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근현대사 관련 박물관의 장소성과 문화적 기억 재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3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how the Placeness affects Cultural Memory representation due to the analysis of the Placeness and cultural memory represent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and the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The study...

      This study explores how the Placeness affects Cultural Memory representation due to the analysis of the Placeness and cultural memory represent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and the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The study theoretically discussed the formative structure of placeness and the features of cultural memory theory. Furthermore, it suggested the formative structure of placeness in the research site and researched the aspects of cultural memory represent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xhibition narra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recalled the cultural memories such as ‘the grateful memory of United States’ and ‘proud memory of Republic of Korea’ based on its placeness as ‘the building representing 60 years of memories of the growth and success of modern Korean history.’ Additionally, the placeness of the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and its image of the so-called ‘holy place of independence movement’ represented the cultural reminiscence of ‘the memory of the national hero’ and ‘the cruel memory under Japanese imperialism’.
      However, the cultural memories recalled from the placeness were incomplete due to having an intentional selection of placeness. Accordingly, to activate the cultural memory representation, the examples of ‘House of History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Auschwitz-Birkenau State Museum’ suggested expansion of the placeness. Ultimately, the stud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laceness of museums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found that the placeness of museums applied legitimacy to the cultural memory reproduction.
      It 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contents discussed in the study into all museums, since our object of study was limited to specific museum cases.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ructural formation of placeness and cultural memory representation presented i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new perspective on the memory representation of museum. Such an attempt would seek significance in that it would provide a new direction for the study on the memory representation of museum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장소성과 문화적 기억 재현의 분석을 통해 장소성이 문화적 기억 재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탐구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본고는 ...

      본고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장소성과 문화적 기억 재현의 분석을 통해 장소성이 문화적 기억 재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탐구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본고는 이론적 차원에서 장소성의 형성 구조와 문화적 기억 이론의 특징을 논의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지의 장소성 형성 구조를 제시하고, 전시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문화적 기억 재현의 양상을 탐구했다.
      연구 결과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한국 현대사의 성장과 성공의 60년의 기억을 보유한 건물’이라는 장소성을 바탕으로 ‘고마운 미국의 기억’과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기억’의 문화적 기억을 재현했다. 또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독립운동의 성지’라는 장소성을 바탕으로 ‘민족 영웅의 기억’과 ‘잔인한 일제의 기억’의 문화적 기억을 재현했다. 그러나 두 대상지 모두 의도적으로 선택된 장소성을 보유한다는 점에서 장소성으로부터 재현된 문화적 기억은 불완전했다. 따라서 ‘독일연방공화국역사의 집’과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문화적 기억 재현의 활성화로 나아가기 위한 장소성의 확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궁극적으로, 본고는 한국 근현대사 관련 박물관의 장소성 분석을 통해 장소성은 박물관의 문화적 기억 재현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연구대상이 특정 박물관의 사례에 한정되었기에, 연구 결과 논의된 내용을 모든 박물관에 일반화를 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는 장소성의 구조 모형을 함께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또 앞으로 ‘재현된 과거’라는 관점에서 박물관을 탐구하는 후속 연구에 대해 장소성의 측면에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이론적 배경 9
      •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19
      • Ⅱ.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문화적 기억과 재현 20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의 이론적 배경 9
      •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19
      • Ⅱ.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문화적 기억과 재현 20
      • 1.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장소성 20
      • 2.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문화적 기억 재현 27
      • 1) ‘고마운 미국’의 기억 27
      • 2)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기억 33
      • 3. 문화적 기억 재현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 45
      • 1) 해외 사례의 모색 : 독일연방공화국역사의 집 46
      • 2) 광화문광장으로의 장소성 확대 54
      • Ⅲ.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문화적 기억과 재현 61
      • 1.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장소성 61
      • 2.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문화적 기억 재현 68
      • 1) ‘민족 영웅’의 기억 68
      • 2) ‘잔인한 일제’의 기억 75
      • 3. 문화적 기억 재현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 81
      • 1) 해외 사례의 모색 :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국립박물관 81
      • 2) 옥바라지 골목으로의 장소성 확대 88
      • Ⅳ. 결론 98
      • 【참고문헌】 1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