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민화를 활용한 초·중·고등학교 창의적 체험 프로그램 연구 = The study of how to teach korean folk paintings in creative education : Focused on the creativ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21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민화는 기원이 언제인지 정확히 알려있지는 않으나 조선 이후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실생활에서 세화(歲畵)의 역할을 하면서 많이 사용되었다. 민화는 조선 후기 서...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민화는 기원이 언제인지 정확히 알려있지는 않으나 조선 이후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실생활에서 세화(歲畵)의 역할을 하면서 많이 사용되었다. 민화는 조선 후기 서민층에서부터 양반들의 집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고, 누구나 자유롭게 그릴 수 있는 그림이었으며 실용적으로 활용된 그림이다. 특히 민화는 각 도상의 상징적 의미를 담아 길상과 소재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예를 들어 모란이 그려진 ‘모란도’는 부귀, ‘십장생도’는 건강, 꽃과 새가 있는 ‘화조도’는 가족의 사랑과 행복 등을 기원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민화는 장식화의 역할 이외의도 소망과 바람이 담긴 것이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실제로 활용되는 예보다는 박물관에서 혹은 초·중·고등학교 교과 과정에서만 볼 수 있는 그림이 되어 그 기능이나 의미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통 민화를 활용하여 교육설계를 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통문화 교육 중 민화의 가치와 내용을 올바르게 알기 위해서는 교과 과정에서 민화에 대한 다양한 교육이 중요하다. 교육부에서 제시한 제 7차 교육과정은 이론학습과 함께 체험수업시간의 증가를 요구하고 있어 이에 맞춰 이후 민화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교육 연구가 발표됐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교육설계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사용된 사례를 좀처럼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대하여 민화교육설계가 현장에서 활용되지 못했던 문제점은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2014년까지의 발표된 선행연구자들의 교육연구방법은 모두 단발적인 교육실험으로서 연구수업의 기간이 3회 미만의 수업을 바탕으로 교육설계논문을 발표하였고, 이후 실행 결과에 대한 평균적인 데이터 분석이 없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교 두 학급 미만, 약 40명 이하의 학생들에게 단발적인 교육실험의 연구결과만 발표되었다. 이처럼 단발적인 교육실험은 결과적으로 민화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인 분석이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결국 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기 어려웠던 것이다.
      학교 교육에서 사용될 수 있는 민화 교육설계는 지속적인 교육실험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현장교육에 적용하고, 단발적인 교육이 아닌 지속가능한 민화 교육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후발 연구자들은 선행연구자들이 입증한 전문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활용 가능한 민화교육콘텐츠의 개발을 해야 한다.
      둘째, 이들 선행연구에서는 실제 교육현장의 진입방법에 관련한 논의가 없었다. 교육설계가 아무리 좋아도 현장에서 사용될 수 없다면 무의미하고 생각한다. 하지만 민화교육의 활용이라는 주제를 정하여 교육방법만을 제시했을 뿐 현 교육제도 속에서 지속가능한 민화교육의 진입을 위한 연구한 결과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앞서 선행연구자들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약 5년간 본 연구자와 경희대학교 팀과 공동으로 시행한 교육현장에서 민화 교육을 통한 전통문화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민화교육의 현장 활용 연구를 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not known when Minwha (the Korean folk art) was first developed, but was developed into its present form in the seventeenth century to possess beneficial virtues and to protect the owner and his family from evil forces. In late Chosun dynasty, M...

      It is not known when Minwha (the Korean folk art) was first developed, but was developed into its present form in the seventeenth century to possess beneficial virtues and to protect the owner and his family from evil forces. In late Chosun dynasty, Minwha was frequently seen in the houses of both common people and nobles. Minwha art was something that anyone can freely draw and use in practice. Minwha was responsible for symbolizing beneficial virtues by reflecting symbolic meaning of subject matters. For example, ‘Morando’ which contains a drawing of Paeonia suffruticosa, symbolizes wealth, rich and honor, ‘Hwajodo’ which contains a drawing of bird and flower, symbolizes wishing of love and happiness of family. Minwha was not only used for a decoration purpose, but was also used to reflect wishes and desires.
      However, in this modern society, people hav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features and purposes of Minwha because it is only displayed in museums and is used in schools for education purposes. This dissertation will make a recommendation on future directions of an education curriculum using traditional Minwha.
      The scope of this dissertation is based on the results of anlaysis for the period of 4 years of Minwha teaching curriculum from the years 2009 through 2014.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statistics and survey results, G Tep (a team from Kyunghee University) with a support from Yeongdeungpo-gu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of Korea, analyzed Minwha Factory’s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abovementioned 4 years and identified more efficient ways of approaching Minwha education.
      Section 2 will analyze the changes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will review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culture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on teachers and students on necessity of the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Furthermore, Section 2 will analyze the possibility of conducting Minwha teaching under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Section 3 will discuss Minwha education in the categories of “Creative Job Experience Program”, “Personality Program”, and “Special Program using Minwha”. Such a curriculum was taught to students in various levels of students in prim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s for more than 500 times.
      Section 4 will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s and institutions and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Minwha education curriculum. Section 4 will further seek to identify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curriculum using Minwha and elaborate the importance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선행연구 분석 = 2
      • 3 연구방법 및 범위 = 6
      • Ⅱ 기존 민화교육 현황 = 8
      • Ⅰ 머리말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선행연구 분석 = 2
      • 3 연구방법 및 범위 = 6
      • Ⅱ 기존 민화교육 현황 = 8
      • 1 제 7차 교육과정과 전통미술교육의 변화 = 8
      • 2 민화교육의 인식과 수요현황 = 10
      • (1) 전통교육 인식 = 10
      • (2) 전통문화 교육과 민화교육 수요의 필요성 = 11
      • (3) 청소년 민화교육의 현황 = 12
      • 1) 청소년 수련관 = 13
      • 2) 박물관 및 백화점 문화센터 = 14
      • Ⅲ 민화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적용 = 15
      • 1 민화를 활용한 창의적 직업체험 프로그램 = 15
      • (1) 민화를 활용한 창의적 직업체험 프로그램 = 15
      • (2) 수업 진행방법 = 18
      • (3) 민화를 활용한 직업 체험의 기대효과 = 22
      • 2 민화를 활용한 인성프로그램 = 23
      • (1) 수업진행 = 32
      • (2) 민화를 활용한 인성교육의 기대효과 = 33
      • 3 민화를 활용한 특수교육프로그램 = 34
      • (1) 수업진행방법 = 34
      • (2) 민화를 활용한 특수 교육의 기대효과 = 37
      • Ⅴ 민화교육콘텐츠 결과분석 = 38
      • 1 민화교육 수업의 결과 = 38
      • (1) 진행 과정 = 38
      • (2) 인터뷰 답변 분석 = 39
      • 2 기존의 민화교육프로그램과 비교 = 40
      • (1) 영월조선민화 박물관 민화교육 비교 = 41
      • (2) 가회 민화아카데미 민화교육 비교 = 41
      • 3 민화를 활용한 창의적 교육활동의 의의 = 42
      • 4 새로운 민화교육프로그램 개발 예시 = 44
      • Ⅵ 맺음말 = 46
      • [참고문헌] = 49
      • [표] = 54
      • [설문조사 양식] = 55
      • [부록] = 67
      • [ABSTRACT] =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