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Fashion leader로서의 妓生服飾 : 朝鮮後記 妓生服飾의 美的特性과 價値를 中心으로 = A study on Gisaeng's Dress as fashon leader-focused on aesthetic value of the Late Chose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224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글초록 : 본 연구는 조선시대 후기 기생을 전문직 종사자와 패션의 리더라는 현대적 시각에 맞추어 조선후기 전반적 유행을 선도한 기생이 패션리더로서의 유행선도배경과 무엇을 중심으...

      한글초록 : 본 연구는 조선시대 후기 기생을 전문직 종사자와 패션의 리더라는 현대적 시각에 맞추어 조선후기 전반적 유행을 선도한 기생이 패션리더로서의 유행선도배경과 무엇을 중심으로 유행을 리드하였는지 밝히고 풍속화와 문헌자료를 통해 고찰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조선후기 기생복식의 미적가치와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이르러 대중문화의 코드로 떠오르고 있는 기생을 패션의 리더라는 점에서 고찰하고 조선 후기 일반 부녀자들의 기생의 복식을 모방한 하향동조현상을 보이게 한 기생복식에서 추출한 미적가치와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세계로 확대되고 있는 한류열풍과 더불어 패션계에서도 세계적 유행을 창출할 수 있는 한국적 패션디자인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대 후기로 제한하였으며 풍속화가 크게 유행하였던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을 거쳐 고종의 집권기간 중 1900년 이전까지의 풍속화를 참고하였다. 2장에서의 연구방법은 문헌자료와 풍속화 중 기생과 일반 부녀자의 복식형태를 분류·고찰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추출하는 비교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면 기생의 조선후기복식의 유행을 선도할 수 있었던 배경은 당시 시대적 배경과 깊은 관련이 있었는데, 첫째로 조선 후기의 경제생활의 향상으로 유한계급이 늘어났기 때문이었으며. 둘째로 실학사상에 의한 개방적 사회분위기는 당시 기녀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하후상박의 복식형태를 상류층 여자들이 모방하는 유행의 상향전파를 가져왔다. 기생은 엄격한 유교관과 경제적인 원인으로 인해 자유가 제한되면서 검소한 복식착장이 요구되었던 일반 여성에 비해 사회적 제약을 덜 받아 사치스러운 복식이 허용되었으며 유교사상이 지배한 사회에서 공식적인 사회활동을 하며 사대부 남성들과의 접근이 허용되면서 일반부녀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관심은 양반가 부녀자들에게 있어서 기생복식을 모방하려는 상향전파, 즉 하향동조현상을 보였으며 경제적 부를 축척한 일반 부녀자들에게는 신분은폐를 목적으로 기생들의 사치한 복식의 모방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극도로 단소화된 저고리와 장대화된 풍성한 치마, 사치스러운 가체와 장신구, 화장술 등을 중심으로 일반 부녀자들 사이에서 기생복식의 모방경향이 심하였다. 사대부 남성들 스스로가 자신의 처첩에게 기생의 복식을 모방하도록 권장한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후기에는 기생이 그 시대 여성복식의 전반적 유행을 리드했다고 볼 수 있다. 3장에서는 한국 복식의 미에 대한 선행 연구와 한국 복식의 미적 특징 중 외적인 형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과 2장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기생복식의 미적가치를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조선후기의 유행을 리드한 기생 복식의 미적특성을 세분화한 결과, 단순히 화려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미적 가치가 포함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생복식의 미적특성은 크게 내형성과 외형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기생복식에서 표현되는 내형적인 미적 가치는 축소와 확대라는 원리를 중심으로 은폐·노출미 , 골계·해학미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축소와 확대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미적특성은 하후상박(下厚上薄)의 실루엣에서 단소화된 저고리와 풍성한 치마에서 표현되어 극적인 대비효과를 이루었다. 첫째, 은폐·노출미는 가리기 위한 목적 보다 얼굴을 의도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착용하는 내외용 쓰개와 저고리의 극단소화로 인한 가슴의 노출을 은폐하기 위하여 가리개용 허리띠가 생겨난 것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둘째, 골계·해학미는 저고리가 극단적으로 짧아지고 풍성한 치마를 착장에 의하여 더욱 부풀려서 여성의 인체를 왜곡시켜 표현하고 속옷인 단속곳을 노출하도록 입어 외의화한 것과 상·하 비균형적인 거대한 얹은 머리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치마 부분에서 급격한 부피감의 변화로 인하여 생기는 새로운 형태를 즐겼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복식에서의 해학성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해학성은 또한 주술과 기원을 담은 색채와 문양의 풍자적 사용에서 추구하였던 미적 가치이다. 이밖에도 기녀복식은 외적인 면에서 율동(律動)미, 곡선(曲線)미, 비례(比例)미, 균형(均衡)미라는 미적특성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잔잔하게 흔들리는 노리개 술의 흔들림이나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는 실루엣, 자연에서 채취한 소색의 미, 자연스런 멋과 선을 연출하는 하나의 표현이다. 본 연구는 기생이 조선 후기의 패션리더로서 전반적인 복식의 유행을 리드하여 일반여성의 복식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 기생복식으로 그 대상을 제한하였으며 한국 복식 전반의 미적 특징들을 심도 있게 다루지는 못하였다는데서 한계가 있지만 유행을 선도한 기생들의 복식에서 미적 가치와 특성을 추출하여 현대인의 감성과 조화를 이루며 한류열풍과 더불어 패션계에서도 한국적 패션디자인이 세계적 유행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에 도전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