拓菴集 List

拓菴集
척암집
-
-
金道和
김도화
1917
  •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Sok) 138,139
  • -
  • 한국고전번역원
  • This collection of documents is a service built through a public data portal.

Biblographical notes and introductory


  • 조선 시대 척암(拓菴) 김도화(金道和, 1825~1912)의 문집이다. 《원집》은 손자 헌주(獻周)가 유문을 수습하여 저자의 문인들과 1916년에 간역을 시작하여 1917년에 목판본 초간이 완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속집》은 금석문자 중 산일되어 원집에 싣지 못한 것과 시문, 서찰 중 수습되지 못한 것을 수집한 후 속집 6권으로 만들었고, 정확한 간행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대략 1945년 이전으로 추정된다. 《부록》은 4권 2책으로 목판본과 석인본 두 종류가 있다. 《별집》은 1956년경 2권 2책으로 연활자로 인행되었다. 본집은 원집 36권 19책, 속집 13권 6책, 부록 4권 2책, 별집 2권 2책이 합부되어 있다. 원집은 권수에 총목록이 실려 있다. 권3~8은 소(疏), 서(書)이다. 부록은 권수에 목록이 있다. 권1은 곽도(郭鋾) 등이 지은 만사 99편이 실려 있다. 권말은 급문록(及門錄)으로, 문인 하대운(河大運) 등 216인에 대한 관련 기록이다. 별집은 권별로 목록이 있다. 권1은 사(詞), 시, 조(詔), 소(疏), 서(書), 격문, 비, 지(誌), 잡저, 고유문, 전이다. 권미에 채헌기가 1956년에 쓴 발문이 있다.

    View Biblographical Notes


  • ○ 本集은 拓菴 金道和(1825:純祖25~1912)의 文集이다.
    ○ 本集은 著者의 孫 獻周 등이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士林의 協助를 받아 1917年 木板으로 初刊한 후 詩文 一部를 增刪ㆍ再編하여 追刻ㆍ後刷된 原集과, 散佚되고 남은 詩文을 蒐集ㆍ編次하여 木板으로 刊行된 續과, 1930年 이후 木板으로 刊行된 附錄과, 日帝 治下에서 刊行하지 못한 詩文을 蒐集ㆍ編次하여 1956年頃 鉛活字로 印行된 別集을 合附한 것이다.
    ○ 分量은 原集 36卷, 續集 13卷, 附錄 4卷, 別集 2卷 合 29册으로 總 2181板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原集은 釜山大學校 圖書館藏本(圖書番號:OCC 4-2 191)으로서 半葉은 10行 19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0.0×17.3(cm)이며, 續集은 同館藏本(圖書番號:OCC 4-2 191A)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0.5×17.1(cm)이며, 附錄은 同館藏本(圖書番號:OCC 4-2 191C)으로서 半葉은 10行 19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19.8×17.0(cm)이며, 別集은 同館藏本(圖書番號:OFC 4-2 446)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3.1×16.2(cm)이다.
    ○ 本 影印底本 중 原集 卷17의 第41~43板의 卷次와 卷尾題는 「十八」로, 卷28의 第21板은 板次가 「十一」로, 卷32의 第42板은 卷次가 「二十二」로 誤記되어 있고, 卷30은 板次 「二十八」이 漏落되어 있으며, 卷35는 板次 「五十五」ㆍ「五十六」ㆍ「五十七」이 重複되어 있고, 卷35의 第34板과 第35板은 錯簡되어 있어 바로잡았다. 續集 卷4의 第42ㆍ46 板은 板次가 각각 「三十二」ㆍ「四十五」로 誤記되어 있고, 卷10의 卷首題는 卷次가 漏落되어 있으며, 卷11의 第16ㆍ17板이 缺落되어 있다. 附錄 卷1의 第6板은 卷次가 「二」로, 卷4의 卷首題는 卷次가 「三」으로, 第2板은 板次가 「一」로, 第25~27板은 卷次가 「三」으로 誤記되어 있다. 及門錄은 板次 「六」이 漏落되어 있고, 第21板의 板次가 「二十二」로 誤記되어 있다. 그리고 原集 卷16의 第16板은 落張이므로 同一本인 延世大學校 學術情報院藏本(圖書番號:811.98/김도화/2)으로, 卷35의 第61板은 落張이므로 同一本인 成均館大學校 尊經閣藏本(圖書番號:D03B-1442)로 補充하였고, 卷6의 第20板, 卷10의 第2板, 卷11의 第32板, 卷20의 第7ㆍ8ㆍ35板, 卷23의 第29板, 卷24의 第41板, 卷25의 第13ㆍ14板, 卷26의 第12ㆍ21板, 卷27의 第14板, 卷28의 第11ㆍ12板, 卷30의 第10板, 卷31의 第22ㆍ33板, 卷34의 第32板, 卷35의 第29板, 卷36의 第25板은 狀態가 不良하여 同一本인 延世大學校 學術情報院藏本(圖書 番號:811.98/김도화/2)으로 代替하였다.
    ○ 本集의 標點者는 趙昌來이고 監修者는 吳圭根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
    。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聯句) 등 운문의 각 구마다 원주로 저자를 표시한 경우, 각 구의 끝뿐 아니라 원주 뒤에도 사용하였다.
    , :인명, 지명, 관직명, 서명 등이 나열되어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에 없는 제목이나 본문 내용을 생성하였을 때 사용하였다.
       글의 저자가 문집의 저자와 다른 경우, 제목 옆에 저자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저본에서 작은 글씨로 구분된 按, 增 등의 글자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제목이나 원주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의 성격이 달라져 구분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였다.
    ▣ : 저본의 결자(缺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어떤 글자인지 알아볼 수 없는 마멸자(磨滅字)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 저본의 묵등(墨等 검게 칠해진 부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밑줄 :교감주, 난외주 등 원주를 제외한 주석의 대상이 되는 표제어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그림 :도식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도’로 표시하고, 소자(小字)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회화에 가까운 그림은 하단에 ‘삽화’로 표시하고 소자로 제목을 병기하였다.

Related anthoglogies

Anthology name Author Published year Age of writing DB
There are no related publications.


Article
Please double click if you need to see Image or Text.

Literary style
Filter articles by literary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