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현황과 활용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361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역사인물가옥을 박물관으로 활용하여 역사인물을 기념하고, 문화유산으로써 보존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사인물가옥은 건축유산으로서 유형적인 가치와 함...

      이 연구는 역사인물가옥을 박물관으로 활용하여 역사인물을 기념하고, 문화유산으로써 보존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역사인물가옥은 건축유산으로서 유형적인 가치와 함께 역사인물의 삶과 정신이 담겨 있는 공간이라는 무형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박물관은 인류 활동의 결과물을 수집, 보존, 조사, 연구하며, 전시와 교육 등 활동을 통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역사인물가옥을 박물관으로 활용함으로써 보존 목적을 달성하고, 역사인물과 역사인물가옥의 가치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보았다.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은 “문화, 예술, 종교, 정치, 교육 등 인간 활동이 일어나는 모든 분야에서 사회에 의미 있는 영향과 뚜렷한 업적을 남긴 역사인물이 생활한 집을 보존하여 박물관으로 운영하며 역사인물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 보존하고, 조사, 연구, 전시, 교육하는 기관”이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은 근대문화유산으로 2000년대 초부터 사회적 인식 변화와 등록문화재 제도를 통해 보존되기 시작한 문화유산이다. 우리나라는 근대문화유산이 보존된 역사가 짧고, 아직까지 역사인물가옥을 박물관으로 운영하는 사례가 많지 않다. 근대문화유산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이 형성된 사회적 배경과 과정, 역사인물가옥의 보존 기준과 방법,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역할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도 시작 단계이다.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고유성과 가치를 살려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았다. 국내에서는 민간, 민·관, 관에서 운영하는 다섯 곳의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을 사례로 들어 보존과 운영에서 나타나는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는 문화유산과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보존과 활용을 목적으로 설립된 민간단체가 운영하는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에 주목하였다.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역사인물가옥을 보존하면서 전문가와 일반인이 참여하는 다양한 활용 프로그램을 운영해나가고 있는 사례 두 곳을 소개하였다.
      국내외 사례에서 역사인물가옥을 보존하고, 역사인물을 기념하는 활동을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려면 이에 공감하고 참여하는 층이 넓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참여자의 긍정적인 경험이 확대될수록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사회적 가치와 기여도가 높아질 것이다.
      이를 위해 역사인물가옥의 속성을 살리고, 박물관으로 기능을 지속가능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세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첫째, 소장품의 해석과 자료 수집 확대, 박물관 기관 아카이브 구축을 통한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활용 요소 개발이다. 둘째,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공간 특수성을 반영한 전시와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이다. 셋째,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역할을 지역 문화기관으로 확대하고, 관람객과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방안이다. 마지막으로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해 정책과 제도 보완, 전문가 집단의 참여, 운영 평가시스템의 마련, 운영 자립도 향상을 위한 방법 모색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활용 방안을 통해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이 더욱 활성화 되고, 역사인물가옥 외 근대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과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5
      • 3) 선행 연구 검토 6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과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5
      • 3) 선행 연구 검토 6
      • 2. 연구 대상과 방법 9
      • 1) 연구 대상 9
      • 2) 연구 방법 10
      • Ⅱ.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현황 12
      • 1.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개념 12
      • 2. 근대문화유산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형성 19
      • 1) 등록문화재 제도의 도입과 보존대상지의 확장 19
      • 2) 사회적 인식과 시민 참여 확대 26
      • 3.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보존과 운영 30
      • 1)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보존 기준과 방법 30
      • 2)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운영 유형과 조직 36
      • Ⅲ.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운영 유형별 사례 분석 44
      • 1. 국내 역사인물가옥 박물관 44
      • 1) 민간에서 운영하는 역사인물가옥 박물관 46
      • 2) 민·관 협력형 역사인물가옥 박물관 54
      • 3)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역사인물가옥 박물관 65
      • 2. 해외 역사인물가옥 박물관 74
      • 1) 문화유산 보존 단체에서 운영하는 역사인물가옥 박물관 76
      • 2) 역사인물가옥 보존 단체에서 운영하는 역사인물가옥 박물관 79
      • Ⅳ.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활용 방안 84
      • 1.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활용 요소 개발 85
      • 1) 소장품의 해석과 연관 자료의 발굴 85
      • 2) 수집 대상 자료의 확대와 방법 90
      • 3)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기관 아카이브 98
      • 2.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특성을 반영한 활용 프로그램 104
      • 1) 공간 특수성을 반영한 전시 106
      • 2) 역사인물의 활동과 작품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115
      • 3. 역사인물가옥 박물관의 역할 확대와 운영 전략 127
      • 1) 지역 문화기관으로서 역할 확대 127
      • 2) 네트워크 확장으로 박물관의 운영 활성화 131
      • Ⅴ. 결론 138
      • 참고문헌 144
      • Abstract 15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아틀리에, "스토리 www", atelierstory.co.kr, null

      2 김주호, "『예술경영』", 김영사, 김영사, 2002

      3 박신의, "문화예술경영", 이음스토리, 2013

      4 최병두(Byung Doo Choi), "『공간과 장소』", 한국지역지리학회, 대윤, 1995

      5 도미니크 폴로, "『박물관의 탄생』", 돌베개, 돌베개, 2014

      6 이보아, "『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김영사, 2000

      7 서울시, "엠보팅 https://mvoting", seoul.go.kr, null

      8 존 듀이, "『경험으로서 예술』2", 나남, 나남, 2016

      9 캐롤라인 랭, "『뮤지엄 매니지먼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0 서울시, "미래유산 http://futureheritage", seoul.go.kr, null

      1 아틀리에, "스토리 www", atelierstory.co.kr, null

      2 김주호, "『예술경영』", 김영사, 김영사, 2002

      3 박신의, "문화예술경영", 이음스토리, 2013

      4 최병두(Byung Doo Choi), "『공간과 장소』", 한국지역지리학회, 대윤, 1995

      5 도미니크 폴로, "『박물관의 탄생』", 돌베개, 돌베개, 2014

      6 이보아, "『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김영사, 2000

      7 서울시, "엠보팅 https://mvoting", seoul.go.kr, null

      8 존 듀이, "『경험으로서 예술』2", 나남, 나남, 2016

      9 캐롤라인 랭, "『뮤지엄 매니지먼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0 서울시, "미래유산 http://futureheritage", seoul.go.kr, null

      11 최순우, "『나는 내 것이 아름답다』", 학고재, 2002

      12 이구열, "『우리 근대미술 뒷이야기』", 돌베개, 돌베개, 2005

      13 이보아, "성공한 박물관 성공한 마케팅", 역사넷, 역사넷, 2003

      14 김홍남, "「역사가옥뮤지엄과 컬렉션」", 서울세계박물관대회 개최 10주년 기념 학 술대회, 2014, 2004

      15 김인회, "『다문화시대의 박물관교육』", 문음사, 2009

      16 한주연, "「해외 에코뮤지엄 사례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학과 박물관 미술관 교육전공, 2012

      17 김문환, "『미학자가 그려보는 인문도시』", 지식산업사, 지식산업사, 2011

      18 윤인석, 이현정, "「한국 근대건축의 보존과 활용」",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 서울학연구소, 2007

      19 조은정, "「한국 근대화단의 선봉 고희동」", 『근대화단의 선봉-춘곡 고희동 50주기 기 념전』,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2015

      20 박철진, 전봉희,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한옥의 건설",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 회 논문집 - 계획계≫ 제21권 제2호, 2001.10, 2001

      21 최윤정, "「1962년 제정 문화재보호법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 문, 2006

      22 안창모, "「한옥은 근대를 어떻게 맞이했나」", 1, 안창모, 《대한건축사협회지》, 대한건축 사협회, 2013

      23 박신의, "「기념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전략」", 『문화예술경영』, 이음스토리, 2013

      24 최정은, "「사회적 기억과 구술 기록화 전략」", 『일상아카이브의 발견』, 명지대학교 인 간과기록연구단 편, 선인, 2012

      25 함한희,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구술사학회, 『구술사연구』, 한국구술사학회, 2010

      26 이솔지, "「지속가능한 역사도시를 위한 방안」", 고려대학교 문화유산학협동과정 석사학 위논문, 2013

      27 서울시, "문화정책과(문서번호: 문화정책과–356)", <윤극영 가옥 년 기본 운영 계 획>, 2016.1.8, 2016

      28 서울시, "문화정책과(문서번호: 문화정책과–9166)", <윤극영 가옥 매입 및 활용 계획>, 2013

      29 박시영, "「공공영역의 추상 공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30 권윤구, "『도시 가로의 장소성 형성 구조와 의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3

      31 아마레스와 갈라, "「가옥박물관에 대한 재고:아시아의 전망」", 서 울역사박물관, 『역사가옥박물관』, 2015

      32 김남곤, "「미술관 수장고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33 김미영, "「복합문화공간의 잠재관람객 마케팅 방안」", 전남대학교 문화예술이론 및 기 획 전공, 2010

      34 정혜란, "「미술 아카이브의 미술기록관리 방안 연구」", 『일상 아카이브의 발견』, 명지 대학교 인간과기록연구단, 2012

      35 김철효, "「포스트 뮤지엄의 단초, 뮤지엄의 기관기록」", 《한국미술계의 과제》칼럼, 김달진미술연구소, 2016

      36 고인룡, "한국 주거건축의 평면 특성 및 변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 건축계획전공, 박사학위논문, 1995

      37 황경선, "「근현대 생활용구의 수집과 활용에 관한 연구」", 박물관학회, 석사 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38 김홍남, "「역사가옥의 보존과 박물관화가 왜 필요한가?」", 『뮤지엄리뷰』, 서울역사박 물관, 2015

      39 알리스테어 허드슨, "「미술 기관을 다시 프로그래밍하기: 미술관 3.0」", 국제컨퍼런스 《변화하는 미술관: 새로운 관계들》, 국립현대미술관, 2016.10.15., 2016

      40 조양희, "「인적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프로그램 개선방안」",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 원 문화예술교육 기획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5

      41 신현요, "「에코뮤지엄의 발전과정과 개념적 특징에 대한 연구」", 청주대학교 건축공학 과, 석사학위논문, 2005

      42 전양영, "「연극놀이가 아동의 감성지능(EQ) 발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3 박은실, "「권진규 아틀리에의 의미와 공공자산으로서 활용방안」", 『복합문화공간으로 서 아틀리에의 현재와 미래』심포지엄 자료집, (재)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 금, 2011

      44 이정순, "「관광활동이 관광 여가만족과 웰빙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구대학교 관광경 영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45 한신갑, "「새로운 사회운동 방식을 통한 집단기억의 형성과 유지」", 『기억과 전망』 여름호(통권 26호), 2012

      46 안하늬, "「한국 미술창작공간의 형성과 공공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문화콘 텐츠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3

      47 이정진, "「근대건축유산의 보전형태에 따른 활용방식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산림비즈니스 생태건축학전공, 박사학위논문, 2015

      48 한지연, "「교육본위론에 기초한 예술교육의 개념적 모형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 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49 김미라, "「역사박물관 실내전시공간구성에 따른 관람피로 현장연구」", 서울과학기술대 학교 주택기획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50 정수현,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향토사 학습지도 방안 연구」", 서강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1 김소희, "「지역 사회의 인물학습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경인교육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6

      52 심경미, "「지역의 건축문화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의의와 지원제도」", 건축과 도시공 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봄, 2014

      53 고주환, "「한국 근대양식 건축물의 보존을 위한 보수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단국대학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54 권영득, "「민속생활사박물관 협력망사례로 본 박물관 활성화 방안연구」", 한국박물관교육학회, 중앙대학교 박물관미술관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55 장세룡, "「앙리 르페브르와 공간의 생산 - 역사이론적 ‘전유’의 모색」", 영남대학교 인 문과학연구소, 2006

      56 패트릭 J. 보일런, "「무형유산: 박물관 및 박물관 전문가 양성을 위한 난제와 기회」", 국립민속박물관, 『국제저널 무형유산』, 2006

      57 허유진, "「20세기 초 서울의 서양식 저택 연구 : 현존하는 7채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한국예술 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석사학위논문, 2013

      58 양혜정, "「미술관 전시품의 전인적 감상을 위한 연극놀이 프로그램 연구」", 한국예술종 합학교 연극원 석사학위논문, 2007

      59 지승현, "「국공립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지원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0 나원경, "「박물관 업무의 특성을 반영한 기록정보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 교 기록관리전공 석사학위논문, 2011

      61 조예진, "「문화유산을 활용한 역사 수업 방안 연구 :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단국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2 한철욱, "「서양화가 춘곡 고희동 가옥의 원형추정 및 변형과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 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63 최영실,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 융합에 의거한 라키비움 공간 기획 연 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명지대학교 기록관리전공 박사학위논문, 2012

      64 박은실, "「도시화 과정에서 공간의 재구성을 위한 기억요소의 표현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인 하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65 김도희, "「연극놀이를 활용한 교수법이 고등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 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6 제보람, "「지역사회 중심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한 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초등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16

      67 채연선, "「내셔널트러스트 운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 구」", 중앙대학교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68 박희명, "「기념관의 역사와 교육기능 연구 : 백범김구기념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 로」", 한양대학교 박물관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69 박혜진, "「집단기억의 기록화와 커뮤니티 아카이브의 구성 : 노근리사건의 경우를 중심 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70 안광선, "「박물관교육 평가기준 개발 연구-가드너의 미래를 위한 다섯 가지 마음을 중 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71 최진석, "「공간 체험 요소와 공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소규모 미술관의 실내공간 활 성화 방안」", 건국대학교 실내건축설계전공, 박사학위논문, 2016

      72 박신의, "「유럽의 폐 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 연구 – 문화예술경영의 개념적 확장과 연관하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하대학교 문화경영학전공, 박사학위논문, 2011

      73 배은석,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을 위한 에코뮤지엄 모델 연구 : 이천 율면 부래미마을 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

      74 최선영, "「미국 문화유산 기록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문화재청 근대건축물 기록화 와 비교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5 지안루카 카네스, "「19세기부터 오늘날까지의 역사가옥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리 뷰-역사가옥박물관의 의미와 역할》", 서울역사박물관, 2015

      76 노윤선, "「장소성 기반 인물기념관 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연구 : 문학가기 념관(문학관) 사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건축도시디자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