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세기 전기소설에 나타난 남녀 관계의 변모 양상 -<위생전>,<주생전>의 남녀주인공을 중심으로- = The transformation aspects of the man and woman`s relationship in 17C`s Cheongi-soseol(傳奇小說)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6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l7C`s Korean classical novel `Cheongi-soseol(傳奇小說)`, centering around <Jusaeng-jeon(周生傳)> & <Uisaeng-jeon(韋生傳)>, and seek for the reason fr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l7C`s Korean classical novel `Cheongi-soseol(傳奇小說)`, centering around <Jusaeng-jeon(周生傳)> & <Uisaeng-jeon(韋生傳)>, and seek for the reason from the 17C`s society. Former times, a hero in the `Cheongi-soseol(傳奇小說)`, was poor(a person of low position) but nevertheless wanted to success in life with love. But in 17C a hero in the `Cheongi-soseol(傳奇小說)` preferred loving to success in life. And former times, a heroine in the `Cheongi-soseol(傳奇小說)` was noble(a person of high position) and lovable. But in 17C` `Cheongi-soseol(傳奇小說), a gisaeng appeared a heroine. The other side, the transformations of the 17C`s `Cheongi-soseol(傳奇小說)`, concern the transformations of after 17C`s society which is th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a gisaeng and social differentiation of a noble man in Korea(양반). In a word, the 17C`s `Cheongi-soseol(傳奇小說)` reflected the 17C`s society. And on the basis of this situation, the 17C`s `Cheongi-soseol(傳奇小說)` acculturated the mode of traditional formula of the `Cheongi-soseol(傳奇小說)`. This is the meaning of the l7C`s `Cheongi-soseol(傳奇小說)`.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선규, "화사ㆍ주생전ㆍ서대주전" 통문관 1961

      2 조광국, "한국문화와 기녀" 월인 2004

      3 김일근, "주생전ㆍ위경천전 언해의 연철본 <쥬□뎐ㆍ위□뎐> 출현에 따른 서지적 문제" 겨레어문학회 25 : 2000

      4 정지영, "조선후기의 첩과 가족질서" 2004

      5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6 이정임, "조선시대 양반의 축첩현상과 경제적 부담" 고문서학회 33 : 2008

      7 장효현, "전기소설의 장르 개념과 장르사의 문제 in: 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8 임형택, "전기소설의 연애주제와 <위경천전>"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2 : 1992

      9 김준형, "이명선전집(전4권)" 보고사 2007

      10 정명기, "위생전(<위경천전>)교감의 문제점" 한국고소설학회 22 : 2006

      1 문선규, "화사ㆍ주생전ㆍ서대주전" 통문관 1961

      2 조광국, "한국문화와 기녀" 월인 2004

      3 김일근, "주생전ㆍ위경천전 언해의 연철본 <쥬□뎐ㆍ위□뎐> 출현에 따른 서지적 문제" 겨레어문학회 25 : 2000

      4 정지영, "조선후기의 첩과 가족질서" 2004

      5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6 이정임, "조선시대 양반의 축첩현상과 경제적 부담" 고문서학회 33 : 2008

      7 장효현, "전기소설의 장르 개념과 장르사의 문제 in: 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2

      8 임형택, "전기소설의 연애주제와 <위경천전>"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2 : 1992

      9 김준형, "이명선전집(전4권)" 보고사 2007

      10 정명기, "위생전(<위경천전>)교감의 문제점" 한국고소설학회 22 : 2006

      11 간호윤, "새로 발굴한 쥬뎐 위뎐의 자료와 해석" 박이정 2008

      12 조광국, "기녀담 기녀등장소설 연구" 월인 2002

      13 김시습, "금오신화" 을유문화사 1994

      14 장효현, "교감본 한국한문소설-전기소설" 보고사 2007

      15 간호윤, "閒汨董 所載 <韋生傳> 硏究"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14): 299-332, 2007

      16 윤승준, "醉鄕과 現實逸脫의 꿈 - <周生傳>의 문학적 감염장치 -" 동양학연구원 (31) : 103-124, 2001

      17 이명선, "朝鮮文學史" 朝鮮文學史 1948

      18 간호윤, "『국역본 <쥬생뎐>·<위생뎐>』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5 (15): 355-388, 2008

      19 정지영, "‘논개와 계월향의 죽음을 다시 기억하기:조선시대‘의기(義妓)의 탄생과 배제된 기억들I.머리말" 한국여성학회 23 (23): 155-187, 2007

      20 Alastair Fowler, "he Life and Death of Literary Forms, in: New Directions in Literary History" Routledge & Kegan Paul 1974

      21 여세주, "<주생전>의 서사구조와 성모랄" 영남어문학회 25 : 1994

      22 지연숙, "<주생전>의 배도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28 : 2005

      23 정병호, "<주생전>과 <위경천전>의 비교 고찰" 한국고소설학회 6 : 1998

      24 조광국, "<주생전>과 16세기 말 소외양반의 의식 변화와 기녀의 자의식 표출의 시대적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8 : 1999

      25 신재홍, "<주생전> 연구사" 고소설연구사 2002

      26 정민, "<위경천전>의 낭만적 비극성"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24 : 1994

      27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2003

      28 권도경, "17세기 애정류 전기소설에 나타난 정절관념의 강화와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 :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1.0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