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內浦地域 東學農民戰爭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73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994 and 2014, the Donghak Peasant War had been actively studied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d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war. As a result, the study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Naepo, also known as Howoo or Hoseo, had been heightened as we...

      In 1994 and 2014, the Donghak Peasant War had been actively studied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d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war. As a result, the study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Naepo, also known as Howoo or Hoseo, had been heightened as well.
      However, the researches still fails to clear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Naepo Donghak Peasant War in which the peasants had participated throughout the region, as they lacked overall geographical awareness of the Howoo region and analysis of the Donghak leaders’ activities 100 years ago. This is largely due to the Honam-centric thinking about the Donghak Peasant War. The relatively negligent interest in the Naepo region and the temporary and intermittent research process not only fail to properly capture the grand discourse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Naepo, but also fail to accurately analyze and identify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po region with a microscopic view.
      The Choi Si-hyung’s instructions were delivered to the Naepo region at the end of September in 1894, unlike the Honam region, and Gipo (the uprising of Po) unfolded simultaneously starting on October first in Tae-an an Seo-sa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Naepo area was severely affected by the extortion and tyranny caused by the collusion between the local noblemen and officials, as revealed in the uprising of Hap-deok. Because of that, the people of Naepo region naturally turned to Donghak and began to dream of a new ideal society. Thus, the representative Po-Jeop organizations, such as Deok-po, Ye-po, Sancheon-po, were completed in the Naepo area to strengthen individual and autonomous activities.
      In April, Lee Seung-woo's appointment as the governor made the oppression of the Donghak people visible. Under the persecution by the local noblemen who climbed on the bandwagon, Wonpyongdaedohoi broke out at last. The people heard the news of the occup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by the Japanes army, and began to stir when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In response, the government wanted to stabilize the people by sending special envoys and set up Jibgang to have the officials and people cooperate with each other. But the situation changed rapidly in October. The government army in the provinces executed Donghak followers, and the officials dispatched from the government proclaimed that they would arrest, detain and execute more than 30 Donghak followers. In response, Choi Si-hyung sent a nationwide message, saying, "As the Donghak followers of the whole country are in danger, gather together in large groups of Po or Jeop to find a way to live on their own."
      In this way, Gipo (the uprising of Po) began all over Naepo, and more than 15,000 peasants gathered together in Yeomibeol and gave birth to an army of Donghak Peasants. Later, they defeated the Japanese army and the Yuhoe army one after another in Seungjeongok and Gwanjakri. But, in the Battle of Hongju Fortress, the army of peasants was blocked, defeated and brought to an end by the allied forces composed of the native troops, the Japanese army, and the Yuhoe army which took advantage of fortress defense tactics.

      In this paper, the following achievements have been made during the study of the above-developed process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Naepo.
      Firstly,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Yeomipyeongdaedohoe are newly recognized in this paper. The movements of 'Donghak Peasant Army' born there are also analyz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war. In particular, this paper defines the period in which the Donghak Peasant Army was born around Deokpo, the Park In-ho’s main center of activity, organized in a military style in the Battle of Gwanjak-ri, and fought the Battle of Hongju Fortress as a Peasants’ War, and clarifies the meaning of each battle.
      Secondly, this paper finds that Taean Gipo led by Ye-po and Seosan Gipo led by Deok-po were separate events, although they began at the same time on the same day in Taean and Seosan, and analyzes and organizes the reason why the violent Gipo in which even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noblemen of the counties were executed had to begin.
      Thirdly, this paper also clarifies that the Choi Si-hyung’s instructions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outbreak of the Donghak Peasant War, and finds the meanings of the instructions by carefully analyzing the contents,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fortunately the contents are being fully handed down. This paper also proposes a new interpretation of how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ructions and Gipo-ryeong, although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the issue.
      Fourthly, in the course of this study, Piranrok is also studied and it is found that Piranrok was written by Kim Hyun-je, who lived in Seosan. Based on this, the Confucian scholars’ response under the circumstances and the true state of refuge are analyzed and organized.
      Fifth, this paper, by approaching Lee Chang-gu, the head Jeobju of Sancheon Po, reveals his origins, activities, etc. It also investigates what are the differences and limitations of Park In-ho and Park Hee-in in comparison to the leaders of the Honam region.
      Sixth, this study clarifies that Habdeokminran was a representative incident caused by the extortion by the local noblemen in Naepo, and organizes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n which the peasants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t changed into the soldiers of Donghak.
      Seventh,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what is the truth about the existence and the role of Doso, which existed as the central organization throughout the Donghak Peasant War in Naepo, using the historical data of the Naepo area. In particular,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was always Dohoe rather than Doso in the center of the scenes in which the Donghak peasants in Naepo gathered, scattered and acted.

      Based on the above achievement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the Naepo region' organiz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the Naepo region, the process from Gipo to the war proceed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But the Donghak followers in Naep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hat began to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fighting a war as fierce as any other war.
      Second, the Donghak leaders of Naepo shared the spirit of ostracizing the West and Japan, promoting the national interests and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and eliminating violence and saving the people. They put the spirit into practice under the Donghak doctrine more thoroughly than any other leader in the country.
      Third, the peasants in Naepo revolted around ‘Po’ in an extreme way compared to other regions by beating the special envoys to death as soon as the Gipo occurred.
      Fourth, in the Naepo area, the local noblemen seized the local administrative power, forcing anti-Donghak movements around the Yuhoe army to be activated aggressively,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 noblemen and the commoners were also severely revealed.
      Fifth, Dohoe existed at the center of all the events in which Donghak spread in Naepo and the Donghak Peasant War was going on. Although the Dosoes in Naepo were generally fixed in one area, the Dohoes were sometimes held temporarily in particular location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4년 100周年과 2014년 120周年에 즈음하여 東學農民戰爭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內浦地域(혹은 湖右地域 or 湖西地域) 동학농민전쟁에 대해서도 걸맞은 동학농...

      1994년 100周年과 2014년 120周年에 즈음하여 東學農民戰爭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內浦地域(혹은 湖右地域 or 湖西地域) 동학농민전쟁에 대해서도 걸맞은 동학농민전쟁 연구의 진행도 고조되었다. 그러나 100년 전 호우지역 전체적인 지리적 인식의 부재와 여러 동학지도자들의 활동에 대한 분석적이지 못한 채 마무리된 연구물들은 거족적으로 참여한 내포지역 동학농민전쟁의 성격이나 의의를 아직도 분명하게 규명해 내지 못하고 있다. 이는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호남중심의 사고에 기인 바가 크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내포지역 소홀한 관심과 일시적이고 간헐적인 연구의 진행으로는 내포지역 동학농민전쟁이라는 거대담론을 올바로 담아내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미시적인 내포지역의 특징과 성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규명하지 못하는 한계로 작용되고 있다.

      내포지역은 호남지역과는 달리 1894년 9월 그믐 최시형의 訓示文이 전달되었고 10월 1일 태안과 서산을 시작으로 다발적인 기포가 전개되었다. 19세기 후반 내포지역은 合德民亂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재지 양반들과 지방관들이 결탁한 가렴주구와 횡포가 극심하였다. 그 때문에 내포지역 민중들은 자연스럽게 동학에 입도하였고 새로운 이상사회를 꿈꾸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내포지역에서는 德包와 禮包, 山川包 등 대표적인 포접 조직이 완성되어 개별적이고 자치적인 활동을 강화해 나갔다. 4월 이승우의 부임으로 동학도들의 탄압이 가시화되자 이에 편승한 양반들의 핍박으로 급기야 院坪都會가 발발하였고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소식까지 들려오고 淸日戰爭까지 발발하자 민중들은 술렁거리기 시작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는 선무사를 통해 백성들을 안정시키는 한편, 執綱을 설치하여 관민들이 서로 협조하길 바랐으나 10월에 들어 상황이 급변하고 지방의 관군들이 동학도를 처형하고 정부에서 파견된 별유관이 동학도 30여 명을 체포·구금하고 처형하겠다고 공언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최시형은 ‘팔도의 도인들이 위기에 처했으니 각 큰 포접별로 모여서 스스로 살길을 도모하라’는 訓示文을 전국에 하달하였다. 이렇게 하여 내포지역 곳곳에서도 기포가 시작되었고 여미벌에서는 15,000여 명의 모여 동학농민군을 탄생시켰다. 이들은 이후 勝戰谷에서 官爵里에서 일본군과 유회군을 연이어 무찔렀으나 결국 홍주성전투에서 토병들과 유회군 그리고 일본군으로 구성된 연합군의 守城戰에 막혀 패퇴함으로써 종말을 고하고 말았다.

      위와 같이 전개된 내포지역 동학농민전쟁 과정을 연구하면서 본고에서 밝혀낸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餘美坪大都會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하여 최초로 인식하였고 여기에서 탄생한 ‘동학농민군’들의 움직임에 관해서 전투 진행 단계별로 분석·정리하였다. 특히 박인호의 덕포를 중심으로 동학농민군이 탄생하고 관작리 전투에서 군대식으로 조직되어 홍주성 전투를 치르기까지 기간을 농민전쟁으로 규정하고 각각의 전투에 대해 의미를 정리하였다.
      둘째, 泰安起包와 瑞山起包는 禮包와 德包가 주체가 되어 전개한 개별적인 사건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그럼에도 한날, 한시에 서산과 태안지역에서 똑같이 고을 수령과 양반들은 물론 별유관까지 타살하면서까지 과격한 기포를 시작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분석·정리하였다.
      셋째, 내포지역 동학농민전쟁 발발에는 최시형의 훈시문이 결정적으로 작용을 하였고 다행스럽게도 그 내용이 온전히 전해지고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내용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의미를 찾으려 하였으며 그동안 분분했던 훈시문과 기포령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해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안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과정에서 「避亂錄」을 연구하게 되면서 서산에 거주하던 金玄濟의 기록이었음을 밝혀냈고, 이에 근거하여 내포지역 유림들의 대응과 피란실태까지 분석·정리하였다.
      다섯째, 山川包 首接主 李昌九에 대하여 접근하여 그의 출신과 활동 등에 대해 정리하였고 박인호, 박희인 등이 호남지역의 동학 지도자들과 비교하여 드러나는 차이점과 한계점은 무엇이었는 정리하였다.
      여섯째, 합덕민란이 내포지역 재지양반들의 가렴주구로 비롯된 대표적인 사건이었음을 분명히 하고 여기에 참여했던 농민들이 동학군들로 변모해 가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일곱째, 내포지역 동학농민전쟁 기간 내내 중심기구로 존재하였던 도소에 존재와 역할에 대하여 내포지역의 사료들을 중심으로 실체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특히 내포지역의 동학농민군들이 모이고, 행동하고, 흩어지는 중심에는 都所보다는 都會가 항상 존재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위와 같은 성과들을 바탕으로 본고에서 정리한 ‘내포지역 동학농민전쟁’의 성격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포지역에서는 起包부터 戰爭까지 비교적 짧은 시간에 진행되었다. 그러나 내포지역 동학도들은 전국적으로 시작된 거국적인 움직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어느 곳보다 못하지 않은 치열한 전쟁을 치러냈다.
      둘째, 내포지역 동학 지도자들은 전국의 어느 곳에 지도자들보다도 동학교단의 지침에 의거 斥洋斥倭, 輔國安民, 除暴救民 정신을 철저하게 이행하였다.
      셋째, 내포지역에서는 기포와 동시에 수령과 선무사를 ‘打殺’하는 등 다른 지역에 비하여 매우 극단적인 방법으로 기포하였다.
      넷째, 내포지역에는 재지양반들의 향권을 장악하고 있어 유회군을 중심으로 반동학적 움직임이 거세게 작동될 수밖에 없었고 반상 간의 갈등도 심하게 표출되었다.
      다섯째, 내포지역에 동학이 전파되고 동학농민전쟁이 진행되기까지 모든 사건의 중심에는 都會가 존재하였다. 내포지역의 都所들은 일반적으로 한 지역에 고정되어있었으나 都會는 상황에 따라 특정한 장소에서 일시적으로 열리기도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1
      • 1. 연구의 주제와 필요성...........................................................1
      • 2. 연구사 검토와 문제 제기.....................................................5
      • 3. 연구의 목적과 장절 구성...................................................11
      • Ⅰ. 序論.............................................................................................1
      • 1. 연구의 주제와 필요성...........................................................1
      • 2. 연구사 검토와 문제 제기.....................................................5
      • 3. 연구의 목적과 장절 구성...................................................11
      • Ⅱ. 內浦地域 東學農民戰爭의 背景..............................16
      • 1. 內浦의 지역적 특성과 合德民亂......................................17
      • 1) 양반지배층과의 갈등과 대립...........................................17
      • 2) 合德民亂을 통해 본 농민층 동향....................................23
      • 2. 東學의 확산과 조직 정비...................................................31
      • 1) 동학의 확산과 조직 확대.................................................31
      • 2) 院坪都會에 나타난 東學徒의 저항의식..........................40
      • Ⅲ. 內浦地域 東學農民戰爭의 展開...............................46
      • 1. 東學農民軍의 泰安·瑞山 起包..........................................47
      • 2. 餘美坪大都會와 내포 동학농민군의 결성.....................68
      • 3. 東學農民軍이 승리한 勝戰谷 戰鬪와 官爵里 戰鬪....77
      • 1) 勝戰谷 戰鬪.......................................................................77
      • 2) 官爵里 戰鬪.......................................................................90
      • 4. 洪州城戰鬪와 패전 이후의 동학농민군 동향..............101
      • 1) 洪州城 戰鬪......................................................................101
      • 2) 海美邑城 戰鬪와 梅峴 戰鬪...........................................110
      • Ⅳ. 內浦地域 東學農民軍의 鎭壓과 虐殺.................119
      • 1. 湖沿招討使 李勝宇의 진압 활동과 학살......................120
      • 2. 兩湖右先鋒將 李斗璜의 토벌 활동과 학살..................131
      • 3. 日本軍의 제노사이드 작전...............................................137
      • 4. 儒會軍과 農堡軍의 반농민군 활동.................................141
      • Ⅴ. 內浦地域 東學農民戰爭의 主要 指導者...........155
      • 1. 최고의 지도자 朴寅浩......................................................156
      • 2. 최고의 활동가 朴熙寅......................................................161
      • 3. 최대의 세력가 李昌九......................................................166
      • 4. 기타 接主들.........................................................................180
      • Ⅵ. 內浦地域 東學農民戰爭의 特徵...........................187
      • 1. 東學敎團과 起包令의 영향 ............................................188
      • 2. 호남지역 동학농민전쟁과의 상관성..............................196
      • 3. 都所 중심체제와 都會의 역할........................................203
      • 4. 동학농민군의 구성과 전투 양상....................................211
      • Ⅶ. 結論.......................................................................................218
      • 參考文獻
      • 資料..........................................................................................223
      • 硏究論著..................................................................................225
      • 硏究論文..................................................................................226
      • 국문초록..................................................................................233
      • ABSTRACT.............................................................................23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吳知泳, "『東學史』", 선각간, 1939

      2 村山智順, "「類似宗敎」", 조선총독부 조사자료 제42집, null

      3 당진군, "『唐津郡誌』", 1997

      4 대흥면, "『大興邑誌』", null

      5 덕산면, "『德山面誌』", 1996

      6 태안군, "『泰安郡誌』", 2012

      7 서산군, "『瑞山郡誌』", 2005

      8 예산군, "『禮山郡誌』", 2001

      9 윤석산, "『도원기서』", 문덕사, 1991

      10 도진순, "『백범일지』", 돌베게, 1997

      1 吳知泳, "『東學史』", 선각간, 1939

      2 村山智順, "「類似宗敎」", 조선총독부 조사자료 제42집, null

      3 당진군, "『唐津郡誌』", 1997

      4 대흥면, "『大興邑誌』", null

      5 덕산면, "『德山面誌』", 1996

      6 태안군, "『泰安郡誌』", 2012

      7 서산군, "『瑞山郡誌』", 2005

      8 예산군, "『禮山郡誌』", 2001

      9 윤석산, "『도원기서』", 문덕사, 1991

      10 도진순, "『백범일지』", 돌베게, 1997

      11 서산시, "『서산시지』", 1998

      12 박맹수, "『개벽의 꿈』", 모시는 사람들, 2011

      13 박맹수, "『북접 일기』", -동학농민혁명과 「북접 일기」,(태안군/충청남도 역사문화원), 2006

      14 홍종식, "「동학란실화」", 『신인간』 34호, 1929

      15 김낙봉, "「 김낙봉이력」", 『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제7권 사운연구소, 1996

      16 이돈화, "『천도교창건사』", 경인문화사, 1970

      17 박성묵, "『예산동학혁명사』", 도서출판 화담, 2007

      18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명예회복심의위원회 편, "동학농민혁명사일지", 2006

      19 임형진, "『동학의 정치사상』", 모시는 사람들, 2004

      20 조경달, "『이단의 민중반란』", 역사비평사, 2008

      21 박인호, "「甲午東學起兵實談」", 『중앙』16, 조선중앙일보사, 1935

      22 배항섭, "「동학농민전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23 김추윤, "『삽교천의 역사문화』", 당진문화원, 1995

      24 박래원, "「춘암상사의 행적」 상", 『신인간』, 1972

      25 이돈화, "『천도교창건록』 제1집", 천도교중앙종리원, 1934

      26 태안군, "文章埈, 「문장준 역사」", 『북접 일기』, 2006

      27 태안군, "「조석헌 역사-포덕34년」", 『북접 일기』, 2006

      28 태안군, "「조석헌 역사-포덕64년」", 『북접 일기』, 2006

      29 박맹수, 정선원, "『공주와 동학농민혁명』", 모시는 사람들, 2015

      30 정을경, "「내포 동학이 남긴 유산」", 『내포의 동학』, 내포문화총서2, 충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5

      31 李尙載, "『巨人 春庵 朴寅浩 硏究』", 예산문화원, 1997

      32 장수덕, "「갑오동학란피란록 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제185회 월례발표회, 2017

      33 박래원, "「춘암상사의 생애와 사상」", 『신인간』, 1970

      34 표영삼, "「충청 서부지역 동학혁명」", 『교사교리연구』, 제5호, 천도교 중앙총부, 2000

      35 南宮椽, "「東學 發展과 南北接 對立」",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76

      36 박맹수, "「동학농민전쟁과 공주전투」", 『百濟文化』23, 공주대백제문화 연구소, 1994

      37 신복룡,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 도서출판 선인, 1985

      38 김양식, "「동학농민군의 봉기와 좌절」", 『내포의 동학』, 내포문화총 서 2, 충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5

      39 신영우, "「충청지역 농민전쟁의 성격」", 『호서문화연구』12, 충북대호 서문화연구소, 1994

      40 양진석, "「충청지역 농민전쟁의 양상」", 『백제문화』23, 공주대백제문 화연구소, 1994

      41 김학로, "『당진에서 본 동학농민혁명』", 당진문화원, 2015

      42 愼鏞廈,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연구』", 일조각, 1993

      43 성주현, "『동학과 동학혁명의 재인식』", 국학자료원, 2010

      44 이이화, "『충청도 예산 동학농민혁명』", 모시는 사람들, 2014

      45 崔孝軾, "「1894년 執綱所의 설치와 운영」", 『동학연구』제13집, 한국 동학학회, 2003

      46 장수덕, "「日帝下 唐津地域의 社會運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1

      47 고은광순, "「해월의 딸, 용담할매」(청산편)", 옥천향수신문, 2017

      48 양진석, "「1894년 충청도지역의 농민전쟁」", 『1894년 농민전쟁연구( 4)』, 역사와비평사, 1995

      49 趙 珖, "「동학농민혁명 관계 사료 습유」", 『사총』 29집, 고대대학교 역사연구소, 1985

      50 성주현, "「동학의 내포지역 전래와 확산」", 『내포의 동학』, 내포문화 총서2, 충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5

      51 이동초, "『천도교중앙대교당 50년 이야기』", 모시는 사람들, 2008

      52 김진필, "「서산 태안지역의 동학농민전쟁」", 한국교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1

      53 태안군, "「창산후인 조석헌 역사-포덕50년」", 『북접 일기』, 2006

      54 신영우, "「충청도의 동학교단과 농민전쟁」", 『百濟文化』23, 공주대백 제문화연구소, 1994

      55 채길순, "「충청지역의 동학혁명 전개과정」", 『호서문화연구』12, 충북 대호서문화연구소, 1994

      56 장수덕, "『당진 서산지역의 동학농민전쟁」", 당진문화원, 2016

      57 愼鏞廈, "「갑오농민전쟁의 제2차 농민전쟁」", 『한국문화』14, 서울대 학교규장각학국학연구원, 1993

      58 이동초, "『천도교 민족운동의 새로운 이해』", 모시는 사람들, 2010

      59 신영우, "「19세기 후반 동아시아와 내포지역」", 『내포의 동학』, 내포 문화총서2, 충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5

      60 성주현, "「내포지역의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갑오동학농민혁명 120주 년 기념학술세미나, 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4

      61 강재언, "「봉건체제 해체기의 갑오농민전쟁」", 『韓國近代民族運動史』, 돌베게, 1980

      62 성주현, "「아산지역의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역사와 교육』제24집,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7

      63 이도행, "「충남 서북부지역의 동학농민전쟁」", 공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4

      64 박성묵, "「내포지역 동학혁명과 춘암 박인호」", 승통100주년 기념 학술 대회, 2008

      65 정을경, "「박인호의 천도교 활동과 민족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 구』33, 2009

      66 성주현, "「춘암 박인호와 무인멸왜기도 운동」", 승통100주년 기념 학술 대회, 2008

      67 신영우, "「충청감사와 갑오년의 충청도 상황」", 갑오동학농민혁명 120 주년 기념학술세미나, 충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4

      68 박맹수, "『사료로 보는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모시는 사람들, 2009

      69 김남석, "「1894년 합덕농민항쟁에 대한 재검토」", 『당진에서 본 동학 농민혁명』, 당진역사문화연구소, 2015

      70 차경애, "「淸日戰爭 당시 조선 전쟁터의 實相」", 『한국문화연구』, 이 화여대한국문화연구원, 2008

      71 조극훈, "「춘암 박인호의 동학 이해와 근대성」", 동학학회/예산동학농민 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기념학술대회/제33차 추 계 학술대회, 2013

      72 박걸순, "「1894年 合德 農民抗爭의 動因과 樣相」",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28집, 2007

      73 임호민, "「崔時亨의 동학재건 활동과 교권장악」", 『지방사와 지방문 화』, 역사문화학회. 2005쪽 참조, 2017

      74 김남석, "「日帝强占期 唐津地域 民族運動 硏究」", 충남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2010

      75 박맹수, "「동학농민전쟁기 해월 최시형의 활동」", 『동학문화』1, 1999

      76 지수걸, "「1894년 ‘公州 大會戰’의 성격과 의미」", 갑오동학농민혁명 120주년 기념학술세미나, 충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4

      77 김진호, "「면천 3 10 학생만세운동의 역사적 의의」", 『당진 3.1독립만 세운동의 재조명』, 당진문화원, 2019

      78 신영우, "「충청도지역 동학농민전쟁의 전개과정」", 『동학농민혁명의 지역적 전개와 사회변동』, 새길, 1995

      79 김양식, "「동학농민전쟁기 집강소의 위상과 평가」", 『역사연구』19호, 역사학연구소, 2010

      80 성주현, "「보은 금구집회의 전개와 동학농민혁명」", 『중원문화연구』 21, 2013

      81 채길순, "「충청남도 서북지역의 동학혁명사 연구」", 『동학학보』, 제17호, 2009

      82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과 농민군 지도부의 성격』", 서경문화사, 1997

      83 박맹수, "「敎祖伸?運動期 參禮集會에 대한 再檢討」", 『한국독립운동 사연구』28, 2007

      84 채길순, "「동학농민혁명 설화와 소설화 양상 연구」", 동학학회/예산동학 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기념학술대회/제33차 추계 학술대회, 2013

      85 박맹수, "「동학농민전쟁기 일본군의 정보수집활동」", 역사연구 제19호, 2010

      86 尹圭相, "『이 땅에 마지막 남은 보부상 禮德商務社』", 금오인쇄사, 2000

      87 임형진, "「내포지역의 동학유입경로와 조직화 과정」", 동학학회/예산동 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기념학술대회/제33 차 추계 학술대회, 2013

      88 임형진, "「동학농민혁명의 전개와 내포지역의 동향」", 『내포의 동학』, 내포문화총서2, 충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5

      89 金祥起, "「충남지역 유교지식인의 동학인식과 대응」", 『한국근현대사 연구』, 2009

      90 배항섭, "「충청지역 동학농민군의 동향과 동학교단」", 『百濟文化』23, 공주대백제문화연구소, 1994

      91 나카츠카 아키라, 이노우에 가쓰오, 박맹수, "『또 하나의 청일전쟁 동학농민전쟁과 일본』", 모시는 사람들, 2014

      92 김남석, "「1894년 충남 면천지역의 동학농민전쟁 연구」", 『충청문화연구』 제5집, 2010

      93 박맹수, "「박맹수교수로부터 듣는 당진동학농민혁명」", 당진문화원, 당 진역사문화연구소, 2016

      94 배항섭, "『조선후기 민중운동과 동학농민전쟁의 발발』", 경인문화사, 2002

      95 홍동현, "「충청도 내포지역의 농민전쟁과 농민군 조직」", 연세대학교석 사학위논문, 2003

      96 李範奭, "『經亂錄』, 甲午年,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2", 동학농민혁명기념 재단 홈페이지, null

      97 신영우, "「내포일대의 갑오년 상황과 동학농민군의 봉기」", 동학학회, 『동학학보』29, 2013

      98 지수걸, "「민회전통의 지속과 변용-‘1894년 사건’ 성격 」", 『우금티 동 학농민전쟁 125주년 기념 학술토론회 자료집』, (사)동학농민전쟁우 금티기념사업회, 2019

      99 유병덕, "「태안지역 동학농민운동의 전개과정과 그 특징」", 『제2회 태안 역사문화학술발표회 발표문』, 2009

      100 이인화, "「내포지역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과정과 그 결과」", 『당진향 토문화논총』17집, 1997

      101 박대길, "「동학농민혁명 이전 천주교와 동학의 상호 인식」", 『인문과 학연구』19, 2008

      102 김정호, "「동학의 보국안민의 정신과 한국 민주주의 전망」", 동학학회/ 예산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기념학술대 회/제33차 추계 학술대회, 2013

      103 성주현, "「박인호계 동학군의 동학혁명과 그 이후의 동향」", 『동학과 동학혁명의 재인식』, 국학자료원, 2010

      104 신영우, "「예산 동학농민혁명의 전개과정과 일본군의 개입」", 동학학회/ 예산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기념학술대 회/제33차 추계 학술대회, 2013

      105 안외순, "「인문지리학적 관점에서 본 내포정신의 형성과정」", 동학학회/ 예산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기념학술대 회/제33차 추계 학술대회, 2013

      106 배항섭,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내재적 접근」", 『역사 비평』110, 창작과 비평, 2015

      107 安秉旭, "「19세기 임술민란에 있어서의 ‘향회’와 ‘饒戶’」", 『한국사론』 14, 서울대학교, 1986

      108 이진영, "「충청도 내포지역의 동학농민전쟁 전개양상과 특성」", (『동학 연구』14, 15호, 한국동학학회, 2003

      109 배항섭, "「충청도지역 동학농민전쟁과 농민군 지도부의 성격」", 『동학 농민혁명과 농민군 지도부의 성격』, 서경문화사, 1997

      110 박성묵, "「내포 동학혁명 지도자의 활약상과 역사문화적 의의」", 동학 학회/예산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 제119주년 기념학 술대회/제33차 추계 학술대회, 2013

      111 김양식, "「갑오군정실기에 나타난 충남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 동학 농민혁명 정기학술대회, 2016

      112 황민호, "「매일신보에 나타난 3.1운동 전개와 조선총독부의 대응」",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6

      113 신영우,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제2차 동학농민전쟁-」", 『한국사 39』, 탐구당, 2013

      114 배항섭, "「조선시대 민중의 시위 문화 -신문고에서 복합상소까지-」", 내 일을 여는 역사 33, 도서출판 선인, 2008

      115 장수덕, "「內浦地域 在地兩班의 東學農民戰爭에 대한 認識과 對應」",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제80집, 2019

      116 장수덕, "「갑오동학란피란록의 저자 탐구와 사료적 가치의 재평가」", 『한국근현대사연구』, 제86집, 2018

      117 박맹수, "「동학농민혁명기 在朝日本人의 전쟁협력 실태와 그 성격」", 당진역사문화연구소, 2016

      118 지수걸, "「국가의 역사독점과 민중기억의 유실-우금티 都會를 제안한다」", 『역사비평』110, 2015

      119 홍성찬, "「1894년 집강소 설파 하의 향촌사정-부여 대방면 일대를 중심 으로-」", 『동방학지』39. ; 韓國近現代史論文選集. 30, 農民(4) / 삼귀문화사 編, 2000,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