『건축문화유산대요』", 기문사, 기문사, 1998

      8 원공,, "『(중국) 인물 선종사』", 土房, 토방, 2010

      9 김현, "『인문정보학의 모색』", 북코리아, 북코리아, 2012

      10 김바로, 임영상, 김현,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HUEBOOKs, 2016

      1 위키백과, "https://ko", wikipedia.org, null

      2 釋永信, "『少林功夫』", 少林書局, 2006

      3 施宣圓, "『中國文化辭典』", 上海社會科學院出版社, 1987

      4 한주성(서평자), "네트워크의 지리학", 대한지리학회, 푸른길, 2015

      5 석청화, "역, , 『육조단경』", 관률출판사, 2003

      6 道宣, "『續高僧傳』 제 16권", 中華書局, 2014

      7 강봉진, "『건축문화유산대요』", 기문사, 기문사, 1998

      8 원공,, "『(중국) 인물 선종사』", 土房, 토방, 2010

      9 김현, "『인문정보학의 모색』", 북코리아, 북코리아, 2012

      10 김바로, 임영상, 김현,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HUEBOOKs, 2016

      11 김평수, 박치완, "『문화콘텐츠와 문화콘드』",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1

      12 김호귀, "역, , 『육조대사법보단경』", 한국학술정보, 2010

      13 김교빈,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6호, 인문콘텐 츠학회, 2005

      14 김은형, 박준구, "「공간 온톨로지 기술 동향」", 대한공간정보학회,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학술저널』, Vol.2009 No.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9

      15 강진석, "「북송 유가의 체용론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중국연구』, 제 28권,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01

      16 김현, "『지역문화와 디지털콘텐츠』", 북코리아, 북코리아, 2008

      17 고영범, 이승민, "역, 로버트 맥키 저, , 『STORY』", 민음인, 2009

      18 王双, 陳毓芬, "「旅游知识地图的构建与应用」", 『地理與地理信息科學』, Vol. 32 No. 6, 2016

      19 김상헌, "「데이터, 정보, 지식, 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27), 인문콘텐츠학회, 2012

      20 장호수, "「구석기유적의 정비복원 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1 한국불교수불자연합회, "『불교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 대한불교조계종, 대한불교조계종출판사, 1998

      22 박영구, 최병연, "역,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베텔스만 코리아, 2003

      23 조성륭, "「유적-유적지-전시관에 대하여」",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지 정비 개선방안 학술심포지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24 김광식, "『오늘의 문화유산 보존과 활용』", 시간의 물레, 2013

      25 박건주, "『(중국 초기 선종) 능가선법 연구』", 운주사, 운주사, 2007

      26 이치헌(Lee, Chi-Heon), "문화유산콘텐츠의 기획 방법론 연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문화콘텐츠연구』, (4),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4

      27 張晶, 胡昌平 , "面向用户的知识地图分类构建与应用」", 『數字圖書館論 壇』, 제 4기, 2017

      28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 『한국고고학사전』", 국립문화연구소, 2002

      29 전종한(Jeon Jonghan), 이명희(Lee Myeonghee), "중국의 역사지도 편찬에 관한 기초연구",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논총』, 56, 동북아역사 재단, 2017

      30 한동현, "「향토 문화 자료의 자원화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역사문화연구』 , 제36 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31 李海霞, "「少林寺文化品牌三十年发展历程反思」", 『當代經濟』, 제22기, 2013

      32 김태완, "「육조혜능(六祖慧能)의 새로운 선(禪)」", 『철학논업』, 제19호, 새한철학회, 1999

      33 유동환, "“디지털 문화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문화콘텐츠연구』, 제3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34 최병두(Byung-Doo Choi),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위상학적 공간 개념", 한국고전연구학회, 『공간과 사 회』, 제25권 3호,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35 박범준, "「문화콘텐츠의 출현과 구조, 그리고 구현」",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글로벌문화콘텐 츠』, Vol.3,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09

      36 이남희, "『역사문화학: 디지털 시대의 한국사 연구』", 북코리아, 2016

      37 민현준, 박찬수, "「유적 유구를 활용한 문화시설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1), 대한건축학회, 2010

      38 이혜옥, "「중국 초기 선종(禪宗)의 사상과 수행 고찰」", 한국선학, 제 21 호, 한국선학회, 2008

      39 박치완, "『키워드 100으로 읽는 문화콘텐츠 입문사전』", 꿈꿀권리, 꿈꿀권리, 2013

      40 장문현, "「공간정보 기반의 감성문화지도 시각화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제49권 1호, 국토지리학회, 2015

      41 왕쉐룽, "「중국 대형 유적지 및 대형 유적지 보호 이용」",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한중인문학포럼, 2016

      42 이기숙, "역,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저, ,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43 최혜옥, "장정아 외, , 「공간위치정보기술 표준화 연구」", 『 한국GIS학회 춘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GIS학회, 2005

      44 이석훈, 이종현, "「육하원칙 온톨로지 기반의 뉴스 필터링 방법」",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7(1C), 한국정보과학회, 2010

      45 湯一介, "「從印度佛敎傳入中國看兩種文化的衝突與融合」", 『深圳大學學 報』, 제3기, 1985

      46 夏月亮, "「数字人文视域下少林寺年文化的传承与海外传播」", 『科技展望』, 제 20기, 2017

      47 한동현, "「문화콘텐츠학의 새로운 포지셔닝: 디지털 인문학」",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한국문예비평연구』, 제40집,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48 김경택, "역, Molly Raymond Mignon 저, ,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론』", 지류성출판사, 2006

      49 성춘자, "「공간정보 기반의 한국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 설계」",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 학회지』 제22권 제1호,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50 강연호, "「디지털 시대,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의미와 방향」",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2(2),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51 엄광호, "「온톨로지 기반 공정 선택 지식 모델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2 김선태, 이원구, "「국가 R&D 정보에 대한 온톨로지 기반 지식맵 서비 스」",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3,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53 김동훈, "「문화정보관리 유통체계를 위한 지식맵 서비스 연구」", 한국문화정보센터, 2013

      54 신춘호, "「‘17C 역사소설 공간’ 전자문화지도 구축 방안 시고」", 『글로벌문화콘텐츠』, 제 20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5

      55 송해연, "「서탑 코리아타운과 심양 한국주 축제의 지식맵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56 양홍진, "「중국 고고 천문 유적의 지역적 분포와 특성에 대하여」", 『동아시아고대학』, 제 32집,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57 김철원, 박동훈, "「온톨로지 기반 대학정보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한국정보통신학회,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집』, Vol.16 No.2.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58 이경원, 정겨운, 이지수, "「스토리텔링의 시각화를 위한 개념적 맵들의 특성 분석」", 한국HCI학회,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HCI학회, 2008

      59 배영동, "「문화콘텐츠화 사럽에서 '문화원형' 개념의 함의와 한계」", 『 인문콘텐츠』, 제6호, 인문콘텐츠학회, 2005

      60 김바로, "역사기록의 전자문서 편찬방법 탐구 - 역사요소를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회, 『열상고전연구』, 제51집, 열상고전연구회, 2016

      61 이희성, 황인식, "하성도, , 「지식맵과 비교지식을 이용한 지능형 추천 시스템」",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 한국정밀공학회, 2004

      62 김부찬, "「좌선(坐禪)의 개념을 통해본 선사(禪師)들의 심신관(心身 觀)」", 『유학연구』, 제 24집,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63 김창우, "「시공간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데이터 모델 개발에 관한 연 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64 백진규, "-08-18 ,「중국 지식공유 플랫폼 성업, 업체급증 시장 눈덩이 성장」", 『뉴스핌』,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818000128, 2017

      65 김진무, "『중국 불교 사상사 – 유불도 통섭을 통한 인도불교의 중국적 변용』", 운주사, 운주사, 2015

      66 郭黛姮, "「중국 불교사원 건축의 성립과 전개」, 『동아시아불교문화』, 제3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09

      67 김민형, 임영상,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을 다시 생각한다: 인문콘텐츠에서 지식콘텐츠까지",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 41호, 인문콘 텐츠학회, 2016

      68 우태희, "「시간 및 공간적 정보 연계를 바탕으로 한 정보 시각화 시 스템 디자인」",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9 양명석, 이준영, 이방래, 노경란, 김도현, 권오진, 최광남, 김한준, "“과학기술 지식 맵의 형태적 분류와 정보분석 관점의 지식맵 사례 도출”",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3(11), 한국콘텐츠학회, 2013

      70 최연식, "역, Z rcher, E. (Erik) 저, 『불교의 중국 정복: 중국에서 불교의 수용과 변용』", 씨아이알, null

      71 이기상, "「지구지역화와 문화콘텐츠: 지구촌 시대가 기대하는 한국 문화의 르네상스」",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8호, 인문콘텐츠학회, 2006

      72 김근영, 김상범, "『소림사에서 쿵푸만 배우란 법은 없다: 끊임없이 변신하는 기업들의 경영비법』", 삼성경제연구소, 삼성경제연구소, 2011

      73 조춘만 , 황성남, "「공간 위계별 공간정보 융 복합 추진 방안」, 『한국공 간정보학회지』, Vol.21 No.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013

      74 오병근, "문예란 조예영, , 「주제기반 지도의 정보 다자인 연구」, 『디자 인학연구』, 제 97호", 한국디자인학회, 2011

      75 윤덕현, "「교육지식관리 도구로서의 지식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특히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76 주동완, "「해외 한인문화의 자원화 방안 연구: 뉴욕 코리아타운 축제의 지식맵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77 강진갑, "「한국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화 연구-'경기도 역사문화체 험 가상현실시스템'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78 정민채, "「역사 문화 유적지의 교육성,브랜드 가치,선택속성이 관광 만족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79 김남일, "「고문서 메타데이터 표준화 현황과 과제: 역사정보통합시스 템과 한국국학진흥원의 고문서 메타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고문서 연구』,제34호, 한국고문서학회, 2009

      80 강상현, "「문화유산 콘텐츠의 효과적 정보전달을 위한 semantic VR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rich user experience 디자인을 중심으로」", 동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81 김정민, "박철만 외, , 「온톨로지 기반의 지식맵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제 30권 제1호(A)", 한국정보과학회,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