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완도장보고축제의 문화원형 활용 연구 = A Study on the Cultural Prototype Available in Wando's Chang Pogo Festiv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33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a festival is intended not only to control man's desire, but it also aims at his catharsis, and so it is a manner of communication, an artistic base that he would have an inclination toward man and nature, man and culture, man and god. In a...

      The aim of a festival is intended not only to control man's desire, but it also aims at his catharsis, and so it is a manner of communication, an artistic base that he would have an inclination toward man and nature, man and culture, man and god. In addition, it is in a form of the most fundamental, collective action that mankind has practiced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on the basis of expressing the culture concretely. Thus, this form of a festival as a prop, should to follows a pattern which has community spirit based on myth or the historical tradition, the subjective participation in the shared unique consciousness of history, their local characteristic and identity, a type of self-conceit and so on.
      Since the mid-1990s any number of local festivals has been rapidly increased, and also municipalities really have a good effect of them. Yet, apart from that, the augmentation of the desire of ordinary people who are eager to have a higher life of leisure, according to which tourist demand and the factors of supply in a such a way that the travel contents are developed enthusiastically, and the reconsideration and advertisement of the regional images are held together, that we cannot pay attention to the rapid increment of the number of local festivals.
      However, the festivals coming up to this factors without the verification of a cultural prototype of historical characters and events are only available for the materials of them, an appearance that has a lot of problems.
      Included in the Chang Pogo Festival in Wando is a basic condition called a historical and ritual feature of how it takes place on the grounds of the real identity of his own and in various tales on Song Jing as Chang Pogo's alias and the lore of shamans' exorcism in the 'Song for Song Commander-in-Chief', and annual events involved in the previous Wando country. And yet, 2007 12th Chang Pogo Festival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typical festival revealing a local identity, and it is because we cannot appropriately make a use of a variety of cultural materials.
      This study discusses several common types of the developing schemes through Chang Pogo Festivals as a cultural prototype. The first chapter will provide an account of the cultural prototype in the essential position without identification of the local festival. The second chapter will offer a more detailed exposition of the typical context of Wando's Chang Pogo Festival. Moreover, by asking its visitors a series of questions and analyzing its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problems of its festival. I tried to see what's the visitors' needs for the festival.
      From this it follows that the recent participants other than the old ones are supposed to experience an entertainment through its program as well as Wando's sea and islands associated with Chang Pogo. In addition, for the program itself not to be successful, we cannot find out its identity of the contents of Chang Pogo's cultural prototype.
      I will then examine in the third chapter Chang Pogo's historical, ritual and literary account of perspective is a embodiment of his cultural prototype from the search for literatures, and then Chonghaejin and Chang Pogo as a historical prototype of culture, BupHwaSas(Temple) in Wando and Jujudo, and Chang Pogo in China's and Japan's literatures. From these, I have known Wandoeup' Dangje and PungeoJe, and Jangjori's Dangje as a from which ritual prototype I have examined the Song Jing's myth regarded as Chang Pogo's by-name and the shamans' exorcism tradition expressed in Im Eok-Ryeong's 'Song for Song Commander-in-Chief'.
      In Chapter IV I tried to search for a available plan on Chan Pogo Festival through a cultural prototype, according to which the predictable effect is supposed to secure a variety and professional of local festivals if these materials are researched and used in a various way.
      The recreation of the festival based on its prototype plays a role of bringing together participants and the local residents, and the structure of identity per se is involved in local residents, so a new tradition will be created.
      We can, in turn, expect to go further on the significance of what we have observed, for example, the effect of a 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industry concerning his historical activity and a various use of an exhibition space.
      Moreover, we can prepare the ground for the growth of Chang Pogo Festival that reflects Wando's cultural and historical features in exploring the emphasis placed on a cultural identity so as to develop the festival methods for tourism souvenirs from a given Chang Pogo Festival. Thus, this prototype available in the field has a role and position of the 21th new local festival, and also meet the construction of basic materials for the active festival policy in the nation dimen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not only to understand the essential problem of local festivals in a nation point of view, but also to contribute the development of the direction of desirable local festivals beyond an individual festiv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축제는 인간의 유희적인 욕구와 욕망의 해소, 카타르시스를 목적으로 하며, 인간과 자연, 인간과 문화, 인간과 신의 교류를 지향하는 의사소통양식이면서 풍요로운 예술적 기제이다. 또한 ...

      축제는 인간의 유희적인 욕구와 욕망의 해소, 카타르시스를 목적으로 하며, 인간과 자연, 인간과 문화, 인간과 신의 교류를 지향하는 의사소통양식이면서 풍요로운 예술적 기제이다. 또한 축제는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가장 근원적인 집단행위의 한 형태로 이루어져 왔던 구체적인 문화적 표현기제이다. 따라서 축제가 가장 중요한 버팀목으로 삼아야 할 것은 정신적 토대가 되는 신화나 역사적 전통에 바탕을 둔 공동체 의식, 고유한 역사의식을 공유하는 집단공동체로서의 참여주체, 그리고 이들이 살고 있는 지역적 고유성과 정체성, 자부심의 존재일 것이다.
      90년대 중반부터 지역축제의 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여기에 지방자치제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외에도 보다 질 높은 문화적 여가생활을 즐기고자 하는 일반인들의 욕구 증대와 이에 따른 관광콘텐츠의 활발한 개발, 그리고 지역의 이미지 제고와 홍보 등 관광의 수요와 공급요인들이 지역축제라는 연희형태로 모여지면서 지역축제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한 점도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요인에 부응한 지역축제가 역사적 인물과 사건 등에 대한 문화원형적 검증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오로지 관청과 일부 지역인사들의 주장에 의하여 지역축제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현상은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완도장보고축제의 경우, 장보고라는 역사적 인물의 사실성과 장보고의 이칭(異稱)이라 여겨지는 송징에 관한 다양한 설화와 ‘송대장군가(宋大將軍歌)’에 나오는 무당굿의 행위전승, 그리고 과거 완도읍을 위시한 마을굿의 연행에 근거하여 역사성과 제의성이라는 축제의 기본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로 12회째 행사가 치러진 완도장보고축제는 지역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대표축제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양한 문화원형적 소재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는데 기인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완도장보고축제의 배경에서부터 시작하여 문제점을 분석한 후 장보고 문화원형의 검토와 축제콘텐츠로의 활용을 통한 발전방안을 살펴보았다.
      Ⅰ장에서는 지역축제의 본질적 의미가 제대로 검증되지 못한 채 시행됨으로 야기된 현상에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문화원형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Ⅱ장에서는 완도의 대표축제로서 치러지고 있는 완도장보고축제의 개최 배경과 현재까지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완도장보고축제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축제기간 중 방문객을 통한 설문조사와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축제의 내용이 무엇인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과거와 달리 최근의 축제참여 방문객은 축제의 향유를 축제프로그램을 통해서만이 아닌 장보고와 연계된 완도의 바다와 섬을 알고 체험하기를 원하였다. 장보고 문화원형의 콘텐츠화에 있어서도 축제프로그램에 지역적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문헌고찰과 면담조사 등을 통하여 장보고관련 역사적·제의적·문학적 문화원형에 관해 체계적인 검토를 시도하였다. 역사적 문화원형으로서 장보고와 청해진, 완도의 법화사지와 제주의 법화사지, 그리고 중국과 일본의 문헌 속에 나타난 장보고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제의적 문화원형으로서 장좌리 당제, 완도읍 당제와 풍어제를 알아보았고 문학적 문화원형으로서 장보고의 이칭이라 여겨지는 송징 관련 전설과 임억령의 ‘송대장군가’에 표현된 무당굿의 행위전승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문화원형을 통한 장보고축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활용방안에 따른 예측 가능한 효과는 이러한 자료가 사회 다른 분야와 다양한 방법으로 맥락을 이어 연구·활용된다면 지역축제 연구의 다양성 및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원형성에 근거한 축제의 재창조는 축제참여자와 지역민을 연계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그 구조 자체가 지역주민에게 정체성을 심어주며,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준다.
      장보고의 역사적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전시공간의 활용과 체험학습을 위한 노력은 문화교육의 수요창출효과와 문화산업의 파급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나아가 기존 완도장보고축제가 가졌던 관광상품화 지향적 축제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한 축제로의 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해 봄으로써 완도의 문화적·역사적 특성을 반영한 고유한 완도장보고축제를 육성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러한 문화원형의 활용은 21세기 새로운 지역축제의 위상과 역할을 정립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 축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구축의 필요성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러한 연구는 개별축제의 평가를 넘어서서 전국적인 차원에서 지역축제가 가지는 문제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할 것이며, 지역축제발전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정립하는 데 기여하리라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2. 선행연구의 검토 = 4
      • 3. 연구의 방법과 대상 = 6
      • Ⅱ. 장보고축제의 현황과 한계 = 9
      • Ⅰ. 서론 =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2. 선행연구의 검토 = 4
      • 3. 연구의 방법과 대상 = 6
      • Ⅱ. 장보고축제의 현황과 한계 = 9
      • 1. 장보고축제의 배경과 현황 = 9
      • 가. 장보고축제의 배경 = 9
      • 나. 장보고축제의 현황 = 10
      • 2. 장보고축제에 대한 인식과 한계 = 12
      • 가. 방문객의 인식정도와 한계 = 12
      • 나. 축제프로그램의 변화와 한계 = 18
      • Ⅲ. 장보고축제의 문화원형 검토 = 26
      • 1. 역사적 문화원형 = 26
      • 가. 청해진과 장보고 = 26
      • 나. 완도 법화사지와 제주 법화사지 = 30
      • 다. 중국과 일본의 문헌 속에 나타난 장보고 = 33
      • 2. 제의적 문화원형 = 34
      • 가. 장좌리 당제 = 35
      • 나. 완도읍 당제와 풍어제 = 40
      • 3. 문학적 문화원형 = 45
      • 가. 장보고와 송징전설 = 46
      • 나. 임억령의 ‘송대장군가’ = 51
      • Ⅳ. 문화원형을 통한 장보고축제의 활용 방안 = 55
      • 1. 전통축제로서의 기반과 확대 = 55
      • 2. 장보고정신을 통한 세계축제화 = 57
      • 3. 문화원형 소재 개발과 활용 = 58
      • 4. 수집·보존·활용 센터의 건립 = 60
      • Ⅴ. 결론 = 62
      • 참고문헌 = 66
      • Abstract = 72
      • 부록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