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과 중국의 검무에 관한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714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2.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Sword Dance and Chinese Sword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 형태사항

        77 p.:: 삽화,표;; 26cm

      • 일반주기명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지영
        참고문헌: p. 63-67

      • UCI식별코드

        I804:11028-20000028297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meaning of cultural anthropology is establishing a dance narrative against thebackground of culture and evaluating its value. In this study, histories ofKorean and Chinese sword danc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cultural anthropologic...

      Themeaning of cultural anthropology is establishing a dance narrative against thebackground of culture and evaluating its value. In this study, histories ofKorean and Chinese sword danc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cultural anthropological insight model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explore potential directions of developing Chinese sword dance education. Inaddition, cultural anthropology can also promote understandings of the natureof dance, propose dance theoretical analysis, and put forward theories as wellas evaluation methodologies of dance culture evolution and historical relation.
       Dancecan express different senses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forms of dances couldappear variously accord with society,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factors.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study of cultural anthropology in Korean andChinese dance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understanding of thecultural paradigms and increase mutual respec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mutual understandings of dance, sword dance could develop into one of the contributingdisciplines in globalization. Moreover, it should relieve ethnocentrisminsights, eliminate prejudice against other nations as well as cultures, andunderstand the diversity of world from culture relativism in this research aswell. As a prototype of oriental culture, it is believed that sword dance has cultureprototypal and feasible value, inherent and historical value, celebration andproposal value, cultural content utilization and economic value.
      This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sword dance histories of Korean and Chinese danceby the method of literature examination. Despite differences in culture andecological environment, there are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countries from the macroscopical view. As the archetype of Oriental culture,sword dance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that is implemented throughintangible cultural forms with religious, historical, traditional andarchetypal cultural values. The relevant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follows.
      Comparingthe sword dances of Korea and China, sword was one of the first weapons and wasused until World War II by the two countries. Since then, the military use ofsword fell gradually due to cultur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now sword hasdeveloped into a dance instrument in both countries. As times goes by, Koreansword dance changes but reserves the basic dance styles, costumes and music. Instead,sword dance in China gradually declined as the Tang Dynasty of its golden age, andfailed to withhold its forms by Song and Yuan Dynasties.
      Fromthe artistic side of cultural anthropology, the development of the sword danceis based on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culture (dance), which becomes scenicand creative through continuous transmission and innovation. It is believedthat Korean sword dance has existed since ancient times, which was used toexpress joy after hunting by human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sworddance is assumed to appear in celebrating joy after the victory of the war. In GoryeoDynasty, there were specialized denominations(gyobang) and courtesy trainingcenters, and the court-level affairs were performed, which raised its artisticlevel. In addition, royal court swordsmen spread to local dioceses and derived informalsword dance. Similarly, the origin of Chinese sword dance began with huntingdances and developed into combat dances for war. In Han Dynasty, sword was usedas a pure dance tool, appearing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and even ondiplomatic stages. Sword dance in Tang Dynasty was more popular than in HanDynasty. Not only the level of dance was increased, but also appeared manyfamous poems about swords. In Southern Song, the form of sword dance stylechanged from martial-arts to feminine charm, gradually replacing the sworddance form in Tang Dynasty. Since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sword dancewas not restricted to forms, with the alternations of dynasties and the rulingof minorities in midfield, the sword dance was not well-developed as that inTang any more.
      As aresult of reviewing the histories of Chinese and Korean sword dances, we foundthat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two nations' origins were based on thebehaviors in ancient times and began with human instincts such as hunting, warand sacrifice. Korean traditional dances are more innovative than the ancienttraditional ones, but most of them still hold off the historical literature anddance forms. On the other hand, for China, which has the similar culture asKorea, the historical senses of sword dance have disappeared and new swordswords are created based on the present times. The references to the Korean"Jinchanigwe" show that the Korean sword dance, Hwang Chang-rang,originated from ancient Chinese dance. In "Chilbugi", which was compiledby Sujuan of China’s Sui Dynasty, the names of the dance set as the ThreeKingdoms Period of Korea like Goryeo, Baekje and Silla, from which it could seethat dances in Chinese Sui Dynasty was influenced by the Korean dances. 
      To meet new developments, Chinese sword dance needs to reference various forms of cultures and arts. In literature andvideo reviews, although Chinese sword dance was skilled in  practical development, its theoretical studies and core pointswere far from sufficient. Therefore, whenstudying a country's culture, we should emphasize cultural analysis and grasp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paradigm and recognize the complicatedsituation in depth particularly.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sword dancealso resulted in the disappearance of the tradition of Chinese sword danceafter the Tang Dynasty with the govern of minorities. Currently, the Chinesesword dance is said to be too rich in creativity and improvised forms that itdoes not make good use of its dance features. Thus, while maintaininginnovation, Chinese sword dance should m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dance forms as we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인류학의 의미는 문화를 배경으로 무용 내러티브를 설정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인류학적 통찰을 방법론적 모델로 사용하여, 한국과 중국 검무의 역사 관...

      문화인류학의 의미는 문화를 배경으로 무용 내러티브를 설정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인류학적 통찰을 방법론적 모델로 사용하여, 한국과 중국 검무의 역사 관련 연구를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에 나타난 결과 및 핵심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무용 전공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중국 검무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문화인류학은 무용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고, 무용 이론해석을 제시하며, 무용 문화의 변화 과정과 역사적 관계 등을 평가하는 이론과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무용은 서로 다른 나라의 민족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고, 각 민족의 사회, 문화, 자연환경 등의 요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무용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세계화 시대에서 문화 인류학적으로 진행되는 한국무용과 중국무용에 관한 연구는 양국의 문화적 패러다임 이해와 상호 간의 존중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양자를 통한 무용에 대한 상호 이해는 무용을 세계화 시대에 기여하는 학문 중 하나로 발전시켰다. 또한 이 연구에 관하여는 민족 중심주의 시각에서 벗어나 다른 민족과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 및 차이를 해소하고 문화적 상대주의적인 관점으로 세계가 여러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동양 문화원형으로서 검무는 문화적 문화원형성과 가능성의 가치, 고유성과 역사성의 가치, 축제성과 제의성의 가치, 문화콘텐츠적 활용성과 경제적 가치 등을 지닌다고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 무용의 검무 역사 관련 연구를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양국의 검무들은 문화와 생태 환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관찰할 때 공통적인 특질을 가지고 있다. 동양 문화의 원형으로서 검무는 무형의 문화 형식을 통해 구현되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 종교성, 역사성, 전통성 및 원형의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관련된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검무에 대한 비교분석하여 양국의 ‘검’은 최초의 무기로서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하였다. 그 후 문화와 경제 발전에 따라 군사적 용도가 떨어져서 현재 양국은 모두 무구로 발전하였다. 한국의 검무는 역사의 변천에 따라 변화가 있지만 무용의 기본 춤사위, 복식, 음악은 그대로 전승하고 있다. 반면 중국의 검무는 당(唐)나라의 황금기를 지나면서 검무의 발전이 점점 쇠퇴되었는데 송나라와 원나라를 거치며 중국에 흥성했던 검무 형태를 그대로 보류하지 못했다.
      문화인류학의 예술적 측면을 통해 볼 때 검무의 발전은 한국과 중국이 각자 가지고 있는 전통문화(무용)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전승과 혁신을 통해 무대화와 창작화를 이룬 것이다. 한국의 검무는 상고시대부터 존재해 왔던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인류는 사냥 후 즐거움을 표현하는데서 본능적으로 검무를 추었다. 삼국시대의 검무는 전쟁을 승리한 후 즐거움을 축하하는데서 검무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때에는 전문화된 교방과 기녀 양성소가 있어서 이들에 의해 궁중검무가 시행됨으로 인해서 예술적인 수준이 한층 높아졌다. 또한 궁중검무는 지방의 각 교방청(敎坊廳)에 파급되면서 일부는 속화(俗化)된 검무 양식을 파생시키기도 하였다. 중국검무의 기원은 한국과 마찬가지 모두 사냥무용부터 시작하여 전쟁의 필요에 따라 전투무용으로 발전되었다. 한나라시기에 검은 순수한 무용 도구로 사용되었고 공연예술 분야에 나타났으며 외교무대에도 등장하였다. 당나라의 검무는 한나라의 검무보다 더욱 광범위하게 유행했고 무용의 수준도 높아졌고 유명한 시인들도 검무하는 모습을 많이 묘사하였다. 남송시기 검무의 형태는 무술적인 힘을 가지고 있는 무용형식에서 여성적 자태가 우아한 무용형식으로 바뀌어 당나라의 검무형식을 점점 대체하였다. 명청시기의 검무는 단순한 검무형태가 아니고 교체됨에 따라 중원은 소수 민족의 통치를 받으며 검무는 당나라처럼 발달하지는 못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검무 역사를 문헌고찰하면서 결과적으로 양국의 검무의 역사적 배경은 모두 상고시대에 기원을 두고, 사냥, 전쟁과 제사 등 인류의 본능으로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국 현재의 전통무용은 고대의 전통무용보다 혁신점이 있지만 대부분 역사문헌과 무용형태를 아직도 완정하게 보류하고 있다. 반면 한국과 같은 문화 맥을 가지고 있는 중국에게는 검무의 역사성이 이미 없어진 상태이고 현 시대에 따라 신검무를 창작한다. 한국의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언급된 내용을 보면 한국의 황창랑(黃倡郞) 검무는 중국 고대 무용에서 유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중국의 수(隋)나라의 수문제(隋文帝)가 편성한 「칠부기(七部伎)」에서는 한국 삼국시대의 고려, 백제, 신라로 설정한 무용이름도 나와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 수(隋)나라의 악무(樂舞)는 한국악무(樂舞)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의 검무가 새로운 발전을 맞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예술 형식과 결합이 요구된다. 문헌과 영상 고찰에서 중국은 검무의 실기적 발전을 잘해오고 있지만, 검무의 이론적 연구는 일반적으로 가벼운 내용이 많은 경향이 있으며 핵심적인 관점이 많지 않다. 따라서 한 나라의 문화를 연구할 때는 문화적 분석을 중시해야 하고 특히, 문화 패러다임의 특질을 파악하여 복잡한 현황을 깊이 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또한 중국의 검무는 당나라 이후, 다른 민족의 통치로 인해 중국 검무의 전통이 사라지는 결과를 낳았다. 현재 중국 검무는 창작성과 즉흥적인 형식이 너무 풍부해서 무용 특징을 잘 살리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따라서 중국의 검무는 혁신을 유지하면서도 중국 신검무의 특징을 살려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5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3
      • 3. 연구의 제한점 5
      • Ⅱ. 이론적 배경 5
      • 1. 문화인류학 이론 5
      • 1.1. 진화주의 개요 6
      • 1.2. 역사적 특수주의 개요 7
      • 1.3. 전파주의 개요 8
      • 2. 검무의 유래 및 역사 11
      • 2.1. 한국검무의 유래 및 역사 11
      • 2.2. 중국검무의 유래 및 역사 16
      • 3. 선행연구 25
      • Ⅲ. 한국검무와 중국검무의 현황 비교분석 32
      • 1. 한국검무의 현황 32
      • 1.1. 한국검무의 구조 및 형식 32
      • 1.2. 한국검무의 춤사위 40
      • 2. 중국검무의 현황 44
      • 2.1. 중국검무의 구조 및 형식 44
      • 2.2. 중국검무의 춤사위 50
      • 3. 한・중 검무에 대한 비교 54
      • 4. 한국의 검무를 통해서 본 중국의 검무 발전에 관한 시사점 59
      • Ⅳ. 결론 60
      • 참고문헌 63
      • <부록> 중국역사연대표 69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