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계천문화관의 정치성과 배제된 역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37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계천 문화관은 청계천 복원사업이 계기가 되어 건립된 박물관으로 도시의 역사문화박물관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청계천문화관이 특정한 공간의 역사와 문화를 다루는 박...

      청계천 문화관은 청계천 복원사업이 계기가 되어 건립된 박물관으로 도시의 역사문화박물관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청계천문화관이 특정한 공간의 역사와 문화를 다루는 박물관이라는 점에 착안, 이를 장소기반박물관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청계천문화관의 성격과 사회적 기능을 검토, 비판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주제 설정은 공간의 역사와 문화의 재현 과정에서 권력과 사회구성원의 경험 및 역사적 기억이 전시공간에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박물관의 전시를 전략적 재현장치,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을 정치적 이해관계를 투사한 정체성의 장치로 보는 ‘문화연구로서의 박물관 이론’의 맥락에서 연구의 관점을 취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먼저 청계천문화관 전시를 전시주제와 내용 및 구성, 연출기법 분석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전시의 의도와 방향을 파악하였고 이어 전시에서 배제되었다고 판단되는 청계천 지역의 역사를 조사하였다. 이어 전시분석과 역사조사를 비교하여 청계천문화관 전시의 문제점과 이의 원인으로 제기되는 정치적 성격을 규명하고 장소기반 박물관으로서 대안적 방향을 제언하였다.
      청계천문화관 전시는 첫째, 공간의 물리적 재구성 및 변화를 가져온 사건 위주로 전시내용이 선별되었고 둘째, 권력이 공간개입의 이유로 설정하였던 장소적 성격으로 청계천이 이미지화되었으며 셋째, 공간에서 구체적으로 삶을 전개해 나갔던 거주민과 시민의 기억과 경험으로서의 역사가 배제되었으며 넷째, 전시연출과 기법에 의하여 청계천에 함의된 사회적 쟁점과 역사적 맥락이 누락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당대 권력의 청계천개발 정책의 사회적 타당성과 역사적 명분 구축을 위해 청계천의 역사가 선별되고 구성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청계천문화관은 복원사업의 기념관이자 홍보관에 머무르고 있으며, 청계천이란 장소의 역사와 문화를 총체적으로 매개하지 못한 채 특정한 역사적 국면, 특히 관의 입장에 편향된 왜곡된 인식을 낳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정치적 성격이 두드러진 박물관으로 청계천문화관은 공공영역에 합당한 시민의 박물관으로 재정립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heonggyecheon Museum commemorative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has the characteristics of city's historical and cultural museum, it treats the history and the cultural of the special space. This paper is intended to find out the cha...

      As Cheonggyecheon Museum commemorative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has the characteristics of city's historical and cultural museum, it treats the history and the cultural of the special space.
      This paper is intend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Cheonggyecheon Museum, through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Cheonggyecheon's history suggested by it's display. This subject matter was derived from the critical mind about the social environment that the history and the culture about the space are reproduced differently with the personal experience and the historical fact.
      At first, the intention and the direction of Cheonggyecheon Museum's display were apprehended with the its subject, contents, deployment.
      Secondly, the excluded history of Cheonggyecheon was examined through the personal life on the its area.
      Thirdly, the exhibition problem of Cheonggyecheon Museum was founded out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analyzed exhibition and the examined history.
      The Cheonggyecheon Museum exhibits mainly highlights of history, which caused the physical re-construction or change. And it portrays Cheonggyecheon as the space distorted by the power. And it excludes the history about the resident and citizen who had the life on that area. And it leave out the social issue and the historical connection. These problems were caused by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Cheonggyecheon was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social appropriateness and the historical justification of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This paper found out that Cheonggyecheon Museum is just a memorial place of the restoration project, and that it could made the prejudiced cognition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eonggyecheon, and that it must be re-established as the proper citizen's pl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문제제기 1
      • 2. 연구 대상 3
      • 3. 연구의 이론적 관점 및 선행연구 8
      • 4. 연구 내용 및 제한점 11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문제제기 1
      • 2. 연구 대상 3
      • 3. 연구의 이론적 관점 및 선행연구 8
      • 4. 연구 내용 및 제한점 11
      • Ⅱ. 청계천문화관 전시분석 13
      • 1. 청계천문화관 개관 13
      • 가. 개요 및 건립과정 13
      • 나. 건축 및 전시 공간 16
      • 다. 주요 현황 17
      • 2. 전시 분석 21
      • 가. 전시공간의 구성 21
      • 나. 전시주제 및 구성 24
      • 다. 전시 세부 내용 및 연출 28
      • Ⅲ. 청계천 지역의 역사와 문화 50
      • 1. 청계천 지역 역사 개관 50
      • 가. 개요 및 현황 50
      • 나. 청계천 지역 역사에 대한 관점과 조사 내용 51
      • 2. 청계천 지역에서 전개된 삶과 문화 54
      • 가. 공간변화로 살펴본 청계천의 역사 54
      • 나. 거주 공간의 형성과 변화 62
      • 다. 생업 및 경제활동의 양상과 변천 69
      • 라. 장소의 문화적 양상과 전개 78
      • 마. 근현대 역사적 사건과 사회적 갈등의 현장 83
      • Ⅳ. ‘재현된’ 역사와 ‘배제된’ 역사의 비교를 통해서 본
      • 청계천 문화관의 정치성 90
      • 1. 청계천문화관에서 ‘재현된’ 역사와 ‘배제된’ 역사 90
      • 가. 전시를 통해 구현된 청계천의 이미지와 정체성 90
      • 나. ‘배제된’ 역사를 통해 살펴 본 청계천 지역 역사의 성격
      • 과 의미 94
      • 다. ‘재현된’ 청계천 역사상과 ‘배제된’ 청계천 역사상의
      • 비교 97
      • 2. 청계천문화관의 정치성 100
      • 가. 청계천문화관 전시의 문제점 100
      • 나. 청계천문화관의 정치성 103
      • 3. 장소기반 박물관으로서 가져야 할 위상과 방향 105
      • Ⅴ. 결론 108
      • 1. 요약 108
      • 2. 제언 및 향후과제 110
      • 참고문헌 112
      • 외국어초록 1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