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통신사의 역사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관광루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93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to suggest the way to develop and discover various historical cultural content possessed by Joseon Tongsinsa(Korean missions to Japan) routes at the time when the records of Joseon Tongsinsa, which is our historical and cultural...

      This study was planned to suggest the way to develop and discover various historical cultural content possessed by Joseon Tongsinsa(Korean missions to Japan) routes at the time when the records of Joseon Tongsinsa, which is ou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e listed in UNESCO and revalu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generally summarized in three thing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not only historical cultural content and Joseon Tongsinsa routes, but als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Joseon Tongsinsa records and overseas tourism development cases using Joseon Tongsinsa. First of all, in terms of historical cultural content,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cepts, definitions, types and values ​​of historical cultural content, and then overseas successful cases of development using historical cultural content. This study identified that in the case of Japan, the reason for this success is machizukuri where local communities autonomously develope and discover potential history and culture as tourism resources. And France applied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to the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image as a historical cultural powerhouse. Regarding the theoretical review of Joseon Tongsinsa, this study examined historical significance and value, as well as various historical cultural content scattered around a distance of 420 KM of Joseon Tongsinsa in Korea by region. Most of Japanes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e preserved and maintained, whereas many Korean cultural resources about Joseon Tongsinsa have been damaged by urban planning and road maintenance, and even the traces have often disappeared. However, it judged that the figures, festival events, and incidents consisting of historical cultural content can be restored. This study looked into the Japanese tourism industry using Joseon Tongsinsa and found that they have preserved and managed old roads as tourism resources, including tokaido that Joseon Tongsinsa passed by. For this purpose, they have developed applications and guide books for convenience and effective tourism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local governments in each region of Japan that Joseon Tongsinsa passed by were active in attracting tourists by having a reenactment parade and a festival and by constructing an archive and a memorial hall.
      Seco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given to the visitors of History Museum of Joseon Tongsinsa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Joseon Tongsinsa and the way to improve it. History Museum of Joseon Tongsinsa is the only history museum of Joseon Tongsinsa in Korea that has a symbolic significance. The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tge general knowledge of Joseon Tongsinsa, the satisfaction and complaints about History Museum of Joseon Tongsinsa, the evaluation of tourism resources value of Joseon Tongsinsa cultural content, and the promotional plans of Joseon Tongsinsa. As a result, the visitors were found to have high interest in cultural content about Joseon Tongsinsa so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historical cultural content related to Joseon Tongsinsa in the future. And if Joseon Tongsinsa routes are activated as tourism resources, the perception of Joseon Tongsinsa needs to change while requiring active public relations.
      Third, targeting Joseon Tongsinsa experts, three times of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value, function, and utilization plan of Joseon Tongsinsa routes, the possibility of Joseon Tongsinsa routes as cultural tourism content, the reason why Joseon Tongsinsa hasn’t been developed as cultural tourism content so far,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with Japan by using Joseon Tongsinsa routes in the future, and the possibility to use historical cultural content (figures, places, festival events, food, etc.) as cultural tourism content. First, 22 items were finally obtained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cultural tourism content of Joseon Tongsinsa routes. There were predominant opinions to utilize the content of Joseon Tongsinsa which has been inherited and preserved until now, such as 'Daehanmun Gate and Namdaemun Gate Royal Guard-Changing Ceremony', 'Use of storytelling about people from each region', and 'Making Jeonsaengseo mural’, followed by the opinions ‘It is necessary to make cultural content and reenact the event of walking along the old roads of Joseon Tongsinsa, which is currently held every two years.’ and 'If a historical cultural tour route from Seoul to Busan, or from the 1st City to the 2nd City’ is valued and activated, there is a possibility as tourism resources’, which suggested the potential of long-distance walking tourism. Regarding the reason why Joseon Tongsinsa routes have not been developed yet as cultural tourism content, there were priority items such as ‘lack of storytelling’ and ‘lack of the subject and the driving force to consistently maintain the whole area as a historical recognition-based theme tourism’, ‘almost no trace of the routes that Joseon Tongsinsa passed, only remaining in records', and ‘lack of local residents' interest’. In the survey on the opening of Joseon Tongsinsa routes, there were prevalent opinions to open sequentially from the high-potential development section by stages. In this case, the priority sections out of total 14 sections are Seoul~Seongnam, followed by Ulsan~Busan, Yeongcheon~Gyeongju, Chungju~Mungyeong, and Mungyeong~Yecheon. Therefore, the regions with lots of place content and festival event content among historical cultural content of Joseon Tongsinsa were found to be preferentially selected. A total of 9 questions were derived for the inquiry about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with Japan using Joseon Tongsinsa routes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item among these items was the opinion that the connection was effective in terms of cultural exchange. Currently, Busan Cultural Foundation in Korea is holding festival events every year together with Japan’s NPO Corporation Joseon Tongsinsa Liaison Council. Besides, various projects pursued by Joseon Tongsinsa Commemorations are positive aspects. Also, it is an important item to arouse sympathy on the connection to Joseon Tongsinsa routes through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government’s support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cademia and cultural fields. Lastly, a total of 25 items were drawn as Joseon Tongsinsa cultural content that can be utilized as tourism resources. There were 5 content about figures, 8 content about places, 8 content about festival events, and 4 content about others. Among these items, festival events including Jeonbyeolyeon and Masangjae in Yeoncheon-si, Haesinjae in Busan, and Joseon Tongsinsa Festival were ranked high in importance, followed by place content such as Joyanggak in Yeoncheon-si and the foot of Mt. Dunjisan and the southernmost part in the Yongsan Garrison.
      Based on these results, it looks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utilizing the historical cultural content of Joseon Tongsinsa in the future, the branding of Joseon Tongsinsa of the local governments in the priority sections, and ultimately the restoration of Joseon Tongsinsa routes connecting these tourism resour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의 역사문화자원인 조선통신사 기록물이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그 가치가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조선통신사루트가 보유한 다양한 역사문화콘텐츠들을 개발·발굴하고자 하는 ...

      본 연구는 우리의 역사문화자원인 조선통신사 기록물이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그 가치가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조선통신사루트가 보유한 다양한 역사문화콘텐츠들을 개발·발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체적으로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역사문화콘텐츠와 조선통신사루트, 조선통신사 기록물에 나타난 역사문화콘텐츠, 그리고 조선통신사를 활용한 일본의 관광산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역사문화콘텐츠는 개념과 정의, 유형과 가치에 대해 고찰하고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국외의 관광 개발사례를 살펴보았다. 일본의 경우 지역이 주체가 되어 잠재된 역사와 문화를 개발하고 발굴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마치즈쿠리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프랑스의 경우는 기존의 문화관광 강국 이미지에 더하여 첨단의 과학기술을 관광에 접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선통신사루트는 서울과 부산까지의 구간으로 조선통신사는 1607년부터 1811년까지 총 12차례에 걸쳐 이 구간을 사행하였다. 이 구간에는 조선통신사와 관련한 인물과 사건, 축제이벤트 등 다양한 역사문화콘텐츠가 축적되어 있으며 조선통신사 기록물을 통하여 조선통신사루트의 역사적 의미와 개발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는 장소콘텐츠를 살펴보았다. 조선통신사를 활용한 일본의 관광산업에서는 조선통신사들이 지났던 일본 내 구간의 각 지자체에서 조선통신사를 소재로 하여 관광산업에 진력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조선통신사들이 걸었던 도카이도 등의 옛길은 예전의 모습대로 보전·관리되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과 가이드북은 관광객 유치에 활용되고 있었다. 한편 조선통신사와 인연을 맺은 일본의 여러 지자체들은 NPO법인 조선통신사연지연락협의회를 결성하여 조선통신사 재현행렬 및 축제 이벤트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밖에 조선통신사 관련 자료관 및 기념관 등도 일본의 각지에서 운영되어 관람객을 유치하고 있었다.
      둘째, 조선통신사역사관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일반인들의 조선통신사에 대한 인식정도와 개선방안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을 통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선통신사역사관은 국내 유일의 조선통신사 관련 역사관으로 상징적인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설문 문항으로는 조선통신사에 대한 일반지식, 조선통신사역사관 만족도와 불편사항, 조선통신사 문화콘텐츠의 관광자원 가치평가, 조선통신사 홍보방안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방문객들의 조선통신사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아 향후 조선통신사와 관련한 다양한 역사문화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며, 조선통신사루트가 도보관광자원으로 활성화 될 경우 조선통신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많은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조선통신사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조선통신사루트의 가치·기능·활용방안, 조선통신사루트의 문화관광콘텐츠로써의 가능성, 현재까지 조선통신사루트가 문화관광콘텐츠로 개발되지 못한 이유, 향후 조선통신사루트를 활용한 일본과의 연계 가능성, 조선통신사 역사문화콘텐츠 (인물, 장소, 축제이벤트, 음식 등) 중 문화관광콘텐츠로 활용 가능한 것 등을 조사하였다. 먼저 조선통신사루트의 문화관광콘텐츠로써의 가능성에 대하여는 최종적으로 22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대한문과 남대문 수문장 교대식’, ‘각 지역 출신인물들에 대한 스토리텔링 활용’, ‘전생서 벽화 제작’ 등 현재까지 계승·보존되고 있는 조선통신사 콘텐츠를 활용하자는 의견들이 우선순위를 차지하였고 ‘현재 2년마다 열리는 조선통신사 옛길 걷기 행사에 문화콘텐츠를 만들어 재현할 필요가 있다’와 ‘서울부터 부산까지, 즉 남한의 제1도시에서 제2도시를 잇는 역사문화 탐방로로서의 가치를 부여하여 활성화한다면 관광자원으로서 가능성’의 순으로 나타나 원거리 도보관광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조선통신사루트가 문화관광콘텐츠로써 개발되지 못한 이유에 대하여는 ‘스토리텔링의 부족’과 ‘전 구간을 역사인식의 테마관광으로 일관할 수 있는 주체와 추진력 결핍’, ‘기록으로만 남아있을 뿐 조선통신사가 지나간 길이라는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음’, ‘지역주민들의 관심부족’ 항목이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조선통신사 루트의 오픈에 대한 조사에서는 단계적으로 개발가능성이 높은 구간부터 순차적으로 오픈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고 그 경우 우선시 되는 구간으로는 총 14개 구간 중 서울〜성남구간, 울산〜부산구간, 영천〜경주구간, 충주〜문경구간, 문경〜예천구간 순으로 나타나 조선통신사의 역사문화콘텐츠 중 장소콘텐츠와 축제이벤트 콘텐츠가 많은 지역을 우선시하여 선정되었음이 고찰되었다. 향후 조선통신사루트를 활용한 일본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문항에는 총 9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이 항목들 중 가장 우선시 된 항목은 문화교류적 측면에서의 연계가 효과적이라는 의견이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부산문화재단이 일본의 NPO법인 조선통신사연지연락협의회와 매년 축제이벤트 등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외에도 조선통신사현창회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 등은 긍정적인 측면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학계와 문화계의 유기적 관계를 바탕으로 한 행정적 지원과 정부차원의 지원을 통한 조선통신사 사행로 연계에 대한 공감대 형성도 중요한 항목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관광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조선통신사 문화콘텐츠로는 총 25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인물에 관한 콘텐츠가 5개, 장소 콘텐츠가 8개, 축제이벤트가 8개, 기타 4개 등이었다. 이 항목들 중 영천시의 전별연과 마상재, 부산의 해신제와 조선통신사 축제 등 축제이벤트가 중요도가 높은 순위로 나타났으며 영천시의 조양각과 용산기지 내의 둔지산자락과 남단 등의 장소콘텐츠도 다음으로 중요한 콘텐츠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조선통신사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자원의 개발과 우선순위 구간 지자체의 조선통신사 브랜드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이들 관광자원을 연결한 조선통신사루트의 복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2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4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2
      •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4
      • 1. 연구 방법 4
      • 2. 연구 범위 5
      • 3. 연구 흐름도 6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역사문화콘텐츠 7
      • 1. 역사문화콘텐츠의 개념 및 정의 7
      • 2. 역사문화콘텐츠의 유형 11
      • 3. 역사문화콘텐츠의 가치 12
      • 4.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국외 관광 개발사례 16
      • 제2절 조선통신사 루트 27
      • 1. 조선통신사의 의의 27
      • 2. 조선통신사의 역사적 흐름 28
      • 3. 조선통신사의 가치 32
      • 4. 조선통신사루트 34
      • 5. 조선통신사 역사문화콘텐츠 39
      • 제3절 조선통신사 기록물에 나타난 역사문화콘텐츠 45
      • 1. 조선통신사 사행록의 개요 45
      • 2. 조선통신사 사행록의 내용과 구성 48
      • 3. 사행록에 나타난 역사문화콘텐츠 59
      • 제4절 조선통신사를 활용한 일본의 관광산업 74
      • 1. 조선통신사루트를 활용한 관광산업 74
      • 2. 조선통신사 재현행렬 및 축제와 이벤트 84
      • 3. 조선통신사 관련 자료관 및 기념관 90
      • 제3장 조사 설계 97
      • 제1절 사전조사 97
      •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98
      • 2. 조선통신사 역사문화콘텐츠 만족도 99
      • 3.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103
      • 제2절 조사대상 106
      • 제3절 조사방법 107
      • 1. 델파이 기법의 개념 108
      • 2. 델파이 기법의 특성 109
      • 3. 델파이 기법의 절차 109
      • 제4절 자료수집 및 분석기준 111
      • 1. 자료수집 111
      • 2. 분석기준 112
      • 제4장 실증 분석 120
      • 제1절 델파이 조사 설문 결과 분석 120
      • 1. 제 1차 델파이 결과 분석 120
      • 2. 제 2차 델파이 결과 분석 129
      • 3. 제 3차 델파이 결과 분석 142
      • 제2절 논 의 154
      • 1. 우선순위 구간 지자체의 조선통신사 브랜드화 154
      • 2. 영천부산 구간의 선형관광자원 가능성 161
      • 3. 조선통신사에 대한 인식 변화 163
      • 제5장 결 론 164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64
      • 1. 연구결과의 요약 164
      • 2. 연구의 시사점 167
      • 제2절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70
      • 참고문헌 172
      • 부록<설문지> 179
      • Abstract 21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pp.37〜98, 2006

      2 제갈욱, "『조사방법론』", 대영문화사, p.46, 2016

      3 안태현, "『옛길, 문경새재』", 대원사, pp.207∼209, 2012

      4 유제상, "『문화콘텐츠학 강의』", 컨텐츠하우스, p.22, 2017

      5 신기수, "『조선통신사의 여정』", 월인, pp.136∼137, 2018

      6 남치호, "『문화자원과 지역정책』", 대왕사, pp.148∼200, 2007

      7 육동일,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20년의 성과와 발전방향, 2015

      8 강경환,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문화재청, pp.15〜18, 2007

      9 김병욱, "『델파이(Delphi) 분석방법』", 킴스정보전략연구소, p.47, 2015

      10 류철호, 정경일, "『지역문화와 문화콘텐츠』", 글누림, p.38, 2017

      1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pp.37〜98, 2006

      2 제갈욱, "『조사방법론』", 대영문화사, p.46, 2016

      3 안태현, "『옛길, 문경새재』", 대원사, pp.207∼209, 2012

      4 유제상, "『문화콘텐츠학 강의』", 컨텐츠하우스, p.22, 2017

      5 신기수, "『조선통신사의 여정』", 월인, pp.136∼137, 2018

      6 남치호, "『문화자원과 지역정책』", 대왕사, pp.148∼200, 2007

      7 육동일, "『한국지방자치 학회보』",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20년의 성과와 발전방향, 2015

      8 강경환, "『문화재 활용 가이드북』", 문화재청, pp.15〜18, 2007

      9 김병욱, "『델파이(Delphi) 분석방법』", 킴스정보전략연구소, p.47, 2015

      10 류철호, 정경일, "『지역문화와 문화콘텐츠』", 글누림, p.38, 2017

      11 부산박물관, "『조선시대 통신사와 부산』", 부산박물관, pp.19〜226, 2015

      12 손승철, "『조선통신사의 길 위에서』", 역사인, pp.164〜358, 2018

      13 손승철, "『조선통신사, 타자와의 소통』", 경인문화사, p.239, 2017

      14 남옥, "『붓끝으로 부사산 바람을 가르다』", 소명출판, p.187, 2006

      15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조선통신사 옛길을 따라서』, 제3권", 한울, pp.5 6∼98, 2009

      16 구지현, "『조선통신사 사행록에 나타난 영천』", 보고사, pp.37〜239, 2015

      17 한태문, "『조선통신사의 길에서 오늘을 묻다』", 도서출판 경진, pp.19∼ 288, 2014

      18 유동호, "『히스텔링 역사, 문화콘텐츠를 입다』", 서경문화사, pp.30〜31, 2017

      19 나종민, "“녹색성장시대의 관광개발 지표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p. 57, 2010

      20 하영수, "『환경보호와 국제환경법에 관한 고찰』", 세계헌법연구, 2009

      21 김상태, "『역사 전통문화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142, 2014

      22 박용규, "『위기의 지방자치, 민선5기의 도전과제』", 삼성경제연구소, p.80, 2010

      23 구라치 가쓰나오, "세토우치 우시마도와 조선통신사에 대하여,", 『조선통 신사의저널』 겨울호, pp.12∼17, 2016

      24 전금선, "『일본 동자춤 가라코오도리(唐子踊)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 원, p.1, 2016

      25 양효성, "『옛길 위의 조선통신사-서울에서 부산까지』", 보고사, pp.27∼ 319, 2016

      26 박기임, "『일본의 인바운드 수출 확대 전략과 시사점』", 국제무역연구원, p.3, 2016

      27 김귀현, "여행가이드북의 종말, 『기획회의』, 통권466호", 한국출판마케팅 연구소, p.95, 2018

      28 송지원, "朝鮮通信使의 儀禮, 『조선통신사연구』, 제2권", 조선통신사학회, pp.28〜30, 2006

      29 정장식, "1636년 通信使의 日本認識, 『일본문화학보』, 제6권", 한국일본 문화학회, pp.40∼52, 1999

      30 김순은, "지방자치 20년의 평가, 『입법과 정책』, 제7권 제1호", 국회입법 조사처, pp.59〜77, 2015

      31 심규선, "『심규선 기자가 전하는 조선통신사, 한국 속 오늘』", 월인, pp.83∼308, 2017

      32 우에다 마사아키, "현대에 살아 있는 조선통신사, 『조선통신사의 여정』", 월인, pp.14∼15, 2002

      33 송초롱, "『프로젝션 매핑 기반의 문화관광자원 활용 사례연구』", 한국전 통문화대학교 대학원, p.64, 2017

      34 설연수,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 연구』", 전남 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pp.7〜8, 2012

      35 노승용,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하기", 국토 , p.299, 2006

      36 김천수, "『용산기지 내 사라진 둔지미 옛 말을의 역사를 찾아서』", 용산 구청문화체육과, pp.18∼74, 2017

      37 신영, "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한 도시브랜드 구축에 관한 사례고찰", 홍익 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pp.48∼50, 2013

      38 임지은, "역사문화자원 방문동기 선택속성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 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9 정영문, "使行錄에 기록된 기원의 양상과 의미연구, 『동방학』, 제35권",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pp.258∼275, 2016

      40 한태문, "한일 문화교류의 상징, '조선통신사', 그들의 기록, 『기록인』",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pp.48∼50, 2018

      41 정영문, "17세기 사행록의 연구방향과 나아갈 방향, 􋺷한국문학과 예술􋺸",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37∼59, 2015

      42 경기문화재연구원, "『수도권 광역경제권 역사문화콘텐츠 활성화 및 활용 전략연구』", 경기문화재단, pp.4〜25, 2012

      43 김선화, "『지역유산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지도 및 보존의식에 관한 연 구』", 한국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4 김형우, "『세계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를 위한 지표개발 연 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p.12, 2014

      45 조광호, "『도시재생에서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의 쟁점 및 정책지 원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7

      46 최동우, "『한국어 여행안내 책자의 개선에 관한 연구-중국어권 여행자를 대상으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p.17, 2016

      47 박봉규, 백효기, "기업회의 참가자의 컨벤션 서비스케이프 평가에 관한 연 구, 『컨벤션연구』", 제8권 제3호, pp.25〜34, 2008

      48 정선자, "관광루트로써 조선시대 통신사행로에 관한 연구, 『일본근대학 연구』, 제57권", 한국일본근대학회, pp.398∼404, 2017

      49 송희영,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기획 연구, 『예술경 영연구』, 제24권", 한국예술경영학회, pp.73∼96, 2012

      50 윤인향, "『역사문화콘텐츠에서 문화 정보학: 인물 관계 네트워크의 디자 인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석사논문, pp.16∼79, 2009

      51 최단아,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 활성화 방안: 백제문화단 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p.40, 2018

      52 민유기, "국가기억 대 민간기억의 갈등과 대안적 기념문화의 모색, 『사 회와 역사』, 제78권", 한국사회사학회, p.86, 2008

      53 박종화, 이권희,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이 도시민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pp.61〜72, 2015

      54 김양기, "朝鮮通信使400주년의 경위와 이에야스(家康)의 평화외교, 『조 선통신사연구』, 제4권", 조선통신사학회 , pp.10∼19, 2007

      55 임동욱, "‘빛과 소리의 쇼’를 통한 역사유적의 장소성 극대화, 『글로벌문 화콘텐츠』, 제23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pp.154∼169, 2016

      56 양효성, "조선통신사행로 영천구간을 통해본 경상북도 사행로의 활용방 안, 『연민학지』, 제24권", 연민학회, p.253, 2015

      57 정영문, "국내 ‘通信使길’에 나타난 地方公演文化의 樣相과 意味考察, 􋺷 열상고전연구􋺸 제30권", 열상고전연구회, p.68∼87, 2009

      58 이은수, "오지은, 컨벤션 개최장소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컨벤션서비스의 관 계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pp.293〜303, 2006

      59 류재한, "문화자원을 통한 지역 활성화 전략: 방데의 퓌뒤푸의 사례를 중 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제56권", 한국프랑스학회, pp.341∼345, 2006

      60 이예슬, "『박물관 전시 관람을 위한 어린이 동반 가족 대상 셀프가이드 북(Self-guide book) 개발-국립중앙박물관 청자실을 중심으로』", 상명대 학교 교육대학원, p.9, 2015

      61 임동욱, "프랑스 송에뤼미에르 전통을 계승한 몰입형 미술 전시-레보드프 로방스의 ‘빛의 채석장’을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제28권", 한국박물 관학회, p.325, 2015

      62 임동욱, "『비극적 역사의 동일시와 정체성화를 통한 지역 관광지의 장소 성 확보 전략 : 프랑스의 옥시타니아 문화부흥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p.36, 2014

      63 한태문, "조선시대 통신사와 영천, 『배달말』, 제46권, 배달말학회, p.12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웅진출판, 1992. 『국역 해행총재Ⅰ∼Ⅻ』", 민족문화추진회, 1977,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