悅菴集 List
悅菴集
열암집
悅菴文集
悅菴文集
|
|
夏時贊
하시찬
|
|
1836 | |
|
Biblographical notes and introductory
조선 시대 열암(悅菴) 하시찬(夏時贊, 1750~1828)의 문집이다. 본집은 종자 성필(聲弼)과 종손 정익, 정창(正昌) 등이 수습 편차하여 1834년에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에게 서문을 받고 서능보(徐能輔)와 윤종대(尹鍾大)의 발문을 붙여 달성하문(達城夏門)의 세거지인 대구(大邱)의 독무암서(獨茂巖棲)에서 1836년에 목판(木板)으로 간행하였다. 본집은 5권 3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이후회(李詡會)와 홍직필이 1834년에 지은 서(序)가 있으며, 책별로 목록이 있다. 권1은 시(詩)로 시체 구분 없이 저작 연대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주요 수창자는 유양선(柳養善), 임희택(任希澤) 등이다. 권4는 발(跋), 찬(贊), 명(銘), 잡저(雜著)이다. 명 가운데 〈괴헌고정명(槐軒古井銘)〉은 유계(柳溪)에 있는 곽재겸(郭再謙)의 유허에 사당을 지을 때 수백 년 간 매몰되었던 우물이 완연한 모습으로 발견되자 선인들이 강학하며 덕을 기르던 옛 도를 회복하기를 기원하며 1785년에 지은 것이다. 권미(卷尾)에 서능보가 1835년에, 윤종대가 1836년에 지은 발(跋)과 “세병신암서개간(歲丙申巖棲開刊)”의 간기(刊記)가 있다.
View Biblographical Notes
-
○ 本集은 悅菴 夏時贊(1750:英祖26~1828:純祖28)의 文集이다.
○ 本集은 1836年 達城 巖棲에서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 分量은 5卷 3册으로 總 223板이다.
○ 本 影印底本은 高麗大學校 中央圖書館藏本(圖書番號:만송D1-A1986)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0.8×15.4(cm)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卷3의 第34板은 卷次가 「一」로 誤記되어 있다.
○ 本集의 標點者는 李承昌이고 監修者는 趙昌來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Related anthoglogies
Anthology name | Author | Published year | Age of writing | DB |
---|---|---|---|---|
매산집(梅山集) | 홍직필(洪直弼) | 1866 | 조선시대 후기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
Article
Please double click if you need to see Image or Text.
|
Filter articles by literary sty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