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역사문화환경으로서 풍납토성 일대 변화과정의 도시형태학적 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97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ungnaptoseong fortress(kingdom fortress), which is the core area of Hanseong Baekje period's capital city, and the surrounding areas from late Joseon dynasty to current, and to morphologically interpret the pro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ungnaptoseong fortress(kingdom fortress), which is the core area of Hanseong Baekje period's capital city, and the surrounding areas from late Joseon dynasty to current, and to morphologically interpret the process that the elements were formed and changed. For this, the spatial scale was divided into 'Pungnaptoseong metropolitan area(macroscopic spatial dimension)' and 'Pungnaptoseong zone(microscopic spatial dimensi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morphology elements around Pungnaptoseong area, and the process that each element was changed by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ociety-economic factors and interaction of each element was interpreted morphologically.

      The change process of Pungnaptoseong metropolitan area in macroscopic spatial dimension can be summarized by each morphological period as follows.
      During 'the period of forming annular road network system'(the 18th century ~ 1910), the annular road network system that connected Gwangjin-Pungnaptoseong-Mongchontoseong-Songpajin-Namhansanseong-Gwangjin was maintained for a long time. Especially main streets that passed Gwangjin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could be confirmed to have existed on the extension of roads of national network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Bonghwadaero centered annular road network with Songpajin as a key location from the road traffic with Gwangjin as a key location was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annular road network system connected from far Hanyangdoseong to Hanseong and Namhansanseong of Hanseong Baekje period in the national road network level, so the historical meaning that the relevant areas were connected in time and space from Hanseong Baekje period to Joseon Dynasty could be comprehended.
      During 'the period that annular road network system was changed and collapsed'(1911~1967), the road system was changed by the 1st and the 2nd Road Planning and Vehicle Transporta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raditional street network system was changed due to construction of newly constructed road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s this road network system was fixated after the independence, the road network system that organically connected the major strategic points within Pungnaptoseong metropolitan area was collapsed. During this period, the motorcar road centered street network system was newly established based on Cheonho-dong(Gokgyori). As motorcar roads such as Gwangjingyo and Cheonhogu Intersection near Hanseong Baekje cultural heritages were established, these situation changes became a primary cause that caused the beginning of future urban development and the damage of cultural relics.
      During 'the period of urban development and relics damage'(1968~1985), as Songpa River, which was the main stream of Hangang River, was reclaimed by Comprehensive Hangang River Development Project, and Shincheon became the main stream, the passage of Hangang River was changed. The street reorganization planning of Seoul Urban Planning(1971) was designed without consideration of cultural heritages of Hanseong Baekje Period, so streets were supposed to pass the cultural heritages. Most of the parts were implemented by land readjustment project. As a result, the current straight and grid-type road network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central axis was moved from Cheonhugu Intersection(Cheonho) to Songpadaero(Jamsil). Most of old roads disappeared, but Songpadaero remained succeding to Bonghwadaero. The cultural heritages of Hanseong Baekje were ruined and fragmented by newly built or expanded roads, and were neglected by being surrounded by roads and houses while being isolated.
      During 'the period of heritage centered conservation'(1985~present), as such projects as Comprehensive Restoration Maintenance Plan of Seoul Ancient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Baekje Cultural Area Heritage Maintenance Project were implemented, Hanseong Baekje cultural heritages started to be excavated, preserved and maintained. However, those heritage conservation projects were done focusing on phenomena distorted and ruined by urban development and sole heritages. In addition, other heritages than Mongchontoseong weren't conserved or managed properly until late 1990s without thorough character definition. Therefore, each heritage was still fragmented, and remains in the damaged and distorted forms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With the disappearance of old road networks, organic connection of historical contexts between cultural heritages, and between Hangang River and cultural heritages was broken.

      The change process of Pungnaptoseong areas in microscopic spatial dimension is summarized by morphological period each as follows.
      'Pungnaptoseong in late Joseon Dynasty'(before 1910) was located with close connection with rivers and canals, and Hangang River and Pungnaptoseong were integrated space with close connection. Among old roads, the inner center road that is closely related to Noryeong-ro with the topography of Hanseong Baekje reflected was studied. The most part of Pungnaptoseong west rampart itself was carried away, and at the remaining area of west rampart, residential area(pottery-making sites, village of craftsman) was formed. Therefore, Pungnaptoseong was major spot for residential area in late Joseon Dynasty, and it was relatively prosperous village that had the function of pottery-making industry. The urban forms of Hanseong Baekje period and late Joseon Dynasty had high spatial contextual correlation, and the overall shape, lineage and moat of Pungnaptoseong rampart were estimated.
      During 'the period of Pungnaptoseong transformation'(before Hangang River's development: 1910~1967), the passage of Songpagang River was changed by the Great Flood of the Year of the Ox, and the connected part between north wall and west wall was swept away, forming puddle. As Gwangjin Bridge and Shinjak-ro for vehicles were newly constructed, there was structural change that increased the pressure of development in the areas of north wall and east wall of Pungnaptoseong.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esignated north wall, east wall, south wall and some of remaining west wall as historical places, so some parts of west wall had forms with the severance of the whole areas. When land registration maps of 1911 and 1967 were compared, the division of the transformation of lots adjacent to the roads was distinct. As state-owned land and government-vested land were sold to individuals, the lots were fragmented. The land was increased, but the land use property was mostly farm fields and forest land until 1967. As some areas of Pungnap-dong were designated as semi-industrial district(1966), factories entered Pungnaptoseong area later.
      During 'the period of Pungnaptoseong demolition'(after Hangang River development: 1968~1992), as Songpagang River stop gate construction was implemented at west south wall of Pungnaptoseong, and the stream of Songpagang River was landfill by public waters reclamation construction, the topography of south wall area was greatly transformed. Later, as Hangang River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became serious, Hangang River became completely artificial. The planned roads during this period were constructed as east and west walls were cut or damaged. As embankment roads were constructed, Pungnaptoseong and Hangang River were completely separated, and in the process that banks were built, west wall was ruined and the remaining west wall was fragmented. Since the embankment road was built between the disconnected west walls, the inside was misunderstood as the probability area of west wall. After partial teardown of rampant in 1969, it was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Zone in 1970, but due to designation of field oriented buffer-zone, considerable part of west rampant was automatically excluded or omitted from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Zone. When the land registration maps of 1967 and 1982 are compared, lots-subdivision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①The type of subdivision done by being adapted to the original urban form as areas of readjustment of town lots according to private lots-subdivision project. ② The type of completely new lots transplanted after the original urban form was collapsed as housing site preparation area according to public land readjustment project. ③ The housing site preparation type after combined lots by being adapted to planned streets(Pungseong-ro, Toseong-ro). Regarding the change of land use, most areas except rampart were developed as housing sites. Factories, schools and apartments were built forming large scale of lots.
      During 'the period of conserving Pungnaptoseong'(1993~present), most sections except west wall estimated area and east wall dismissed section were repaired focusing on rampart whose original form remains from 1993. From the end of 1990s, areawide conservation was done focusing on buried cultural heritages in the inside of Pungnaptoseong. At that time, as the policy of areawide conservation recognized Pungnaptoseong as a sole cultural heritage where rampart and buried assets were spread, sporadic designation and purchase were done, but recently, it was switched into selective and concentrated compensation methods that compensate core sites among palace estimated sites first. When the land registration maps of 1982 and 2016 are compared, house construction focusing on apartments regardless of the context of existing urban space was done by private initiative. However, there are still old streets of Hanseong Baekje period, old streets of Joseon Dynasty, alleys formed in 1960~70 and houses or blocks of rectangle farm field type(田) of late Joseon Dynasty around Gyeongdang District and its north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후기부터 현재까지 한성백제기 도성의 핵심지역인 풍납토성(왕성)과 그 주변지역을 역사문화환경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여 그 구성요소들이 형성되고 변화되는 과정을 도시...

      본 연구는 조선후기부터 현재까지 한성백제기 도성의 핵심지역인 풍납토성(왕성)과 그 주변지역을 역사문화환경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여 그 구성요소들이 형성되고 변화되는 과정을 도시형태학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 스케일을 ‘풍납토성 광역권’(거시적 공간차원)과 ‘풍납토성권’(미시적 공간차원)으로 구분하여 조선후기 풍납토성 일대 도시형태 구성요소의 특성을 파악한 후, 형태적 시기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이 자연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또는 구성 요소 간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하는 과정을 도시형태학적으로 해석하였다.

      거시적 공간차원의 풍납토성 광역권 변화과정을 각 형태학적 시기별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환형 도로망 체계의 형성기’(18세기~1910년)에는 광진-풍납토성-몽촌토성-송파진-남한산성-광주고읍-광진을 연계하는 환형 도로망 체계를 오랫동안 유지해왔다. 특히 광진을 통과하는 18~19세기 대로들은 한성백제기 국가망도로와 연속선상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후기에는 기존의 광진을 거점으로 한 도로교통에서 송파진을 거점으로 하는 봉화대로 중심의 환형 도로망체계가 구축되어 있었음을 분석해내었다. 따라서 환형 도로망 체계는 멀리는 한양도성에서부터 한성백제기 한성과 남한산성을 국가망수준의 도로로 연계하고 있어 한성백제기부터 조선시대까지 해당지역이 시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는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환형 도로망 체계의 변형과 와해기’(1911~1967년)에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제1기 및 제2기 치도사업계획에 의해 도로체계가 변화되었다. 전통적 가로망체계가 일제강점기 신작로 건설로 인해 변형되었고, 해방 이후 이러한 도로망 체계가 고착화되면서 풍납토성 광역권내 주요 거점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도로망체계가 와해되었다. 이 시기에는 천호동(곡교리)를 중심으로 한 자동차 중심 가로망체계가 새롭게 형성되었다. 한성백제 문화재 인근으로 광진교 및 천호구사거리 등 자동차도로가 조성됨으로서 이러한 여건변화가 향후 도시개발 및 유적 훼손의 단초를 제공하는 일차적인 계기가 되었다.
      ‘도시개발과 유적 훼손기’(1968~1985년)에는 한강종합개발사업에 의해 한강의 본류였던 송파강이 메워지고 신천이 본류화되면서 한강유로가 변경되었다. 서울도시계획 가로재정비계획(1971년)은 한성백제기 문화재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이들을 관통하도록 계획되었다. 그리고 그 상당부분이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해 시행되었다. 그 결과 현재와 같은 직선형, 격자형의 도로망체계가 구축되었고, 도로의 중심축은 천호구사거리(천호)에서 송파대로(잠실)로 이동되었다. 대부분의 주요 옛길이 소멸되었으나 송파대로는 봉화대로를 계승하며 유지되었다. 한성백제 문화재가 무분별하게 계획되고 신설, 확장된 도로에 의해 훼손되었고, 파편화되었으며 도로와 주택들에 둘러싸여 고립된 채 방치되었다.
      ‘유적 중심 보존기’(1985년~현재)에는 서울 고도 민족문화유적 종합복원정비계획, 백제문화권 유적정비사업 등이 추진되면서 한성백제 문화재가 발굴, 보존,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유적 보존정비사업들은 도시개발에 의해 왜곡되고 훼손된 현상중심, 단일유적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또한 몽촌토성을 제외한 나머지 유적들은 1990년대 후반까지 철저한 성격규명 및 적절한 보존・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유적들이 여전히 파편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화 과정 속에서 훼손되고 왜곡된 형태로 남아있다. 옛길 네트워크가 소멸됨으로써 문화재와 문화재간, 한강과 문화재간 역사적 맥락에 의한 유기적 연계가 단절되어 있다.

      미시적 공간차원의 풍납토성권 변화과정을 각 형태학적 시기별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후기 풍납토성'(1910년 이전)은 하천 및 구거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입지해 있으며, 한강과 풍납토성이 조선시대 옛길을 통해 긴밀히 연계된 통합된 공간이었다. 옛길 중 한성백제기의 지형을 반영한 노령로의 지선과 관련성이 높은 내부 중심도로를 밝혀냈다. 풍납토성 성벽자체는 서벽의 상당부분이 이미 유실되어 있었으며 서벽 잔존구간에 주거지(옹기점, 점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풍납토성은 조선후기 주거지로서 주요한 삶터였고, 옹기제조업의 기능을 갖춘 비교적 번성한 촌락이었다. 한성백제기 도시형태와 조선후기 도시형태는 공간 맥락적으로 상관성이 높았으며, 조선후기 풍납토성 성벽의 전체적인 형상, 문지, 해자를 추정하였다.
      '풍납토성 변형기'(한강개발 전 : 1910~1967년)에는 을축년 대홍수에 의해 송파강의 유로가 변경되었으며, 북벽과 서벽 연결부가 유실되어 그 자리에 물웅덩이가 형성되었다. 자동차중심의 광진교 및 신작로가 새롭게 개설되면서 풍납토성 북벽과 동벽 일대로 개발압력이 높아지는 구조적인 변화를 겪었다. 조선총독부의 현상중심 고적지정은 북벽, 동벽, 남벽과 잔존 서벽 일부만을 지정하여 서벽 일부구간들이 전체구간과 단절되는 형태를 갖게 하였다. 1911년과 1967년 지적도를 비교해보면, 필지변화는 도로에 접한 필지들의 분할이 두드러졌다. 국유지 및 귀속재산인 필지들이 개인에게 불하되면서 세분할되었다. 대지가 증가하였으나 1967년까지는 여전히 전, 임야가 대부분인 토지이용특성을 보였다. 풍납동 일부지역이 준공업지역으로 지정됨(1966년)에 따라 이후 풍납토성 일대로 공장이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풍납토성 해체기'(한강개발 후 : 1968~1992년)에는 풍납토성 서남벽 일대에서 송파강 물막이 공사가 시행되고 공유수면매립공사에 따라 송파강 하도가 매립되면서 남벽일대 지형이 크게 변모하였다. 이후 한강종합개발사업이 본격화되면서 한강은 완전히 인공화되었다. 이 시기 계획도로는 동벽과 서벽을 절단하거나 훼손하면서 개설되었다. 강변제방도로가 개설됨으로써 풍납토성과 한강은 완전히 분리되게 되었고, 제방이 축조되는 과정에서 서벽이 훼손되었고 잔존서벽이 파편화되었다. 강변제방도로가 단절된 서벽 사이로 관통하여 축조됨으로써 그 안쪽이 서성벽 추정지로 오인되어 왔다. 1969년 성벽 부분해제 이후 1970년 문화재보호구역이 지정되었으나 현상중심 완충구역 설정으로 서성벽 상당부분이 자동 제척되거나 문화재보호구역에서 누락되었다. 1967년과 1982년 지적도를 비교해보면, 필지분할유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①민간의 필지별 분할사업에 따른 구획정리지역으로 원도시형태에 순응하여 분할된 형태. ②공공의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따른 택지조성지역으로 원도시형태 파괴 후 완전히 새로운 필지가 이식된 형태. ③계획가로(풍성로, 토성로)에 적응하여 필지합필 후 분필을 통한 택지조성 형태. 토지이용 변화는 성벽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지역들이 대지로 개발되었다. 대규모 필지를 형성하며 공장, 학교, 아파트 등이 유입되었다.
      '풍납토성 보존기'(1993년~현재)에는 1993년부터 원형이 남아있는 성벽을 중심으로 서벽 추정지 및 동벽 해제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이 복원・정비되었다. 2000년부터는 풍납토성 내부지역 매장문화재 중심의 면적보존이 이루어졌다. 당시 면적 보존방침이 풍납토성을 성벽과 매장문화재가 분포하는 단일문화재로 인식함에 따라 우선순위 없이 산발적 사정지정 및 매입이 이루어졌는데, 최근에는 왕궁 추정지 중 핵심지역을 대상으로 우선 보상하는 선택과 집중 보상방식으로 전환하였다. 1982년과 2016년 지적도를 비교해보면 민간주도로 기존의 도시공간 맥락을 무시한 아파트 중심의 주택건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경당지구 주변과 그 북측지역들은 한성백제기 계승 옛길, 조선시대 옛길, 1960~70년대 조성된 골목길, 조선후기 장방형의 밭(田) 형태의 가구 또는 블록이 유지되고 있다.

      풍납토성 일대의 하천, 지형, 도로, 문화재(성벽), 필지 및 토지이용의 변화는 상호 연관되어 있어, 단순히 문화재 중심으로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면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을 도시형태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거시적, 미시적인 변화내용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한성백제기 도성권 일대 역사문화환경에 대한 도시형태학적 접근이 요구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1. 연구의 범위 5
      • 2. 연구의 방법 8
      • 3. 연구의 자료 9
      • 제3절 연구의 흐름 12
      • 1. 연구의 과정 12
      • 2. 논문의 구성 13
      • 제2장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의 동향 15
      • 제1절 이론과 관점 15
      • 1. 역사문화환경으로서 풍납토성 15
      • 2. 고도(古都) 해석을 위한 도시형태 이론의 재검토 19
      • 3. 역사문화환경과 도시형태의 관계 24
      • 제2절 선행연구의 동향 26
      • 1. 도시형태 관련 연구 26
      • 2. 풍납토성 관련 연구 29
      • 3. 연구의 차별성 32
      • 제3장 분석의 틀 35
      • 제1절 분석대상 선정 및 연구범위 설정 근거 35
      • 1. 분석대상 선정 35
      • 2. 연구범위 설정 38
      • 제2절 분석의 틀 설정 45
      • 1. 풍납토성 광역권 분석의 틀 45
      • 2. 풍납토성권 분석의 틀 49
      • 3. 조선후기 풍납토성 성벽 추정 방법 53
      • 제4장 풍납토성 광역권의 도시형태 변화과정 56
      • 제1절 환형 도로망 체계의 형성기(조선시대 후기~1910년) 56
      • 1. 조선후기 환형 도로체계 형성의 역사 56
      • 2. 봉화대로 중심의 환형 도로체계 형성(18~19세기) 62
      • 3. 환형 도로체계의 세부 도로망(20세기 초) 69
      • 제2절 환형 도로망 체계의 변형과 와해기(1911~1967년) 73
      • 1. 광주가도 중심의 환형 도로체계로의 변화(1911~1925년) 73
      • 2. 광진교와 국도 1호선 중심의 근대교통망 형성(1925~1945년) 77
      • 3. 환형 도로체계의 와해(1945~1967년) 87
      • 제3절 도시개발과 유적 훼손기(1968~1985년) 92
      • 1. 한강 개발과 강변도로 : 한강개발3개년계획과 한강종합개발계획 92
      • 2. 새로운 교량 및 도로 개발 97
      • 3. 토지구획정리사업에 따른 도시개발 101
      • 제4절 유적중심 보존기(1985년 이후~현재) 114
      • 1. 서울 고도 민족문화유적 종합복원정비계획 추진 114
      • 2. 백제문화권 유적정비사업과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119
      • 제5절 소결 127
      • 제5장 풍납토성권의 도시형태 변화과정 130
      • 제1절 조선후기 풍납토성(1910년 이전) 130
      • 1. 한성백제기 풍납토성의 도시형태 개요 130
      • 1) 풍납토성의 발굴연혁 및 성과 130
      • 2) 한성백제기 풍납토성의 지형(입지형태) 134
      • 3) 한성백제기 풍납토성의 도시형태 구성요소(시가지형태) 138
      • 2. 조선후기 풍납토성의 도시형태적 특성 141
      • 1) 하천 및 미세지형 141
      • 2) 도로와 도로체계 146
      • 3) 토지이용 149
      • 4) 필지 156
      • 3. 한성백제기와의 도시형태적 관계성과 성벽 형태 추정 159
      • 1) 한성백제기 지형과 조선시대 도시형태 160
      • 2) 한성백제기 매장유구와 조선시대 도시형태 161
      • 3) 조선후기 풍납토성 성벽 형태 추정 165
      • 제2절 풍납토성 변형기(한강개발 전 : 1911~1967년) 170
      • 1. 변형기의 하천 변화 170
      • 1) 을축년 대홍수에 따른 하천유로 변경 및 물웅덩이 형성 170
      • 2) 대홍수에 따른 풍납토성 도시형태의 변화 173
      • 2. 변형기의 도로 변화 175
      • 1) 일제강점기 치도사업에 의한 신작로 건설 175
      • 2) 해방 이후 인습도로 개설과 성벽 훼손 179
      • 3. 변형기의 성벽 변화 185
      • 1) 고적조사 185
      • 2) 필지분석에 따른 개발 및 훼손과정 189
      • 4. 변형기의 필지 및 토지이용 변화 194
      • 1) 필지의 변화(1911-1967년) 194
      • 2) 토지이용의 변화(1911-1967년) 196
      • 제3절 풍납토성 해체기(한강개발 후 : 1968~1992년) 200
      • 1. 해체기의 하천 변화 200
      • 1) 한강개발3개년계획에 따른 하천변화 200
      • 2) 한강종합개발사업에 따른 하천변화 201
      • 2. 해체기의 도로 변화 203
      • 1) 도시계획가로재정비 계획에 따른 도로변화 203
      • 2) 도로개설에 따른 성벽 훼손 208
      • 3. 해체기의 성벽 변화 212
      • 1) 사적지정 해제(1969년)와 문화재보호구역 지정(1970년) 212
      • 2) 성벽복원에 따른 성벽 형태 변화 214
      • 4. 해체기의 필지 및 토지이용 변화 218
      • 1) 필지의 변화(1967-1982년) 218
      • 2) 토지이용의 변화(1967-1982년) 221
      • 제4절 풍납토성 보존기(1993년~현재) 229
      • 1. 보존기의 풍납토성 변화 229
      • 1) 성벽중심 선적 보존 229
      • 2) 풍납토성 면적 보존관리 231
      • 2. 보존기의 필지 및 토지이용 변화 235
      • 1) 필지의 변화(1982-2016년) 235
      • 2) 토지이용의 변화(1982-2016년) 237
      • 제5절 소결 239
      • 제6장 결론 243
      • 제1절 연구의 종합 243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250
      • ▣ 참고문헌 252
      • ▣ 부록 261
      • ▣ Abstract 271
      • ▣ 감사의 글 27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송파구지, 송파구청, "null", null

      2 손정목, "null", 서울 도시계획이야기3, 2003

      3 남영우, "『도시공간구조론』", 법문사, 2007

      4 박순발, "“한성백제의 성곽”", 향토서울 제62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5 최종택, "풍납토성출토 토기류", 서울대학교 박물관, 서울대학교박물관, 1995

      6 김원룡, "풍납리포함층조사보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박물관, 1967

      7 이도학, "“백제왕궁과 풍납토성”", ‘쟁점백제사’ 집중토론 학술회의Ⅲ, 한성백 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2013

      8 김기섭, "“위례성에서 한성으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향토서울 제62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9 양승우, "백운동천 도시공간 변천사", 서울역사박물관, 2016

      10 양승우, "삼청동천 도시공간 변천사", 서울역사박물관, 2015

      1 송파구지, 송파구청, "null", null

      2 손정목, "null", 서울 도시계획이야기3, 2003

      3 남영우, "『도시공간구조론』", 법문사, 2007

      4 박순발, "“한성백제의 성곽”", 향토서울 제62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5 최종택, "풍납토성출토 토기류", 서울대학교 박물관, 서울대학교박물관, 1995

      6 김원룡, "풍납리포함층조사보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대학교박물관, 1967

      7 이도학, "“백제왕궁과 풍납토성”", ‘쟁점백제사’ 집중토론 학술회의Ⅲ, 한성백 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2013

      8 김기섭, "“위례성에서 한성으로”",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향토서울 제62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9 양승우, "백운동천 도시공간 변천사", 서울역사박물관, 2016

      10 양승우, "삼청동천 도시공간 변천사", 서울역사박물관, 2015

      11 이희연, 지도학, ": 주제도 제작의 원리와 기법", 법문사, null

      12 강병기, "“도시속의 역사문화 환경”", 대한건축학회, 건축(대한건축학회지), 40(7), 대한건축 학회, 1996

      13 신희권, "“풍납토성 축조연대 시론”", 한국상고사학회, 한국상고사학보 제37호, 한국상고사학회, 2002

      14 황수영, "편, , 일제기 문화재 피해 자료", 국외소재문화재단, 2014

      15 서영일, "“고구려의 백제공격로 고찰”", 사학지 제38권, 단국대학교사학회, 2006

      16 신희권, "“풍납토성의 도성 구조 연구”", 풍납토성 500년 백제왕도의 비젼과 과제, 풍납토성 발굴 10주년 기념 제16회 문화재연구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7 소재윤, "“4-5세기 풍납토성의 도성경관”", 백제학회, 백제학보 제8호, 백제학회, 2012

      18 안미선, "“풍납토성 역사문화환경 계획”",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9 양승우, "“남촌의 필지조직 특성과 변화”", 서울 남촌; 시간,장소,사람, 서 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03

      20 이상구, "“조선후기 도시입지형태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21 권오영, "“백제 한성기의 도성과 지방도시”", 중부고고학회, 고고학 11(3), 중부고고학회, 2012

      22 박종철, "“시가지의 필지분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23 이홍종,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경관”", 중부고고학회, 고고학 14(1), 중부고고학회, 2015

      24 강동진, "근대역사환경 보전의 패러다임 모색", 국토계획, 34(1),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1999

      25 신희권, "“풍납토성 출토 문자와 부호 탐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한국고대사탐구, 한국고대사탐 구학회, 2013

      26 김건곤, 어강석, 김태환, "편, , 동국여지승람 제영사전 : 산천편", 한국학중앙연 구원출판부, 2016

      27 김기섭, "“백제 한성도읍기 연구 동향과 과제”",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제44집,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28 주종원, "“서울시 도시형태 형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16권 제2호,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 1981

      29 이형구, "“한성백제 왕도 연구의 현황과 과제”", ‘쟁점백제사’ 집중토론 학술 회의Ⅲ, 한성백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2013

      30 최선주, "“풍납토성 내부지역의 장기보존방향”", 서울연구원, 서울도시연구 제2권 제2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31 소재윤, "“풍납토성 조사 현황과 신 자료 소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제66회 학술발표회 학술발표자료,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2

      32 이형구, "서울 풍납토성(백제 왕성) 실측조사연구", 백제문화개발연구원,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97

      33 이도학, "“백제한성시기의 도성제에 관한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한국상고사학보 제9호, 한국 상고사학회, 1992

      34 여호규, "“한성시기 백제의 도성제와 방어체계”",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백제연구 제36집, 충남대학 교 백제연구소, 2002

      35 서영일, "“아차산성 주변의 고대 성곽과 교통로”",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사총 제81집,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36 양승우, "“조선 후기 서울의 도시조직 유형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994

      37 서영일, "“한성 백제의 교통로 상실과 웅진천도”", 향토서울 제72호, 서울특 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38 서영일, "“한성 백제의 남한강수로 개척과 경영”", 한국문화사학회, 문화사학 제20호, 한국문 화사학회, 2003

      39 신희권, "“백제 한성도읍기 도성 방어 체계 연구”",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향토서울 제86호, 서울특 별시사편찬위원회, 2014

      40 신희권, "“한성백제도성의 형성과 발전과정연구”", 중국사회과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1 안정연, "”서울 종로2가 도시조직 변화과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 과 석사학위논문, 2008

      42 조준범, "도시건축제도와 서울 북촌 도시조직의 변화",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건축 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43 신희권, "“백제한성기 도성제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백제도성의 변천과 연 구상의 문제점, 제3회 문화재연구학술대회,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2

      44 이종욱, "“삼국사기에 나타난 초기 백제와 풍납토성”",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서강인문논총 제12집,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45 신종국, "“풍납토성 내,외부 백제문화층의 분포양상”", 풍납토성 500년 백제 왕도의 비젼과 과제, 풍납토성 발굴 10주년 기념 제16회 문화재연구 국제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46 김기섭, "〈백제 한성시기의 도성제 성립과 몽촌토성〉",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문화 제38집, 공주 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8

      47 강동석, "GIS 공간보간법을 이용한 도성유적의 지형 복원",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야외고고학, 제19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4

      48 이경찬(Lee, Kyung-Chan), "조선 후기 나주읍성의 도시형태 형성과정 해석",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 집 제31권 제10호, 대한건축학회, 2015

      49 남영우, "일제의 한반도 측량침략사 : 조선말~일제강점기", 법문사, 2011

      50 이형구, "“『삼국사기』 기록으로 본 한성백제의 도성”", 한국의 고고학 제9호, 주류성, 2008

      51 양승우, "“독일의 도시형태학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35(3), 대 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0

      52 양승우, "“서울 도심부 도시형태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53 이도학, "“백제 한성도읍기 도성제에 관한 몇 가지 검토”", 백제도성의 변천과 연구상의 문제점, 제3회 문화재연구학술대회,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2

      54 이형구, "“풍납토성 백제 왕궁유적 발견 20년을 맞으면서”", 백제왕도 풍납토 성 발굴 성과와 과제, 풍납토성 발굴 2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8쪽, 2017

      55 민현석, "“서울 사대문안의 역사적 도시조직의 변화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시설계학회 지, 제11권 제3호,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56 채미옥, "“국토개발과 발굴 문화재 보존의 갈등 해소 방안”", 국토 및 도시개 발과 매장문화재 보존의 갈등관리 방안, 2013 문화국토포럼,2013-1차 이코포럼 발표자료집, 국토연구원, (사)이코모스 한국위원회, 2013

      57 유주형, 이규목, "“유형형태학적 도시경관 연구방법의 시론적 고찰”",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 시설계학회지 제4권 제1호, 한국도시설계학회, 2001

      58 채미옥, "고도 보존을 위한 역사문화환경 관리 방안, 문화재청", 국토연구원, 2007

      59 손세관, 한기정, "“도시조직에 대한 형태학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 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5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1995

      60 안건혁, 진영효, "“서울 도심부의 역사적 도시형태 변화유형과 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도 시설계학회지 제10권 제1호,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61 양승우, 주종원, "“서울시 도심부 도시형태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1)”", 국토계 획 26(4),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1

      62 양승우, 주종원, "“서울시 도심부 도시형태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2)”", 국토계 획 27(3),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2

      63 양승우, "“조선후기 한성의 도시형태에 관한 형태학적 해석”", 연구논총 제23 권, 서울시립대학교 수도권 연구소, 1997

      64 진영효, "“서울 도심부의 역사적 도시형태 변화 유형과 특성”",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65 김기호, 심경미, "“시전행랑의 건설로 형성된 종로변 도시조직의 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한국 도시설계학회지 제10권 제4호,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66 조준범, "“목표 구시가지 도시조직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 회논문집 제21권 제10호, 대한건축학회, 2005

      67 정운영, "“흔적과 보존의 개념을 적용한 풍납토성 도시화 제안”",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8 이영섭, "“한성백제기 풍납토성 내 건물지의 건축특성에 관한연구”", 명지대학 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69 배진성, "옮김(요코야마 쇼자부로 지음), , “서울동교외의 사전유적”", 애지대학 문학논총 제5,6집, 1953

      70 이경찬, "“필지체계를 통해서 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서 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71 양승우, 이난경, "역사문화환경으로서 서울 풍납동 토성 일대의 도시형태 특성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서울학연구 제62호, 서울시립대학교 부설 서울학연구소, 2016

      72 신희권, "“풍납토성의 축조기법에 대한 이해 :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교류의 중심 백제, 한성백제박물관, 2012

      73 신희권, "“백제 한성시대 도성제도에 관한 일고찰 : 양궁성제도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향토서울 제76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0

      74 김진균, 최동혁, 이금진, "“역사환경으로서의 도시조직의 가치 : 서울 남촌지 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1호, 대한건축학회, 2005

      75 강인애, 이경찬, "“형태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선시대 고산현의 도시형태 변천 과정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2권 제4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76 신희권, "“중한 고대 축성방법 비교 연구-서산성지와 풍납토성의 비교를 중 심으로”", 호서고고학, 제18권, 호서고고학회, 2008

      77 이경찬, Huh, Joon, Lee, Kyung-Chan, 허준, "“군산의 근대도시발달과정과 도시조직의 변화 유형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한국조경학회, 한국조경학회지 제32권 제6호, 한국조경학회, 2005

      78 박순발, "“한성기 백제 도성의 문제 :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의 축조시기 비정 을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대 제19호, 한국고대학회, 2003

      79 길지혜, 황기원, 손용훈, "“역사적 도시환경의 보존형태 분석을 통한 유산적 가치 고찰-수원 화성을 중 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3권 제2호, 한 국전통조경학회, 2015

      80 강명수, 정봉거, 김기호, 강성원, "“역사환경으로서의 도시조직 변화연구-종 로구 익선동 도시환경정비구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학술발 표대회 논문집, 한국도시설계학회, 2006

      81 박소현, 진영효, 안건혁, "“도시계획규제가 도시형태 변화에 끼친 영향 분석- 서울 돈화문로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2권 제1호,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2007

      82 원선미, "“수원 화성경내의 도시조직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가로체계와 필지조직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83 남용협, 안창모, "“서울 명동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제1중앙토지구획정 리사업 충무로지구를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 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010

      84 이상구, "“우리나라 도시내 역사적 공간형성의 과정과 현실: 도시조직의 형성 과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도시문제 238, 대한지방행정공제회, 1986

      85 양승우, "“독일의 도시형태학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Ⅱ-독일 도시형태학의 침체기에서 분화기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8(3), 한국도시설계 학회, 2002

      86 백선영, "“부여지역 도로와 필지의 변화 : 백제 사비도성계획과 부여 토지구 획정리사업의 영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30권 제6호, 대한 건축학회, 2014

      87 손태진, 장병율, "“현대 도시공간에서 훼손된 토성의 건축화에 관한 연구-풍 납토성 ‘토성박물관’ 계획안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 대회논문집 제1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88 최봉문, 이경찬, "“역사지리정보를 활용한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형태학 적 연구-근대 심양의 도시성장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6 권 제12호, 한국콘텐츠학회, 2006

      89 홍창표, "“문화재의 복원과 도시개발의 중재를 위한 복합시설 계획안 : 풍납 토성과 천호역세권의 분쟁의 중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건축조경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5

      90 손세관, 한기정, 하재명, 양우현, "“가로체계 및 필지조직을 중심으로 한 서 울의 도시조직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서울의 청계천 이북지역을 중심으 로”", 국토계획 제31권 제3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