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우치전>의 奪財양상과 의미 = Aspect and literary history of seizing (taking assets) in Jeon Woo-chi Je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attention on the aspect of seizing among several incidents caused by Taoist magic from the protagonist Jeon Woo-chi in the classic novel Jeon Woo-chi Jeon. For this purpose, I first investigated the cause of the seizing through ...

      This study begins with attention on the aspect of seizing among several incidents caused by Taoist magic from the protagonist Jeon Woo-chi in the classic novel Jeon Woo-chi Jeon. For this purpose, I first investigated the cause of the seizing through the social appearance of the middle and late Chosun Dynasty, the background of the classic novel Jeon Woo-chi Jeon, the living space of the actual person Jeon Woo-chi. In Chosun, which was no different than ruins after Im Byung Yang Ran, the decrease in crop harvests led to a decrease in the amount of tax, causing a crisis in national finance. The ruling class s lack of discipline and corruption caused many social problems. They were busy fattening their stomachs by suffocating people who had a hard living and taking their wealth. In addi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market economy was induced, financially ruined noblemen increased and there were frequent stories of common people who were refused business raising their identity by receiving official proclamations. This led to a more serious collapse in the identity order, and in this process, taking assets was a crime and at the same time became a means for survival. Next, I analyzed Jeon Woo-chi Jeon and investigated the detailed appearance of seizing in this novel. Jeon Woo-chi, who had enormous power by eating Hojung(fox’s spirit) and using Taoist magic, was not excluded from the taking of wealth in several incidents which is striking. The process by which Jeon Woo-chi intoxicates the fox using Hojung and Chunseo is a kind of seizure, and taking the golden beam by deceiving the king or helping the poor using scrolls can be considered seizing Hojo s assets through Kojigi. Conversely, it is not seizing based on Jeon Woo-chi, but management appearance of seizing common people and the appearance of a thief which is a country problem also displays the aspect of seizing. Through this taking of assets, Jeon Woo-chi s appearance of resisting the ruling class or helping the lives of common people is shown.
      Finally, I investigated the meaning of seizing shown in Jeon Woo-chi Jeon. The artistic work aspect of Jeon Woo-chi Jeon is shown. I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composition of classical novels by the so-called illustrative editorial composition of accepting the odd narratives of the real figure Jun-Woo Chi and making them novels. The appearance of middle to late Chosun Dynasty society where the ruling class is shaken and the identity system is collapsed due to inducement of the market economy can be seen in the tale of the odd real character Jeon Woo-chi and according to need, is expanded and adapted into a novel. Here, the strong wishes of common people in those days is supplemented, giving birth to an entirely different hero appearance than those in existing hero novels. The protagonist Jeon Woo-chi Jeon is a different noble hero since birth who is not a perfect individual hero, he is a hero without absolute power who fights for common people s relief. His birth was normal, no different than any other person, but he obtained unique capabilities through Hojung and Chunseo, and consequently, this has led to the life of a friendly, but clumsy, hero. This is a work that more sharply shows social problems and more fervent wishes of the common people through the somewhat odd protagonist who is close to the common people and who the common people want, rather than realization of a perfect hero who has resistance consciousness over the ruling class or who provides relief to these weak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논문은고전소설<전우치전>에서주인공전우치가도술을부려일으키는여러사건 가운데 탈재의 양상에 주목하며 시작되었다. 이를위하여먼저실존인물전우치의삶의공간이자고전소설<...

      이논문은고전소설<전우치전>에서주인공전우치가도술을부려일으키는여러사건 가운데 탈재의 양상에 주목하며 시작되었다.
      이를위하여먼저실존인물전우치의삶의공간이자고전소설<전우치전>의배경인조선 중후기의 사회적 모습을 통해 탈재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임병양란이 지난 폐허와 다를 바 없는 조선은 작물 수확량 감소가 세량의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곧 국가 재정의 위기를 초래했다. 지배계층의 기강 해이와 부정부패로 인한 많은 사회문제가 야기된다. 이들은 살기 어려운 민중을 더욱 옥죄어 그들의 것을 탈취하여 자신들의 배를 불리는 것에 급급하다. 또한 조선후기에는 시장경제가유입되며 몰락한 양반이 많아지고상업으로거부가된평민이공명첩을받아신분상승을하는예가빈번해진다. 이는더욱심각한신분 질서의 붕괴를 야기했고, 이 과정에서 재산의 탈취는 곧 범죄이며 동시에 살아남기 위한 방편으로 나타나게 된다. 다음으로 <전우치전>을 분석하여 작품 속에 드러난 구체적 탈재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위하여서사의단락을구분하고, 탈재의양상이드러나는삽화를중심으로탈재의주체와탈재대상을통해작품을분석하였다. <전우치전>에나타난탈재의주체는거의대부분 전우치 자신이었으나, 사건에 따라관리가서민을, 도적무리가 민간을 대상으로 탈재하는 경우도 있다. 탈재의 양상을 탈재의목적에 따라 개인의 욕망 실현, 민간의 삶 구제, 지배계층에 대한 저항으로 나누어 살폈다. 호정을 먹고 도술을 부리게 되어 막강한 힘을 지닌전우치가벌이는여러사건안에는탈재와무관하지않은모습이두드러진다. 전우치가 여우에게서호정과천서를취하는과정역시일종의탈취이고, 왕을속여황금대들보를수탈하거나, 가난한 이를 족자를 통해 돕는데 이것도 알고 보면 호조의 자산을 고직이를 통해탈취한것으로볼수 있다. 반대로전우치에의한탈재는아니지만 서민을탈취하는 관리의 모습, 나라의 문제가 되는 도적떼의 모습 등도 탈재의 양상을 띤다 하겠다. 끝으로 <전우치전>에 나타난탈재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전우치전>은 그 작품화 양상이 남다르다. 실존인물 전우치의 기이한 설화를 받아들여 소설화하는데, 이른바 삽화 편집적 구성이라고 하여 고전소설의 일반적 구성 방식과 상이하다. 지배체제가 흔들리고 시장경제의 유입으로 신분제도가 붕괴된 조선 중후기의 사회의 모습이 기인이었던 실존인물 전우치의 설화 속 여러 이야기와 만나 필요에 따라 확장과 각색이 이루어져 소설화 되었다. 이때 도술, 변신, 속이기 등의 모티프가 다양하게 활용되어 민중의 삶을 더욱 곤궁하게 하는 대상들을 향한 징계가 전우치라는 인물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당대 민중들의 염원이 보태어져 기존의 영웅소설과는 전혀 다른 모습의 영웅이 탄생한다. 이 시기는 중세의 봉건질서가 붕괴되고 근대의 자본주의가 맹아한 때로 이러한 사회와 경제적 양상이 작품에 녹아든다. 봉건 사회의 기틀이 되는 수직적 상하관계의 엄격한 계급이 조금씩 무뎌지며, 자본이 곧 계급이고 때로는 상하관계의 역전을 일으키는 큰 힘이 되는 양상을 포착하고 있는 것이다. 계급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관심사였던 축재를 위한 탈재는 단연 사회의 문제가 되었다. 개인의 영욕을 위해서 때로는 사회로 재화를 환원하고자 탈재가 일어나는데, 그 양상이 <전우치전>을 통해 고스란히 드러난다. 지배계층에 대한 저항의식이나 힘없는 이들의 구제가 완벽한 영웅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민중이 원하는, 민중과 가까운 다소 기이한 주인공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사회문제를 더욱 날카롭게 보여주고 민중의 염원이 보다 절실하게 담긴 작품이라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탈재의 배경
      • 3. <전우치전>에 드러난 탈재의 양상
      • 4. 탈재의 문학사적 의미
      • 5. 결론
      • 1. 서론
      • 2. 탈재의 배경
      • 3. <전우치전>에 드러난 탈재의 양상
      • 4. 탈재의 문학사적 의미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양, "홍길동전․전우치전" 문학동네 2010

      2 송효섭, "한국문학과 기호학" 문학과비평사 85-105, 1988

      3 신원선, "한국고전소설의 영상콘텐츠화 성공방안 연구 -영화 <전우치>와 <방자전>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46) : 365-402, 2010

      4 김일렬, "한국고전문학전집 2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5 최삼룡, "한국고소설의 조명" 한국고소설연구회 221-256, 1990

      6 원유한, "조선후기 사회경제사연구 입문" 민족문화사 1991

      7 具奉連, "전우치전 연구" 慶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8 閔瑾洪, "전우치전 연구"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9 정환국, "전우치(田禹治) 전승의 굴절과 반향" 민족문학사학회 (41) : 213-239, 2009

      10 조혜란, "민중적 환상성의 한 유형-일사본 <전우치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15) : 3-82, 2003

      1 김현양, "홍길동전․전우치전" 문학동네 2010

      2 송효섭, "한국문학과 기호학" 문학과비평사 85-105, 1988

      3 신원선, "한국고전소설의 영상콘텐츠화 성공방안 연구 -영화 <전우치>와 <방자전>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46) : 365-402, 2010

      4 김일렬, "한국고전문학전집 2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5 최삼룡, "한국고소설의 조명" 한국고소설연구회 221-256, 1990

      6 원유한, "조선후기 사회경제사연구 입문" 민족문화사 1991

      7 具奉連, "전우치전 연구" 慶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8 閔瑾洪, "전우치전 연구"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9 정환국, "전우치(田禹治) 전승의 굴절과 반향" 민족문학사학회 (41) : 213-239, 2009

      10 조혜란, "민중적 환상성의 한 유형-일사본 <전우치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15) : 3-82, 2003

      11 조동일, "문학과 정치" 민음사 1984

      12 이민희, "다시 보는 고소설사" 보고사 2010

      13 송주희, "고전소설에 나타난 속이기의 서사기법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14 최삼룡, "고전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집문당 1994

      15 안기수, "고소설 <전우치전>의 게임화 방안 연구" 중앙어문학회 67 : 67-96, 2016

      16 白承烈, "田禹治傳 硏究" 경북대학교 대학원 1986

      17 李格周, "田禹治傳 硏究"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18 方大秀, "田禹治傳 異本群의 작품구조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19 尹在根, "田禹治 傳說과 『田禹治傳』"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2

      20 兪祺暎, "洪吉童傳과 田禹治傳의 比較 硏究"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6

      21 柳年錫, "『田禹治傳』의 思想에 關한 硏究" 조선대학교 대학원 1983

      22 엄택순, "「전우치전」 연구 :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市立大學校 大學院 1993

      23 邊宇福, "《전우치전》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24 김일렬, "<홍길동전>과 <전우치전>의 비교 고찰" 한국어문학회 30 : 53-68, 1974

      25 이현국, "<전우치전>의 형성과정과 이본간의 변모양상" 문학과 언어 연구회 7 : 143-162, 1986

      26 오세정, "<전우치전>의 현대적 다시쓰기와 그 의미 - 아동용 출판물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39 (39): 115-139, 2012

      27 설중환, "<전우치전>의 한사상적 연구" 어문연구학회 55 : 319-348, 2007

      28 문범두, "<전우치전>의 이본 연구" 영남어문학회 18 : 227-256, 1990

      29 최지선, "<전우치전>의 욕망 구현 방식과 서사적 의미 - 신문관본 <전우치전>을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회 28 : 227-259, 2015

      30 최광석, "<전우치전>의 설화 수용과 지평 전환" 국어교육연구회 28 : 1-26, 1996

      31 서혜은, "<전우치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한국어문학회 (115) : 195-224, 2012

      32 최윤희, "<전우치전>의 구성과 의미에 대한 재고찰" 우리문학회 (48) : 163-185, 2015

      33 박일용, "<전우치전>과 전우치 설화" 국어국문학회 92 : 37-60, 1984

      34 서유경, "<전우치전> 읽기의 문화적 확장 탐색-<전우치전>과 <브루스 올마이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0) : 201-231, 2008

      35 임철호, "<전우치전> 연구 2"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1 : 1978

      36 임철호, "<전우치전> 연구 1"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9․10 : 1977

      37 조도현, "<田禹治>서사의 현대적 변이와 유통방식 -영화 <전우치>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74) : 371-39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