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古群山鎭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Utilization Plans for Historic Cultural Resources by the Gogunsanjin Garri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08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val bases or garrisons were established inshore and island areas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Goryeo through the early Chosun dynasty to cope with rampant Japanese pirates called Waegu, and got change in their formation. The system was fully reorga...

      Naval bases or garrisons were established inshore and island areas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Goryeo through the early Chosun dynasty to cope with rampant Japanese pirates called Waegu, and got change in their formation. The system was fully reorganized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Imjinwaeran) and foreign ships called Hwangdangsun or pirates, and had fulfilled their duty of sea defence till the naval forces were abolished since their opening.
      Gogunsanjin, one of the naval bases was located in Seonyudo, Okdo-myeon, Gunsan City, Jeollabuk-do in the current administrative district, and closed by the invasion of Waegu. It was reconstruct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o cope with the invasion of foreign ships called Hwangdangsun or pirates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sea defence of Jeolla province for about 270 years. Gogunsanjin was rebuilt in the 2nd year of King Injo’s reign (1624) as Byeoljangjin of Jong 9th Poom, a weak military organization. With growing military strength, it was promoted to Cheomsajin of Jong 3rd Poom in the 1st year of King Sukjong’s reign (1675). But, Gogunsanjin was abolished after the Ulmi Reform Movement in 1895 and entirely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s a result, there is only the ground left.
      Now the research or use of Gogunsanjin is relatively lack and isolated from the local government policy for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which shows it is urgent to establish a way to vitalize that.
      Recently there has been noticeable interest in Gogunsanjin on its cultural features and utilization in local community through academic conferences held by the local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and schools. But such researches are not yet put into the specific practice.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system and function of the naval base during the period of late Goryo through Chosun, and reviewed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and abolishment of Gogunsanjin and its operation based on related literature and historical materials. To research the systematical use of Gogunsanjin a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study reviewed the state of historic-cultural resources of Gunsan City a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to which Gogunsanjin ruins belong and diverse utilization of a naval base in other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e study presents a way to utilize ‘Gogunsanjin’ including its restoration.
      The result shows that Gogunsanjin played a role as a gateway of inland waterways and a strategic point of marine transportation from Goryeo to Chosun Dynasty, from which we are required to establish a way to utilize its unique marine and island culture.
      For more positive research and use of Gogunsanjin as cultural heritage, there should be local policy to utiliz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cused on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to reorganize a single unitary cultural zone centering around Saemangeum. In addition, related researches should be open to the new point of views to discover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not limited to the existing research items. For the expenses and human resources, it is possible to use existing researchers, organization, and events.
      Specifically, the study presents development direction and the items to be utilized in a table by classifying into culture & art, education, festival & event, cultural contents, ICT combination, and tourism resources. And also, the study establishes utilization system of Gogunsanjin cultural heritage by classifying the field into the database of cultural archetype resources, construction of cultural landscape and maintenance, establishment of the history and culture center, and contents development, and gropes the way to utilize them with detail examples.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way of historic-cultural resources utilization related to Gogunsanjin. To promote the research and utilization of Gogunsanjin-related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extensive researches and utilization projects should be conducted by connecting the cultural feature of Gogunsanjin to exist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What is the most important to achieve the goal is to express the appropriateness of Gogunsanjin as cultural heritage, and develop continuous interest and a bond of sympathy in the local community.

      Key words: Gogunsanjin, Naval base or garrison, Gunsan City, Historic-cultural resources, Cultural cont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수군진은 고려 말 ~ 조선 전기 왜구의 발호가 극심해지면서 연해 및 도서 지역으로 이동 및 신설되었으며 그 편제 또한 변화하게 되었다. 이후 임진왜란과 황당선 및 해랑적의 출몰을 거치면...

      수군진은 고려 말 ~ 조선 전기 왜구의 발호가 극심해지면서 연해 및 도서 지역으로 이동 및 신설되었으며 그 편제 또한 변화하게 되었다. 이후 임진왜란과 황당선 및 해랑적의 출몰을 거치면서 그 체제는 전면 재정비 되었으며 개항 이후 수군이 폐지될 때까지 해방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수군진 중 고군산진은 현재 행정구역상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에 위치했던 수군진으로 고려 말 왜구의 침입으로 폐진되었으나 조선 후기 황당선 및 해랑적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복설되어 약 270년간 전라도 지역 해상방어의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고군산진은 인조 2년(1624)에 종 9품의 별장진으로 복설되어 군사적 편제가 미약하였으나 점차 그 전력이 강화되어 숙종 1년(1675)에는 종 3품의 첨사진으로 승격되었고 정조 23년(1799)에는 독진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1895년 을미개혁 이후 고군산진은 혁파되었으며 일제강점기 화재로 전소된 이후 지금은 그 터만 남아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지자체의 역사문화자원 정책에서 고군산진에 대한 연구 및 활용 방안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어 이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물론 최근 지역사회에서의 고군산진에 대한 관심은 지자체, 연구기관, 학교 등지에서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등 그 문화적 특성과 활용 가능성이 점차 주목받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천으로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태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된 사료와 선행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고려 말 ~ 조선시대까지의 수군진 체제와 기능을 검토하고 고군산진의 치폐와 운영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군산진의 체계적인 역사문화자원화 방안 연구를 위해 고군산진 유적의 행정구역인 군산시의 역사문화자원화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타 지자체의 수군진 유적 활용 현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고군산진’의 복원을 포함해 적용될 다양한 범위의 활용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고군산진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내륙수로의 관문이자 해상교통의 요충지로서 기능하여 왔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고유의 해양도서문화를 갖고 있어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우선 고군산진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와 역사문화자원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근대역사문화유산 중심의 역사문화자원 활용 정책과 새만금 중심의 단일 문화권역 조성 정책의 재편이 필요하며 연구 관점 또한 기존의 연구 대상에 한정하지 않고 신규 연구 과제를 선정하여 다양한 소재의 역사문화자원 발굴을 진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비용과 인력 문제에 있어서는 기존의 연구 인력과 조직, 행사를 통해 연구와 활용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예술, 교육, 축제 및 행사, 문화콘텐츠 상품, ICT 융합, 관광자원으로 나누어 문화자원의 발전방향과 활용항목을 표로 제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문화원형자원 DB구축, 문화경관조성 및 정비, 역사문화관 건립, 콘텐츠 개발로 그 분야를 나누어 고군산진 문화자원 활용체계를 구축하여 세부적인 예시와 함께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고군산진 관련 역사문화자원화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앞으로도 고군산진 역사문화자원의 연구 및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역사문화자원과 함께 고군산진의 문화적 특성을 연계한 다양한 연구, 활용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이루어지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고군산진 역사문화자원화의 당위성을 피력하고 이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공감대 형성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주요어: 고군산진, 수군진, 군산시, 역사문화자원, 문화콘텐츠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 Ⅱ. 古群山鎭의 치폐와 운영 6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4
      • Ⅱ. 古群山鎭의 치폐와 운영 6
      • 1. 수군진의 체제와 기능 6
      • 가. 고려말 ~ 조선전기 수군진 체제 6
      • 나. 조선후기 수군진 체제 7
      • 다. 조선 수군의 직제와 임무 8
      • 2. 고군산진의 치폐와 운영 9
      • 가. 고군산진의 입지배경 9
      • 나. 고군산진의 치폐 11
      • 다. 고군산진의 운영 20
      • Ⅲ. 군산의 역사문화자원화 현황 23
      • 1. 군산의 역사문화자원 활용 동향 23
      • 2. 수군진 유적의 역사문화자원화 사례 분석 25
      • Ⅳ. 古群山鎭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방안 29
      • 1. 역사문화자원화의 방향 29
      • 2. 역사문화자원화의 내용 33
      • 가. 문화원형자원의 체계적 DB구축 33
      • 나. 역사문화경관 조성 및 정비 35
      • 다. 역사문화관 운영 36
      • 라.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 38
      • 마. 관광 자원화 방안 44
      • Ⅴ. 결 론 49
      • 참고문헌 52
      • Abstract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