楊浦遺藁 List

楊浦遺藁
양포유고
楊浦遺藁
없음
崔澱
최전
1636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Sok) 16
  • -
  • 한국고전번역원
  • This collection of documents is a service built through a public data portal.

Biblographical notes and introductory


  • 조선 시대 양포(楊浦) 최전(崔澱, 1568~1589)의 문집이다. 본집은 아들 유해(有海)가 수집ㆍ편차하고 김현성(金玄成)의 선사를 거쳐 1625년 목판으로 초간한 후, 새로 수집한 시문을 이홍주(李弘胄)의 선사를 거쳐 1636년 추각하고 유묵을 제외한 초간본과 합편한 추각후쇄본(追刻後刷本)이다. 본집은 불분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에 1613년 이정귀(李廷龜)가 지은 서문, 1621년 신흠(申欽)이 지은 서(敍), 목록이 있다. 첫 작품은〈제오수사문(祭吳水使文)〉으로 17세 때인 1584년 4월에 지은 자형 오운(吳沄)에 대한 제문이고, 100여 편에 달하는 시는 저자가 10세 이전에 지은 것에서부터 다양하다. 잡저는 〈독역잡설(讀易雜說)〉로, 《주역(周易)》을 읽으며 ‘천체대이무외 천행건이불식(天體大而無外天行健而不息)’, ‘인자이천지만물위일체(仁者以天地萬物爲一體)’ 등에 대해 서술한 것이다. 부록은 묘갈명(墓碣銘), 만사(挽詞) 등과 한준겸(韓浚謙)이 지은 〈과양포구거(過楊浦舊居)〉이다. 그 뒤로 임숙영(任叔英)이 1612년에 지은 행장(行狀)이 실려 있고 권말에 김장생(金長生)이 1625년에 지은 발문이 있다.

    View Biblographical Notes


  • ○ 本集은 楊浦 崔澱(1568:宣祖1 ~ 1589:宣祖22)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子 光山縣監 有海가 蒐集ㆍ編次하고 金玄成의 繕寫를 거쳐 1625年 木板으로 初刊한 후, 새로 蒐集한 詩文을 李弘胄의 繕寫를 거쳐 1636年 追刻하고 遺墨을 除外한 初刊本과 合編한 追刻後刷本이다.
    ○ 分量은 1卷 1册으로 總 82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國立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한46-가1752)으로서 半葉은 7行 12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1.5×19.2(cm)이다.
    ○ 本 影印底本은 跋 앞에 있는 目錄은 一般 文集의 編集體制에 따라 序 다음으로 옮겼으며, 序의 第1板과 目錄의 第6板은 落張이고, 跋의 第2板은 狀態가 不良하므로 同一本인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古3428-435)으로 補充ㆍ代替하였다.
    ○本集의 標點者는 梁鴻烈이고 監修者는 趙昌來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Related anthoglogies

Anthology name Author Published year Age of writing DB
묵수당집(嘿守堂集) 최유해(崔有海) - 조선시대 중기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사계유고(沙溪遺稿) 김장생(金長生) 1687 조선시대 중기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소암집(疎菴集) 임숙영(任叔英) - 조선시대 중기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현주집(玄洲集) 조찬한(趙纘韓) 1651 조선시대 중기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상촌고(象村稿) 신흠(申欽) 1629 조선시대 중기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Article
Please double click if you need to see Image or Text.

Literary style
Filter articles by literary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