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耔, 1754, 陰崖集
    한국문집총간 제21집 본 문집의 저본은 6대손 도흥(道興)이 가장 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종후손 이장(彝章)이 1754년 간행한 초간본이다.

  • 梁彭孫, 1840, 學圃集
    한국문집총간 제21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현손(玄孫)인 세남(世南)이 수집한 것을 12대손 집(楫)이 1840년 간행한 후, 누차에 걸쳐 증보ㆍ간행되고, 1942년에 후손이 화순(和順)의 월곡(月谷)에서 간행한 사간본이다.

  • 金安老, 간행년도 미상, 希樂堂稿
    한국문집총간 제21집 본 문집의 저본은 후손가에 전해온 괘인정사본(罫印淨寫本)으로 서사(書寫)경위는 불분명하다.

  • 趙光祖, 1681, 靜菴集
    한국문집총간 제2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선조때 왕명에 의해 유선록(儒先錄)이 간행된 후 1685년 이기주(李箕疇)ㆍ이선(李選)의 수집본 및 저자의 5대손 위수(渭叟)의 가장 초고를 바탕으로 박세채(朴世采)가 편집ㆍ간행한 영본(嶺本)과 위수가 1681년에 박세채의 편집 정고본을 재편ㆍ간행한 호본(湖本)을 가지고 양회연(梁…

  • 李迨, 1873, 月淵集
    한국문집총간 제2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5대손 만재(萬材)ㆍ주손(冑孫) 지복(之復) 등이 수집ㆍ편차한 후 10대손 장운(章雲)ㆍ11대손 종술(鍾述) 등이 기우집(騎牛集)과 함께 초간하고, 여기에 종술이 세계도(世系圖)를 추가하여 1910년에 간행한 중간본이다.

  • 申光漢, 1573, 企齋集
    한국문집총간 제22집 본 문집의 저본은 1573년경 해주에서 간행된 원ㆍ별집과 이후 추각된 문집 및 부록으로서 원ㆍ별집은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의 구장본(舊藏本)이다.

  • 金正國, 1591, 思齋集
    한국문집총간 제2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손 요립(堯立)이 1591년 영유(永柔)에서 간행한 초간본을 윤효선(尹孝先)이 1603년에 교정ㆍ보판한 후쇄본이다.

  • 金凈, 1549, 冲庵集
    한국문집총간 제2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당질 천우(天宇)가 1549년경에 수집하고 신광한(申光漢)이 편차한 정고본을 허백기(許伯琦)가 원집 및 외집으로 편집하여 1552년 공주에서 간행한 후, 저자의 증손 성발(聲發)이 원집에 외집을 편입하여 1636년 금산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중간본에, 9대손 성태(聖泰) 등이…

  • 蘇世讓, 1571, 陽谷集
    한국문집총간 제2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수(遂)가 수집ㆍ편차하여 1571년 곡산에서 간행한 초간본이다.

  • 韓忠, 1889, 松齋集
    한국문집총간 제23집 본 문집의 저본은 7대손 범세(範世)가 수집ㆍ편차한 정고본에 10대손 용익(用翼)이 관계기록을 증보하고 11대손 성리(星履)가 1889년에 간행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