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吉再, 1858, 冶隱集
    한국문집총간 제7집 본 문집의 저본은 尹之亨이 1573년 善山에서 木板으로 초간한 뒤, 후손 光先 등의 증보ㆍ재편을 거쳐 1858년 후손 冕周가 續集과 함께 活字로 印行한 것이다. 言行拾遺에는 遺像ㆍ年譜 등이 포함되어 있고, 續集 卷上에 저자의 시문 약간편이 실려 있다.

  • 姜希孟, 1805, 私淑齋集
    한국문집총간 제1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10대손 주선(柱善) 등이 가전(家傳)된 寫本을 바탕으로 1805年 무장(茂長) 선운사(禪雲寺)에서 간행한 重刊本이다.

  • 柳希春, 1897, 眉巖集
    한국문집총간 제34집 본 문집의 저본은 1866년 사손(祀孫) 정식(廷植)이 간행한 중간본에 1897년 부록 약간을 활자로 인출(印出), 추보(追補)한 것으로, 권수(卷首), 원집 21권 합 10책(803판)의 목판본 및 활자추보본이다.

  • 金昌翕, 1732, 三淵集
    한국문집총간 제476~478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문인 유척기(兪拓基) 등이 산정, 편차하여 1732년에 초간한 원집에, 편집경위가 불분명한 습유를 합부한 것이다. 원집 36권, 습유 32권 합 34책(2,727판)으로 원집은 활자본이고 습유는 사본이다. 원집은 권1~16은 시, 권17~36은 문(文)이고, 습유 …

  • 李恒福, 1629, 白沙集
    한국문집총간 제6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문인 이현영(李顯英) 등이 수집, 편차하여 1629년 간행한 초간본(初刊本)으로, 원집6권 별집6권 부록 합10책(647판)의 목판본이다.

  • 李詹, 간행년도 미상, 雙梅堂篋藏集
    한국문집총간 제6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小畜이 편차ㆍ간행한 목판본의 殘卷(卷22~25)과 후손가에 傳存된 傳寫本(卷1~2)으로 되어 있다. 寫本은 年譜ㆍ詩이고 板本은 文으로서 이 가운데 假傳 작품도 실려 있다.

  • 蔡濟恭, 1824, 樊巖集
    한국문집총간 제235~236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문인 정약용(丁若鏞)ㆍ이가환(李家煥) 등이 교정하고 이정운(李鼎運)ㆍ최헌중(崔獻重)ㆍ한치응(韓致應)이 1800년 정조의 명에 따라 재편한 것을 아들 홍원(弘遠)이 저자의 문인 유태좌(柳台佐)등의 협조를 받아 1824년 안동에서 간행한 초간본의 후쇄본으로, 59권 2…

  • 奇正鎭, 1902, 蘆沙集
    한국문집총간 제310집

  • 李德馨, 1634, 漢陰文稿
    한국문집총간 제65집 본 문집의 저본은, 원집은 저자의 아들 여황(如璜)ㆍ여규(如圭)가 1634년 초간한 뒤 저자의 손(孫)ㆍ외손(外孫)들이 1668년 중간한 것이고, 연보와 부록은 1869년경 후손들이 간행한 것이다. 원집12권 연보 부록4권 합9책(607판)으로 원집은 목판본이고, 연보ㆍ부록은 활자본이다.

  • 洪奭周, 간행년도 미상, 淵泉集
    한국문집총간 제293~294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