石門集 List
石門集
석문집
-
-
|
|
吳以翼
오이익
|
|
1874 | |
|
Biblographical notes and introductory
조선 시대 석문(石門) 오이익(吳以翼, 1618~1666)의 문집이다. 본집은 7대손 항규(恒圭)ㆍ원규(元圭) 등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874년 나주 도림강당에서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5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이경재(李景在)가 지은 서(序)와 목록이 있다. 권1~3의 앞부분은 시로, 시체별로 분류하였다. 그중 오언사율의 〈무술십월십칠승나명효발장성(戊戌十月十七承拿命曉發長城)〉과 〈입육입경익일취리우익일결배정읍유별안공명(卄六入京翌日就理又翌日決配井邑留別安孔明)〉은 1658년 한양으로 잡혀 갈 때와 정읍으로 귀양이 결정되고 나서의 소회를 읽을 수 있고, 칠언절구의 〈감회시(感懷詩)〉는 효종 승하 시 유배지에서 지은 10수의 시로 우국충군(憂國忠君)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권3의 뒷부분은 부(賦), 송(頌), 전문(箋文), 서(序)이다. 권4는 소(疏), 잡저, 제문, 묘지명, 서(書)이고, 권5는 부록(附錄)이다. 권말에 지은 연도가 기록되지 않은 김병학의 발, 기정진(奇正鎭)ㆍ고시홍(高時鴻)ㆍ8대손 준선(駿善)이 1874년에 지은 발(跋)과 간기(刊記)가 있고 이어 유묵(遺墨)이 실려 있다.
View Biblographical Notes
-
○ 本集은 石門 吳以翼(1618:光海君10 ~ 1666:顯宗7)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7代孫 恒圭ㆍ元圭 등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1874年 羅州 道林講堂에서 活字로 印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5卷 2册으로 總 182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古3428-668)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3.3×16.4(cm)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卷4의 板次 「21ㆍ22」와、 遺墨의 板次 「1」이 重複되어 있다.
○ 本集의 標點者는 吳圭根이고 監修者는 梁鴻烈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Related anthoglogies
Anthology name | Author | Published year | Age of writing | DB |
---|---|---|---|---|
고산집(鼓山集) | 임헌회(任憲晦) | 1883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노사집(蘆沙集) | 기정진(奇正鎭) | 1902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삼연집(三淵集) | 김창흡(金昌翕) | 1732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Article
Please double click if you need to see Image or Text.
|
Filter articles by literary sty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