觀瀾齋遺稿 List

觀瀾齋遺稿
관란재유고
-
-
|
|
高晦
고회
|
|
1862 | |
|
Biblographical notes and introductory
조선 시대 관란재(觀瀾齋) 고회(高晦, 1636~1711)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5대손 명린(命麟) 등이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862년 활자(活字)로 인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8권 2책으로 되어 있으며, 시고(詩稿) 없이 문고(文稿)로만 이루어져 있다. 권두(卷頭)에 1862년에 쓴 홍순목(洪淳穆)의 서(序)와 목록(目錄)이 실려 있다. 권1은 송시열(宋時烈) 등 11人에게 보낸 40편의 서(書)이다. 권2는 서(序), 기(記), 문(文)이다. 서(序)는 담양 부사(潭陽府使)로 부임하는 홍득우에게 써 준 것 등이며, 기는 저자가 15세 때 심은 괴목(槐木)과 관련하여 자신의 이안재(怡顔齋)에 대해 쓴 것 등이다. 권3은 자형인 참의(參議) 장선충(張善冲)에 대한 행장(行狀)과 선비(先妣) 유인 강씨(孺人姜氏)에 대한 가장(家狀)인데, 가장 뒤에 송시열이 찬한 묘지(墓誌)가 부기(附記)되어 있다. 권4는 제문(祭文)이고 권5~8은 부록으로 가장(家狀), 행장(行狀), 제문(祭文), 묘지명(墓誌銘), 유사(遺事) 등이 기재되어 있다. 권말에 1862년에 신석우(申錫愚)가 쓴 발(跋)이 실려 있다.
View Biblographical Notes
-
○ 本集은 觀瀾齋 高 晦(1636:仁祖14 ~ 1711:肅宗37)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5代孫 命麟 등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1862年 活字로 印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8卷 2册으로 總 143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藏本(圖書番號:奎4232)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2.8×16.8(cm)이다。
○ 本集의 標點者는 李承昌이고 監修者는 趙昌來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Related anthoglogies
Anthology name | Author | Published year | Age of writing | DB |
---|---|---|---|---|
동춘당집(同春堂集) | 송준길(宋浚吉) | 1687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해장집(海藏集) | 신석우(申錫愚) | 1925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내재집(耐齋集) | 홍태유(洪泰猷) | 1730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병계집(屛溪集) | 윤봉구(尹鳳九) | 1802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수촌집(水村集) | 임방(任埅) | 1760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Article
Please double click if you need to see Image or Text.
|
Filter articles by literary sty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