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妓女時調의 特性 硏究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inyeo Si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78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조는 우리 민족의 사상과 정서를 담기에 꼭 맞는 그릇이었다. 우리 시가문학 중 가장 풍성한 작품을 남기고 있는 시조는 가장 오랜 생명력을 지니고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시조는 우리 민족의 사상과 정서를 담기에 꼭 맞는 그릇이었다. 우리 시가문학 중 가장 풍성한 작품을 남기고 있는 시조는 가장 오랜 생명력을 지니고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시조가 고전시가 중 뚜렷한 율격적 정형성을 지니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 세계를 표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작가들도 위로는 군왕으로부터 아래로는 천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였다. 이는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내면세계를 폭넓게 반영하고 있는 문학 형태임을 증명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여성에 있어서는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문자를 향유할 수 있었던 당시 상류층의 부녀자들의 참여가 거의 없었고 가장 천한 계층인 妓女에 의해서 시조 창작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기녀들은 儒敎文化가 팽배했던 朝鮮王朝시대에 兩班 婦女子 들에 비해 문학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으며, 주로 宴會席上에서 兩班 士大夫와 시조를 통하여 교류했다. 이렇듯 시조는 자연스럽게 기녀들의 문학활동의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천민의 신분으로 地位高下를 막론하고 수많은 계층의 남성들을 상대했던 기녀들의 생활과 사회적 성격을 알아보고, 그들이 어떻게 문학을 접하고 창작 활동을 시작하여 기녀 문학을 형성하게 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자료로 삼은 57首의 시조를 형식적·표현상 특성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주제적 특성을 여성의 입장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의 변화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형식적인 면에서는 사대부의 시조와 다른 면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어휘적 측면에서는 순수 우리말의 사용과 함께 자신의 妓名을 시조에 넣어 지음으로써, 생동감 있는 구어체로 애정을 솔직히 표현하는 시조를 읊었다.
      표현상의 특성에서 살펴본 妓女時調는 사대부들의 이념전달 위주의 시조와는 달리 자신의 정서를 드러냄으로써 표현의 즐거움을 누리는 서정적 경향이 강하다. 이는 妓女라는 신분 때문에 남성과의 사랑을 이룰 수 없는 처지에서 起因한다고 볼 수 있다.
      士大夫가 성리학적 이념을 추구하며 修身, 勉學, 강호의 삶을 노래한 반면, 妓女시조는 솔직한 인간 본성의 감정과 생활을 표현하여 뛰어난 抒情性을 보여주고 있다.
      주제적 특성을 살펴보면, 기녀들은 만남과 헤어짐의 반복을 일상으로 하였지만, 그들도 인간이었기에 이별의 아픔과 그에 따른 심적 갈등을 문학으로 승화시켰던 것이다. 특히 남녀의 애정에 대한 정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기녀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는 애정에 대한 정서를 바탕으로 한 待人, 怨望이 대부분이며, 신분이나 늙음에 대한 恨歎, 誘惑, 節介 등이 있다.
      妓女文學은 남녀의 애정문제를 비롯한 인간의 喜怒哀樂을 진솔하게 그내어 時調文學의 내용과 표현에 생동감을 더하여 서정시로서의 성격을 한층 더 발전시켰다. 또한 기녀문학은 대체로 애정문제를 소재나 주제로 삼으면서도 이에 그치지 않고 인간적 신의와 진실을 따르면서 실존적 탐색의 태도로 나아가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jo, a genre of Korean poetry literature that has left a large number of works, survives a long space of time and still maintains its existence. It is because Sijo has the most definite rhythmic pattern, based on which various types of works can be c...

      Sijo, a genre of Korean poetry literature that has left a large number of works, survives a long space of time and still maintains its existence. It is because Sijo has the most definite rhythmic pattern, based on which various types of works can be created.
      Sijo writers ranged from the king from the top to low class people to the bottom. However, the poetry style of female writers was distinctive. It is that literary women in upper classes seldom participated in Sijo writing while most female Sijo writers were Ginyeos, women of the lowest class.
      In th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when Confucian culture was prevalent, Ginyeos was relatively freer in literary activities than aristocratic ladies, and they associated with aristocratic officials in feasts using Sijo as a medium. In this way, Sijo was naturally settled as a means of Ginyeos' literary activities.
      Thu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life and social status of Ginyeos who, although low in class, dealt with different classes of men regardless of their positions, and how they contacted literature, began writing and formed Ginyeo literature.
      In structure Ginyeo Sijo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autocratic writers, but in terms of vocabulary Ginyeos created Sijo using pure Korean words as well as planting their names into poems, so their Sijo is frank expression of their love in a vivid spoken language.
      A characteristic of Ginyeo Sijo in terms of expression is its strong lyrical trend that enjoys the pleasure of utterance by revealing their emotion, differently from autocratic writers' Sijo for communicating ideology. The trend is considered to come from their situation that they could attain love with men due to their low social status.
      As for thematic characteristic, Ginyeos were accustomed to meeting and parting as a daily routine but they still suffered from separation and sublimated the mental conflicts into literature. In particular, Ginyeo Sijo is imbued with the sentiment on love of men and women. Themes dealt with in Ginyeos' works are mostly waiting and bemoaning, and some of them lamenting over their humble standing or aging, temptation, fidelity, etc.
      Ginyeo literature described people'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including love between men and women frankly in Sijo, and consequently enhanced the lyricism of Sijo literature in addition to its contents and expression. Moreover, Ginyeo literature, although its major subject and theme is love, was not limited in it but moved forward for existential exploration following humanistic faith and tru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國文要約 = ⅰ
      • 목차 = ⅲ
      • Ⅰ. 序論 = 1
      • 1. 硏究目的 및 方法 = 1
      • 2. 硏究史 = 3
      • 國文要約 = ⅰ
      • 목차 = ⅲ
      • Ⅰ. 序論 = 1
      • 1. 硏究目的 및 方法 = 1
      • 2. 硏究史 = 3
      • Ⅱ. 妓女時調의 形成 = 6
      • 1. 妓女制度의 淵源 = 6
      • 2. 妓女의 社會的 機能 = 10
      • 3. 妓女文學의 形成背景 = 16
      • Ⅲ. 妓女時調의 特性 = 20
      • 1. 형식적 특성 = 20
      • 1) 운율 = 21
      • 2) 어휘 = 22
      • 3) 표현 = 24
      • (1) 卽興性 = 25
      • (2) 談話性 = 28
      • 3. 주제적 특성 = 31
      • 1) 待人 = 32
      • 2) 怨望 = 48
      • 3) 恨歎 = 51
      • 4) 誘惑 = 55
      • 5) 節介 = 59
      • Ⅳ. 妓女時調의 文學史的 意義 = 62
      • Ⅴ. 결론 = 64
      • 參考文獻 = 67
      • Abstract =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