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심재생에서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44346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개발행정전공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50 판사항(6)

      • DDC

        35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구

      • 형태사항

        v, 158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박종화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140-149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을 통해 도심재생에서 활용되는 역사문화콘텐츠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구성원들 간의 신뢰를 높여 집합적 행위에 기여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기회주의적...

      본 논문을 통해 도심재생에서 활용되는 역사문화콘텐츠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구성원들 간의 신뢰를 높여 집합적 행위에 기여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기회주의적 속성을 억제, 공동의 이익과 목적을 위해 결속함으로써 공동체 복원의 토대가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역사문화콘텐츠 활용과정의 경험과 구성원들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특성, 그리고 실제로 작동하는 사회적 자본의 형태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역사문화 콘텐츠의 속성에 따라 차별적 정책접근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 동안 도심재생 패러다임 변화에 순응하면서 경쟁적으로 도입된 역사문화콘텐츠활용 방안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주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3가지 가설을 설정, 관련 설문조사결과에 대해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주민 인식변화는 비시장적 상호작용측면과 시장적 상호작용측면이 함께 발현되었다. 아울러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에 따른 주민인식변화는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량적 사회적 자본과 인연형 사회적 자본의 형성요인별 주요 주민인식적 영향변수들의 내용적 특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 공유자원으로서의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의미를 밝히고 그 과정에서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는 집합적 행동의 기능적 역학관계를 밝히고자 4가지 가설을 설정, t-검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에서 집합적 행동은 개인적 심리 측면 및 사회적 공감 측면과 순환 구조적으로 연계되어 기능적 상보성이 상당부분 발현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역사문화 콘텐츠에 대한 개인적 심리변인들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아울러 역사문화콘텐츠 활용관련 다양한 시민 가치인식과 기능적 공동체 형성작동변수들 간 관계 규명을 위해 크게 3가지 가설을 설정하고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가치인식 요인들은 크게 개인적 가치, 집단적 가치, 공공적 가치 요인들로 대별되었다. 기능적 공동체 형성작동 요인들은 만남, 상호작용, 대화, 이해, 공감 등의 요인들로 파악되었다. 거의 대부분의 가치인식 변수들은 기능적 공동체 형성작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 외 역사문화콘텐츠 활용단계별 MIT&UE변수들의 중요성 차이 또한 거의 대부분 식별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정책적 함의는 첫째,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에서 보다 포괄적인 정책적 시각을 견지할 필요성과 사회적 자본의 종류 등에 따른 차별화된 정책 접근방식의 필요성, 둘째, 집합적 행동의 기능적 상보성 활용, 관련 당사자 자기 규제성 확대, 상향적 재생전략의 탐색과 기능적 공동체 형성 강화의 필요성, 셋째, 시민들의 다양한 가치인식에 대한 유의 필요성, 역사문화콘텐츠 활용단계별 차별화된 정책적 접근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historical-cultural contents’ use influenced on building social capital positively. It was found that contribution to the collective action by the construction of trust among city residents, network build u...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historical-cultural contents’ use influenced on building social capital positively. It was found that contribution to the collective action by the construction of trust among city residents, network build up by restraining egoistic features, and binding for the common’ profit and goal were based on the community restoration. By employing simultaneously both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pattern, characteristics, and actual working of social capital were captured through the experience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use and understanding on the interaction of city
      residents. In consequenc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re are necessities for the differentiated policy approaches by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nd also a new implication of utilization plan on the historical-cultural contents by adaptation to the change of urban regeneration paradigm.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tries to establish three research hypotheses and to emplo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related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there is a composite emergence of non-market interaction as well as market interaction in the change of residents’ perceptions through historical-cultural contents’ use. There is a positive impact of the change of
      residents’ perceptions through historical-cultural contents’ use on building social capital. And there are differences of content characteristics for major variables of residents’ perceptions in building factors of bridging social capital and
      bonding social capit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4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4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1) 연구의 범위 5
      • 2) 연구의 방법 7
      • 3. 선행연구의 고찰 및 시사점 9
      • 1) 관련 선행연구 9
      • 2) 선행연구의 동향 12
      • 3) 본 연구와의 차별성 13
      • Ⅱ. 이론적제도적 검토 16
      • 1. 도심재생 16
      • 1) 도심재생의 개념 16
      • 2) 도심재생 패러다임의 변화 19
      • ⑴ 도심재생의 딜레마 상황 19
      • ⑵ 도심재생과 역사문화자산의 활용 20
      • 3) 사회문화적 측면과 도심재생 22
      • ⑴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의 의미 22
      • ⑵ 도시경쟁력과 지속가능성 24
      • 2. 사회적 자본 27
      • 1) 사회적 자본의 이해 27
      • 2) 사회적 자본의 구성 및 유형 30
      • ⑴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30
      • ⑵ 사회적 자본의 유형 32
      • 3) 사회문화적 요소로 인한 인식변화 33
      • ⑴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자본 33
      • ⑵ 역사문화콘텐츠와 사회적 자본 35
      • 3. 도심재생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 37
      • 1) 도심재생 과정의 사회문화적 측면과 인식변화 37
      • ⑴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과 도심재생 37
      • ⑵ 역사문화콘텐츠의 공유자원성 38
      • 2) 도심재생과 사회적 자본의 기능적 연계성 40
      • ⑴ 집합적 행동의 필요성과 기능적 상보성 40
      • ⑵ 역사문화콘텐츠와 기능적 공동체의 연계 43
      • 4. 제도 및 규정 45
      • 1) 도시재생 특별법 45
      • 2) 도시재생 뉴딜정책 47
      • 3) 의의와 한계 48
      • Ⅲ. 연구설계 52
      • 1. 연구문제 및 분석의 틀 52
      • 1) 연구문제 52
      • 2) 분석의 틀 54
      • 2. 연구대상 56
      • 1) 대구도심 역사문화콘텐츠의 입지특성 56
      • 2) 대구도심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개요 58
      • 3. 연구방법 60
      • 1) 질적연구 60
      • ⑴ 연구개요 60
      • ⑵ 내용분석의 틀 61
      • ⑶ 자료수집 64
      • 2) 양적연구 67
      • ⑴ 연구개요 및 분석의 틀 67
      • ⑵ 자료수집 70
      • ⑶ 가설설정 71
      • ⑷ 변수의 구성 및 조작적 정의 75
      • Ⅳ. 실증분석 81
      • 1.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이 주민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81
      • 1) 분석결과 81
      • ⑴ 개발발굴 단계 82
      • ⑵ 보존보전 단계 85
      • ⑶ 이용응용 단계 88
      • ⑷ 소비향유 단계 90
      • 2) 지표 및 변수추론 93
      • 3) 분석결과의 적용 95
      • 2.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96
      • 1) 연구대상 97
      • 2) 분석결과 98
      • ⑴ 단계 1: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과 사회적 자본 형성과의 관계 98
      • ⑵ 단계 2: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과 집합적 행동과의 관계 104
      • ⑶ 단계 3: 역사문화콘텐츠 활용과 기능적 공동체 형성과의 관계 110
      • 3. 분석결과의 논의 115
      • 1)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과 사회적 자본 형성과의 관계 115
      • 2)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과 집합적 행동과의 관계 117
      • 3) 역사문화콘텐츠 활용과 기능적 공동체 형성과의 관계 119
      • Ⅴ. 결론 121
      • 1. 분석결과의 요약 121
      • 2. 정책적 함의 125
      • 1) 도심재생 정책 집행과 이해관계자 참여의 과제 126
      • 2) 도심재생 인식변화와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의 과제 129
      • 3)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과 집합적 행위 촉진의 과제 131
      • 4) 상향적 도심재생 전략과 기능적 공동체 형성의 과제 134
      •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137
      • 참 고 문 헌 140
      • 부록 150
      • 영문초록 1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