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문화재 기반 역사문화콘텐츠 구축 및 역사교육 활용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8547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stablishmen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local cultural assets and a plan for utilizing the historical education

      • 형태사항

        104 p.: 삽화; 26cm.

      • 일반주기명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The establishmen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local cultural assets and a plan for utilizing the historical education
        지도교수:최희수
        참고문헌: p. 93-9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establish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utilizing the local cultural assets centered on the Weoljeongsa Temple on the Odaesan Mountain and in preparing an education plan utilizing them. And,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establish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utilizing the local cultural assets centered on the Weoljeongsa Temple on the Odaesan Mountain and in preparing an education plan utilizing them. And, through this, the historical value of the Weoljeongsa Temple was raised an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as a history education material and an educational plan utilizing this were explored. In this research,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low of the Weoljeongsa Temple on the Mountain Odaesan are taken a look at through the various kinds of literature and historical records,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possessed by the Weoljeongsa Temple are examined by domain. And, through the storytelling that is linked with the munsu faith and the locally transmitted tales, a plan that can establish the Weoljeongsa Temple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is sought after, and a model for the utilization of the historical education and a teaching plan were proposed so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students can be heightened through the meaningful meetings with the cultural assets. Eve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Silla Dynasty and until the Joseon Dynasty an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 Weoljeongsa Temple on the Mountain Odaesan in Pyeongchang-gun, Gangwon, has been on the diverse historical paths. If we examine the history of the Weoljeongsa Temple from its foundation until the contemporary times, we can find out that such flows and special features of the Korean history have been contained intact. The history of the Weoljeongsa Temple has been a meaningful standard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Buddhism in Korea. And the Weoljeongsa Temple has been possessing the digest materials that posses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including the accommodation of the Mountain Odaesan faith, which has been passed down from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meaning as a munsu shrine, the locally-transmitted tales related to the Weoljeongsa Temple, etc. As such,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storytelling utilizing the history, the cultural assets, the tales that have been transmitted, etc. that are possessed by the Weoljeongsa Temple, a plan for establish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was presented as the following: Firstly, regarding the Weoljeongsa stone tower,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Weoljeongsa stone tower was presented centered on the values and the meanings of the octagonal, nine-story, stone pagoda and the Bodhisattvas of the Weoljeongsa Temple. And, secondly, as, with regard to the production of the actual view landscape performance of the Weoljeongsa Temple, the Weoljeongsa Temple has been containing the diverse stories within its long history, if, with the Weoljeongsa Temple and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s the background,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the ups and the downs, the munsu faith, the Sejo tale, the stone towers, etc. are structured into one description, and, by having the content and the form different from the ordinary performances, if the performance is created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as the materials and through the participation by the regional residents, a lot of the favorable responses can be obtained. And it was proposed that the socio-economic contributions should be made to the local society. Thirdly, as a result of presenting a plan for making the Weoljeongsa Temple a historical and cultural park and as with the signifying of the space for understanding the past as a background, from the aspects of the lines of the movements and the space storytelling, and through the immersions in the flows and the spaces of the consciousness resulting from the story, it was mentioned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spaces and the visitors can be induced. And, as a method for planning such a series of the processes and through the space storytelling, the possibility of the Weoljeongsa Temple becoming an integrated history and culture park was presented. Fourthly, for the raising of the PR for, and the social interest in, the Weoljeongsa Temple, we proposed the organization of a Sudhana contest. It is judged that, for this, by bringing alive the meaning of Sudhana, who is a wise seeker of truth, a plan for expanding and utilizing the contents that sponsor and cultivate the excellent children and the talented youths in the region must be prepared. Fifthly, in order to heighten the conveniences of the tourists and heighten the value of the Weoljeongsa Temple, a plan for the historical education on the Weoljeongsa Temple, which was grafted with the IT technologies, and for th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was presented. Afterwards, a plan for a history class utiliz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Weoljeongsa Temple based on the field trips in this researc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nheritances of the region, and the constructive teaching approach method was presented. The plan for the class of this research has one's own crit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s and judgments through the experiences and the researches as the goal. The class of this research is in the form of going on a field trip with the actua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Weoljeongsa Temple centered on the parts of the ancient times and the medieval history in the domain of the Korean history, which are the units that pertain to the overall textbook of 'History 1' in junior high school. And by having 'the prior activities in the classroom- the onsite study- the afterwards activities in the classroom' as one bundle, by classifying into the 3 times, and by managing with the 2 topics, a total of 6 times of the subject classes are proceeded with. With the class activities in progress, regarding the historical facts or incidents which one came into contact newly, rather than the knowledge acquisition of them just the way they are, by becoming the history of an excellent person by oneself, too, and,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interpretations and the evaluations, again, through the investigations and the analyses, the interest in the historical study can be elicited.
      This is, eventually, a solution for sup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history education of the schools. And it can be evaluated as an alternative of the history education for finding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he history of our ethnic group while experiencing the sites of the dynamisms of our histories of the ancient times and the medieval times, which are linked with Buddhism, just the way they are. I hope that, centered on such a basic direction, even better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Weoljeongsa Temple are developed and that the educational utilizations take place. And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by possessing the status as a new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brand in the region, the Weoljeongsa Temple will be reborn as a living and breathing cultural asset.

      keywords: Local cultural asset,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the Weoljeongsa Temple, Buddhism, and histor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오대산 월정사를 중심으로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역사문화콘텐츠 구축과 이를 활용한 교육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월정사의 역사적 가치를 제고하고, 역...

      본 연구에서는 오대산 월정사를 중심으로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역사문화콘텐츠 구축과 이를 활용한 교육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월정사의 역사적 가치를 제고하고, 역사교육자료로서 개발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교육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대산 월정사의 역사적 배경과 흐름을 각종 문헌과 사료를 통해 살펴보고, 월정사가 보유한 역사문화자원을 영역별로 검토한다. 그리고 문수신앙 및 지역전승설화와 연계된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월정사를 역사문화콘텐츠로서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일반대중과 학생들이 문화재와 의미 있는 만남을 통해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역사교육 활용모형 및 교수방안을 제안하였다. 강원 평창군 오대산 월정사(月精寺)는 신라시대 창건 이후 고려와 조선 및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궤적을 밟아 왔다. 월정사의 창건부터 근대에 이르는 역사를 검토하면 이러한 한국사의 흐름과 특징이 고스란히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윌정사의 역사는 한국불교사의 의미 있는 이해 기준이 되고 있으며, 삼국유사에서 전래되는 오대산신앙의 수용, 문수 성지로서의 의의, 팔각구층석탑 및 공양보살상, 탑돌이, 월정사와 관련한 지역전승설화 등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다양한 소재를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월정사가 보유한 역사와 문화재, 전승설화 등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으로 역사문화콘텐츠로서의 구축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월정사 탑돌이는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공양보살상의 가치와 의의를 중심으로 월정사 탑돌이가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월정사 실경산수공연의 제작에 있어서, 월정사는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를 월정사와 주변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절의 창건과 성쇠, 문수신앙, 세조설화, 탑돌이 등을 하나의 서사로 구조화하고, 일반 공연과는 내용과 형식을 달리하여 지역의 역사‧문화를 소재로 지역민들의 참여를 통해 공연을 만들어간다면, 많은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고, 지역사회에 사회경제적 기여도 하게 될 것임을 제안하였다. 셋째, 월정사의 역사문화공원화에 관하여 방안을 제시한 바, 과거를 이해하기 위한 공간의 의미화를 배경으로, 동선과 공간스토리텔링 측면에서 이야기에 따른 의식의 흐름과 공간에 대한 몰입을 통해 공간과 방문객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기획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간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월정사가 통합적인 역사문화공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월정사의 홍보와 사회적 관심 제고를 위해 선재동자 선발대회의 개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지혜로운 구도자인 선재동자(善財童子)의 의미를 살려, 지역의 우수한 아동, 청소년 인재를 후원하고 양성하는 콘텐츠로 확장시켜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관광객의 편의와 월정사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IT 기술과 접목한 월정사의 역사교육 및 관광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현장체험학습과 지역의 역사적 문화유산, 구성주의 교수접근법에 토대를 둔 월정사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역사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업방안은 체험과 탐구를 통해 자신만의 비판적 역사 이해 및 역사적 해석과 판단을 내려 보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수업은 중학교『역사1』교과서 전반에 해당하는 단원인 한국사 영역 고대 및 중세사 부분을 중심으로 실제 월정사의 역사문화콘텐츠를 가지고 현장체험학습을 하는 형태이며, ‘교실 사전활동 - 현장학습 - 교실 사후활동’을 하나의 묶음으로 하여 3개 차시씩 구분하여 2개의 주제로 운영됨으로서, 총 6차시의 교과수업을 진행하게 된다. 수업 활동이 진행되면서 새롭게 접하게 된 역사적 사실 내지 사건에 대해 있는 그대로의 지식습득이 아닌 자신도 훌륭한 한 사람의 역사가가 되어 조사․분석을 통한 해석과 평가의 경험을 통해 역사 학습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는 결국 현행 학교 역사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해법이며, 불교와 연계된 우리 고대․중세사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현장을 그대로 체험하면서, 우리 민족의 역사를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 역사교육의 대안이 될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방향을 중심으로 보다 나은 월정사의 역사문화콘텐츠가 개발되고, 교육적인 활용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월정사가 지역의 새로운 역사문화콘텐츠 브랜드로써 위상을 가져, 살아 숨 쉬는 문화재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주제어: 지역문화재, 역사문화콘텐츠, 월정사, 불교, 역사교육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2. 지역문화재의 역사교육 및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가능성 5
      • 1.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역사교육 5
      • 1.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2. 지역문화재의 역사교육 및 역사문화콘텐츠 활용 가능성 5
      • 1. 지역문화재를 활용한 역사교육 5
      • 1) 지역문화재 활용 역사교육의 의의 5
      • 2) 지역문화재 활용 역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 7
      • 2. 역사문화콘텐츠에 관한 검토 10
      • 1) 역사문화콘텐츠의 개념과 의의 10
      • 2) 역사문화콘텐츠의 가치와 확장모델 11
      • 3) 역사문화콘텐츠에 대한 선행연구 14
      • 3. 역사문화콘텐츠의 역사교육 활용사례 18
      • 1) 서울역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 18
      • 2) 군산․김제․완주지역 쌀 수탈 근대역사 교육벨트 조성사업 22
      • 3) 청주 직지의 체험교육 프로그램 27
      • 4. 시사점 30
      • 3. 오대산 월정사 지역문화재 역사문화콘텐츠 구축 32
      • 1. 월정사 역사문화자원의 현황 및 특성 32
      • 1) 월정사의 역사적 배경 32
      • 2) 월정사 역사문화자원의 내용 및 특성 35
      • 2. 월정사의 역사문화콘텐츠 구축방안 51
      • 1) 탑돌이의 지역축제화 51
      • 2) 실경산수공연의 창작 및 개발 56
      • 3) 역사문화공원의 장소성과 체험성 개발 58
      • 4) 선재동자 선발대회 개최를 통한 콘텐츠 확장 및 홍보 64
      • 5) 선재동자 선발대회 개최를 통한 콘텐츠 확장 및 홍보 65
      • 4. 지역문화재의 역사교육 활용방안 70
      • 1. 역사문화콘텐츠의 교육적 활용의 의의 및 방향성 70
      • 2. 지역문화재의 역사교육 교수모형 74
      • 3. 역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교수방안 81
      • 5. 결론 89
      • 참고문헌 93
      • ABSTRACT 1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