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역사환경보존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인사동을 중심으로 = (A) preservation of the historic environment : a case of Insa-d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367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의 양상은 크게 자본주의의 논리에 입각한 개발의 필연성을 주장하는 입장과 도시의 특성이나 유래를 말해주는 가로나 건축물 등의 역사적 환경을 보전해...

      도시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노력의 양상은 크게 자본주의의 논리에 입각한 개발의 필연성을 주장하는 입장과 도시의 특성이나 유래를 말해주는 가로나 건축물 등의 역사적 환경을 보전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나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두 입장 중 후자의 입장 즉, 역사적 환경을 보전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역사환경보존의 의미를 정리하고 우리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문화·역사적 환경을 가진 한 지역에 서 면(面)적인 보존으로서의 역사환경지구의 보존에 대한 필요성과 그 가치를 조명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서울시의 전통과 문화를 상징해 줄 수 있는 공간인 인사동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이 지역의 보존 및 개발계획의 수립방법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즉,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게 되는 보존은 점(點)적인 보존이 아니라 면(面)적인 보존으로서 인사동 사례지역을 선정한 것은 이 지역에 역사환경보전계획을 적용하였을 경우 그 성공사례가 타 지역의 모범이 되리라는 판단에서이다. 또한, 영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의 사례를 소개하여 역사환경보존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역사환경의 개념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마다 다소 상이한 입장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그러한 개념들이 공통적으로 담고 있는 내용은 광의적으로는 역사의 결과로서 형성되어진다는 점에서 모든 환경을 가리키며, 협의적으로는 보전하여 후손에게 물려줄 가치가 있는 대상을 일컫는다. 즉, 도시에 역사적 가치를 부여하고 시간의 영속성이 살아있는 도시를 후손에게 물려준다는 입장으로 도시의 관리나 개발을 함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사례 대상지인 인사동은 서울의 전통적 이미지를 가진 곳 중의 하나로 역사환경보존계획을 논함에 있어 적절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인사동지역은 1930년대를 전후하여 나타난 개량한옥과 전통적인 골동품 및 미술관련 상가가 형성된 지역이었으나 최근의 ‘인사동 차 없는 거리’ 등의 행사와 함께 방문인구가 증가하게 되자 대형 합필과 고층건물 신축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가가 상승하게 되고 결국 개발심리가 팽배해져 인사동 고유의 이미지는 날로 훼손되어 가고 있다.
      인사동의 12가게 살리기 운동과 함께 시민단체와 지역상인들은 인사동을 지키기 위한 자발적인 보존운동을 하게 되었으며 1999년 말, 서울시는 시장령에 의해 2년 간 신축불허방침을 발표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함께 인사동지역의 역사적 가치를 고려하는 ‘도시설계지구’계획을 마련하게 되었고, ‘문화지구’로의 선정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사동지역의 역사적 환경의 보존과 관련하여 일반시민 50명과 지역 내 상인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현재 인사동지역의 역사환경보존계획의 동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역사환경보존의 목표와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사환경 보존계획의 실효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며 무엇을 보존할 것인가와 보존의 주체는 누가 되어야 할 것인가와 보존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둘째, 역사적 가치와 보존의 가능성을 인정받아 역사지구로 지정되는 구역에 대한 특별관리정책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현재 문화재보호법 제8조는 문화재보호상 필요한 경우 이를 위한 보호물 또는 보호구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인사동과 같은 역사환경지구의 보존과 관련하여서는 ‘지구보존’의 기준이 애매한 상황이다. 역사적 환경에 대한 특별조치법이라든지 역사적 보존법 등의 제정이 시급히 요청된다.
      셋째, 도시의 역사성을 지닌 공간을 협소하게 보아오던 시각을 보다 광범위한 시각으로 보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즉, 기존에는 도시의 역사성 보존을 단순히 국보급 구조물을 보존한다는 차원에서만 다루었지만 이제는 도시전체의 고유성과 가치를 존중하는 도시계획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넷째, 주민참여의 확대와 커뮤니티 운동의 추진을 통한 도시의 역사성 보존에 대한 연대가 필요하다. 이는 역사환경보존계획의 수립부터 집행에까지 정책집행자와 정책의 수혜자 사이의 의사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해 줄 뿐만 아니라 감독자의 역할(monitoring)까지 기대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이다. 시민들에 의한 자발적인 보존의지가 뒷받침되어지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제도일지라 하더라도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역사환경을 보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주민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살고 있는 도시에 대한 애착, 소속감, 도시의 정체성은 물론이거니와 쾌적한 도시환경을 통한 삶의 질 제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밖에도 도시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고, 역사성을 지키므로 인해서 도시의 생활이 풍부해지는 것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역사환경을 도시를 활성화시키는 자원으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역사환경보존의 정당성은 바로 이러한 내용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exist two different aspects as how to recover the appropriate function of a city. One is adhering to maintaining the developmental forces of a city and the other is to preserve the landmarks and historical streets of a city. The purpose of this...

      There exist two different aspects as how to recover the appropriate function of a city. One is adhering to maintaining the developmental forces of a city and the other is to preserve the landmarks and historical streets of a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historical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also to propose feasible policy alternative pertaining this subject.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reserving historical district will be covered as well. This study was carried out giving focus to the case of "Insa-Dong", which is a major symbol of traditional culture still remaining in Seoul. Concept of preservation referred in this study was not confined to a narrow spacial point of preservation but expanded to preserv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case was selected in the grounds that it might be work as an example to similar districts in other cities. Cases from UK, USA, and Japan were also examined to derive a relevant implication in the similar field of study.
      The object of this study, Insa-dong is one of the rare places where traditional residential buildings are partly preserved and stores selling traditional goods are mixed into the setting of highly commercialized city center. Special events like "car-free Insa-dong" draw in more visitors into this district causing large construction of high storied commercial buildings. Increase in commercial interest of this area raised the land value and triggered the trend for development. This might ultimately harm the image of Insa-dong's idiosyncratic image as the symbol of historically preserved cultural district.
      Several shop-owners of this area and civil organizations that confer importance to this place became to act on preservation voluntarily at the end of 1999. The municipal government announced a law prohibiting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for two years. Gradually, a proposal of recognizing this place's historical background was provided and it is in the process of legitimizing it as special cultural district.
      This study was built on the survey results of fifty citizens and shop keepers of the same number in this area.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following proposals could be made:
      First, specific objective and vision concerning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environment should be proposed. Feasibility assessment of concrete preservation plan is also called for. This includes the matter of what actually needs to be preserved and who should be the acting force of preservation. Methods of how to preserve is also an important point.
      Second, a special management policy for preservation districts which are valued historically should be established. The acting preservation law on cultural heritage designates to entitle specific objects or area to include into the boundary of legitimate preservation. However, it is somewhat ambiguous to include Insa-dong into the same boundary. It is necessary to enact a special law for similar cases.
      Third, viewing urban history from a urban planning form a narrow perspective should be corrected. Urban planning respecting the peculiar value of a city should be provided.
      Forth, it is essential to entail citizen participation and form a community who share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preservation. Those kind of movements can faciliate communication and take a mediating role within the entire policy process.
      However, the most of all important thing for resolving this matter is the ultimate change of citizen's attitude fo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environment. Voluntary participation for support concerning this matter will enable successful perform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목차례 = ⅰ
      • 표차례 = ⅲ
      • 그림차례 = ⅳ
      • 국문요약 = ⅵ
      • 제1장 서론 = 1
      • 제목차례 = ⅰ
      • 표차례 = ⅲ
      • 그림차례 = ⅳ
      • 국문요약 = ⅵ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목적 = 1
      • 1.2. 연구의 범위 및 연구방법 = 2
      • 1.2.1. 연구의 공간적 범위 = 2
      • 1.2.2. 연구의 내용적 범위와 연구방법 = 3
      • 제2장 역사환경보존의 개념 및 제도의 검토 = 5
      • 2.1. 역사환경보존의 개념 = 5
      • 2.1.1. 역사환경보존의 정의 = 5
      • 2.1.2. 역사환경보존의 가치와 필요성 = 10
      • 2.2. 관련 법규 및 제도에 대한 검토 = 12
      • 2.2.1. 국내 역사환경보존 법규 및 제도에 대한 검토 = 12
      • 2.2.2. 해외 역사환경보존 법규 및 제도에 대한 검토 = 22
      • 가. 영국의 역사환경보존제도 = 22
      • 나. 미국의 역사환경보존제도 = 24
      • 다. 일본의 역사환경보존제도 = 29
      • 라. 해외사례의 시사점 = 34
      • 2.3. 역사환경보존의 선행연구 = 35
      • 제3장 사례 대상지 선정 및 분석 = 39
      • 3.1. 대상지 선정 = 39
      • 3.1.1. 대상지 선정 기준 및 배경 = 39
      • 3.1.2. 대상지의 특성 및 개요 = 40
      • 3.2. 인사동 지역 역사환경보존의 동향 = 56
      • 3.2.1. 인사동의 정체성 운동과 열 두 가게 살리기 운동 = 58
      • 3.2.2. 인사동 문화지구 지정의 추진 = 62
      • 3.3. 대상지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 = 63
      • 3.3.1. 설문지의 구성 = 63
      • 3.3.2. 설문조사 분석 = 65
      • 3.3.3. 소결 = 99
      • 제4장 역사환경보존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103
      • 4.1. 역사환경보존의 문제점 = 103
      • 4.1.1. 역사환경보존의 일반적 문제점 = 103
      • 4.1.2. 법·제도적 문제점 = 108
      • 4.2. 역사환경보존계획의 개선방향 = 109
      • 제5장 결론 = 114
      • 5.1. 연구의 요약 = 114
      • 5.2. 정책적 제언 = 115
      • 참고문헌 = 118
      • <부록> = 122
      • ABSTRACT = 1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