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 향약의 정치적 이념과 도덕 공동체 의식 강화 = A Study on the Political Ideas and Enforcement of Moral Community Consciousness the Hyang-Yak in the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380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olitical ideas and enforcement of moral community consciousness of Hyang-Yak(鄕約) in the Chosun(朝鮮) dynasty. If we spoke the philosophy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性理學) is bone, Hya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olitical ideas and enforcement of moral community consciousness of Hyang-Yak(鄕約) in the Chosun(朝鮮) dynasty. If we spoke the philosophy of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性理學) is bone, Hyang-Yak would be flesh. Hyang-Yak is self-control rules of community. However, Hyang-Yak had become method of control people of Yangban(兩班)'s hometown as political ideology and reconfirm of social position and status order through the Chosun dynasty.
      Hyang-Yak in the Chosun dynasty was composed of the four main points indispensable to community life. As it were, the four main points are Duk-Up-Sang-Gwun(德業相勸), Gwa-Sil-Sang-Gyu(過失相規), Ye-Sok-Sang-Gyo(禮俗相交), Whan-Nan-Sang-Hyul(患難相恤).
      The first, Duk-Up-Sang-Gwun emphasized the need of human nature education, love between the family members, community of good customs, normalization of national ethics and morals. The second, Gwa-Sil-Sang- Gyu accentuated the need of common regulation about their community's rules. The third, Ye-Sok-Sang-Gyo stressed the need of etiquette and good manners and collaborations for interrelationship. The fourth, Whan-Nan- Sang-Hyul(患難相恤) made point of interdependence (mutual help-相扶相助) for afflictions, calamities, disasters, fatalities, accidents, misfortunes, mishaps, misadventures,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조선시대의 향약은 성리학의 실천적 모습 중의 하나로 채택되고 활용되어 향촌의 향풍순화에 많이 활용되었다. 다시 말해서, 향약은 전근대사회였던 조선시대 사회에서 신분질서의 계...

      우리 조선시대의 향약은 성리학의 실천적 모습 중의 하나로 채택되고 활용되어 향촌의 향풍순화에 많이 활용되었다. 다시 말해서, 향약은 전근대사회였던 조선시대 사회에서 신분질서의 계속적인 재확립과 성리학적 질서를 위한 정치적 지배 이념으로서 토착 재지사족들에 의해 향민지배의 주요한 방법으로 선택되고 십분 활용되었다. 이러한 향촌 자치 규약의 4대 주요 강목은 촌락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가는 데 주로 필요한 여러 가지 권선징악적인 요소들을 잘 포함하고 있다. 그중에서 으뜸가는 덕업상권은 도덕교육과 인성교육의 중요성, 훌륭한 가풍과 아주 화목한 가정, 그리고 화민성속을 이룩한 지역사회, 또 민족과 국가윤리의 생활화 등을 강조하였으며, 다음으로 과실상규는 향촌 공동체를 위하여 공동규계의 필요성과 공동체의 기본정신을 함양시키고자 크게 노력하였다. 그리고 또 예속상교는 가치규범이 잘 확립된 바람직한 사회를 제시하고 실천윤리의 형식인 예의와 습속을 통해서 이것을 생활화하게 하였다. 한편, 계적 요소가 가미되기도 한 환난상휼은 상부상조하는 협동정신이 조직체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참여의식을 고양하며 주인의식을 심어준다는 특징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4대 덕목들은 사회공동체 속에서 살아가는 사회구성원들의 전체적인 일상생활과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황금만능의 물질주의와 지나친 개인주의에 물들어가는 정보화 사회의 현대인들에게 아주 중요한 것들을 시사해주고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