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崇仁, 1406, 陶隱集
    Koryŏ
    한국문집총간 제6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自編稿를 바탕으로 卞季良이 太宗의 명을 받아 초간한 뒤, 壬亂前에 간행된 重刊本이다.

  • 李景奭, 1700, 白軒集
    한국문집총간 제95~96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아들 우성(羽成) 등이 수집ㆍ편차하고 최석정(崔錫鼎)이 찬정한 정고본을, 손자 진양(眞養)이 1700년 운각활자(芸閣活字)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원집 권1 ~ 14는 시, 권15 ~ 53은 문인데, 이 중 권51 ~ 53은 별고(別稿)로 〈사감지희록(賜柑志喜錄)〉 등의…

  • 柳夢寅, 1832, 於于集
    한국문집총간 제63집 본 문집의 저본은 40여 책으로 간행된 초간본(初刊本)이 일실(佚失)된 뒤, 후손 금(琹) 등이 수집, 편차하여 1832년에 간행한 중간본(重刊本)으로, 원집6권 후집6권 합6책(622판)의 활자본이다. 후집(後集) 권6 말미에 부록(附錄)이 실려 있다.

  • 崔益鉉, 1909, 勉菴集
    Korean Empire
    한국문집총간 제325~326집

  • 崔錫鼎, 1721, 明谷集
    한국문집총간 제153~154집 본 문집은 저자의 아들 창대(昌大) 등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 편차한 것을 문인 경상도 관찰사 조태억(趙泰億)이 1721년 대구감영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으로, 34권 15책(1,435판)이다.

  • 金瑬, 1658, 北渚集
    한국문집총간 제79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손자 진표(震標)가 수집ㆍ편차하여 김상헌(金尙憲)의 찬정을 거쳐 1658년 간행한 초간본으로, 부록은 없다. 원집 9권ㆍ별집 합 3책(238판)의 목판본이다.

  • 申緯, 간행년도 미상, 警修堂全藁
    한국문집총간 제291집

  • 李裕元, 간행년도 미상, 嘉梧藁略
    한국문집총간 제315~316집

  • 河崙, 1940, 浩亭集
    한국문집총간 제6집 본 문집의 저본은 후손 鎭達이 1847년 木板으로 간행한 초간본과 후손 必奎의 蒐集本을 합편하여 1855년에 活字로 간행한 중간본을 바탕으로, 1940년 후손 涑이 증보ㆍ石印한 것이다. 저자의 시문 중에는 樂章ㆍ樂曲이 여러편 실려 있다.

  • 李德弘, 1752, 艮齋集
    한국문집총간 제51집 본 문집의 저본은, 원집은 후손 장진(長鎭) 등이 수집, 편차하여 1752년 활자로 인행(印行)한 초간본을 후손 상태(常泰)가 1766년 중간한 것이고, 속집은 1685년경 숙종의 명으로 간행된 사서(四書)ㆍ주역(周易)ㆍ심경질의(心經質疑) 등을 1829년 후손들이 교정하여 목판으로 간행한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