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實學' 서술 검토 : 주자학 ‘경장(更張)’으로서의 실학 서술 논의 = The 'Silhak' descriptive review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59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이후 현재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사 학습은 5학년 사회 교과를 통해 1년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교과서와 보조교과서에 서술된 조선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이후 현재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사 학습은 5학년 사회 교과를 통해 1년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사회 교과서와 보조교과서에 서술된 조선 후기의 실학 서술 내용을 재검토하는데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서술되었던 실학 내용과 비교하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실학을 보다 유연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실학을 강조하기 위해 조선 유학(이하 주자학)을 봉건적이고 공리공담만을 일삼았던 그릇된 학문으로 인식하게 하는 경향이 남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로 실학을 공부하는 초등학생들이 실학과 주자학을 ‘좋은 편’과 ‘나쁜 편’으로 ‘편 가르기’를 하여 이해하는 일이 없도록 실학이 서술되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교과서에 주자학 경장으로서 실학이 서술되어야 주자학을 그릇된 학문으로 배척하거나, 조선의 역사를 공리공론과 입신양명에만 관심이 있었던 양반의 역사로 오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조선과 우리의 역사를 올바르게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주자학 경장으로서 실학을 논의하기에 앞서 기왕의 실학 연구 동향을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동향은 기존 주자학을 비현실적이고 공리공론만을 일삼았다고 비판하면서 새롭게 탄생한 학풍으로서 실학을 보는 입장이다. 조선 후기 백성들의 피폐한 삶을 극복하기 위해 청나라에서 새로운 과학 기술과 문화를 도입하고자 했던 실학은 근대적이고 민족적인 학풍으로 보는 반면, 주자학은 낡은 사고방식에 사로잡힌 봉건적 학문으로 보는 견해이다. 실학과 주자학을 구분하여 서로 대립되는 학풍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일제 강점기 식민사학에 대항하기 위한 민족주의 역사학자들의 역사 연구와 관련이 있다. 일본은 조선 통치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하기 위해 조선의 주자학을 연구했다. 조선 주자학의 정체성(正體性)을 부정하고, 조선의 종속성, 고착성, 분열성을 드러내고자 했던 것이다. 이에 민족주의 역사학자들은 일본의 주자학 연구에 대응하고 우리 민족의 우수성과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실학을 연구하게 된다. 실학을 강조하여 일본 식민사학자들의 논리에 대응하고,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일깨워 민족을 하나로 통합하고자 했던 것이다.
      다른 하나의 실학 연구 동향은 실학정신이 농․공․상의 변화와 발전, 근대적 과학 기술 도입의 근간이 되었던 정신이지만, 주자학의 토대 위에서 주자학 경장(更張)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학풍으로 인식하는 입장이다. 최근에 들어 실학 연구의 범위가 확장되었다. 조선 후기의 많은 실학자로 연구가 확장되면서 조선 후기 실학의 성과로 볼 때 실학과 주자학을 분리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연속선상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이들은 실학을 주자학과 분리된 학문이 아니라, 주자학에서 분화한 학문으로서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실학 연구 동향에 동의하며, 그동안의 교과서 실학 서술이 주자학의 단점을 부각시켜 실학을 정의하려 했던 입장이었음을 밝히고, 이러한 서술 방식에서 벗어나, 주자학 경장으로서 실학이 교과서에 서술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기존의 교과서는 실학을 강조하기 위해 조선의 주자학자들은 예법 논쟁과 공리공담만을 일삼았다고 서술하여 왔다. 이러한 교과서의 실학 서술은 조선의 주자학 자체를 왜곡하게 만들 수 있으며, 왜곡된 주자학에 대한 인식은 조선 역사 전체를 ‘좋지 않은 역사’로 인식하게 만들 수 있다. 조선 시대를 부정하는 것은 한국 역사의 단절을 의미하기에 교과서의 실학 서술 방식은 보다 신중하여야 한다. 조선 후기 주자학의 능동적 경장 노력과 과정으로 실학이 서술되어야 이러한 주자학과 실학에 대한 왜곡된 역사 인식을 바로 잡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history studies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has been one year in society textbook of fifth grade from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ilhak descrip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listed in auxiliar...

      Korean history studies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has been one year in society textbook of fifth grade from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ilhak descrip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listed in auxiliary textbook and society textbook of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In comparison with the content of the Silhak as described in the 7th curriculum,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has said more flexibility in the Silhak.
      However, in order to emphasize the Silhak still, the Chosun Confucianism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o-Confucianism), tend to be academic and the wrong that was just idle talk while being feudal. Therefore, in this study, to try to claim that the Silhak is described as never "better" or "worse"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tudy the Silhak in the textbook and make sense of a separate Neo-Confucianism and the Silhak.
      This is because the underlying order to properly recognize our history and Chosun, and Neo-Confucianism. There is a need to write a practical science as Neo-Confucianism renovation in the textbook.

      Before discussing the Silhak as Neo-Confucianism renovat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trend of the Silhak study of history. When organizing two major research trends so far, it is as follows.
      The trend of one, criticized Neo-Confucianism of existing waste fully unrealistic, the Silhak is to see in the new academic tradition was born. The Silhak in order to overcome the life weary of the people of the Late Chosun Dynasty, tried to introduce a new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Chung Dynasty, seen in academic culture ethnic modern, whereas Neo-Confucianism is a tendency to look at academic feudal trapped in the old mindset. The study of this trend is defined by the academic culture opposed to each other by separating the Silhak and the Neo-Confucianism. The trend like this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study of historian nationalistic to counter the colonial history at the time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Japan studied the Neo-Confucianism in order to justify the Korean government ideology. Japan denied the identity of Korean Neo-Confucianism, and to clarify the dependency of Chosun, fixing property, fissile. As a way to correspond to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in Japan, to ensure the identity and excellence of ethnicity, which nationalist historians study the Silhak.
      Emphasizing the practical science, in response to the logic of colonial historians of Japan, to bring home to the excellence of the nation, we've all tried to unify the nation.

      The trend of two, the Silhak became the basis of the introduction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changes and developments of agriculture, industry, commercial practical science, but it is a position on the foundation of Neo-Confucianism, to recognize the academic culture made ​​of the efforts of Neo-Confucianism renovation. It is in a position to study the performance of various real scholars. The range of the Silhak research is extended, claiming the cooperation of the Silhak and Neo-Confucianism.
      They argue that rather than the Silhak research has been separated from the Neo-Confucianism, it is understood academically differentiated from Neo-Confucianism

      In this study, it is demonstrated that it was in a position to agree to the trend of the Silhak research until recently, and the description highlights the shortcomings of Neo-Confucianism in the textbook. So far it was trying to define the Silhak, to claim that there is a need to escape from that system, the Silhak is described in textbooks as Neo-Confucianism renovation. Existing textbooks said Neo-Confucianism is that it has just idle talk and discussion of rules of decorum in order to emphasize the Silhak. However the Silhak description in such textbooks can be made to distort the Neo-Confucianism in Korea itself.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Neo-Confucianism distorted can be recognized as a malfunction in the entire history of Korea. As to deny the Chosun era means a break in the history of Korea, the Silhak writing of the textbook is more cautious, and must describe the efforts of Neo-Confucianism.
      For this reason, we must state that the Silhak in textbook has developed the count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commerce, science and as the self-effort voluntary Neo-Confucianism renovation, taking a proactive approach to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ultural relics and situa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 situation at that time er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5
      • Ⅱ.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실학 서술 검토------------ 8
      • 1. 7차 교육과정의 실학 서술 ------------------------ 9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5
      • Ⅱ.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실학 서술 검토------------ 8
      • 1. 7차 교육과정의 실학 서술 ------------------------ 9
      • 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실학 서술--------------- 14
      • 3. 교과서 실학 서술에 반영된 기왕의 실학 연구 성과- 23
      • Ⅲ. 주자학 경장으로서의 실학-------------------------- 29
      • 1. ‘북학파’의 실학사상 ----------------------------- 31
      • 2. ‘남인실학파’의 실학사상------------------------- 44
      • 3. ‘정조’의 실학 수용 태도-------------------------- 48
      • Ⅳ. 교과서 실학 서술 방안 제언------------------------ 53
      • 1. ‘대립’이 아닌 ‘경장’으로서의 실학 서술------------ 53
      • 2. 주자학의 능동적인 변화 과정 강조---------------- 55
      • Ⅴ. 결론-------------------------------------------- 57
      • 참고문헌-------------------------------------------- 61
      • ABSTRACT----------------------------------------- 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