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주사 정곤수 등이 북경에서 돌아오자 인견하고 중국 조정의 상황 인식을 논의하다.
진주사 지중추부사 정곤수(鄭崐壽), 서장관 직강(直講) 심우승(沈友勝)이 북경에서 돌아오니, 상이 편전에서 인견하는데 동부승지 심희수(沈喜壽)가 입시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진주한 일은 소원대로 되었는가?”
하니, 정곤수가…
-
좌의정 윤두수 등을 인견하고 송시랑과 이제독에 대해 묻고 군량 조달을 의논하다.
좌의정 윤두수(尹斗壽), 행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 우찬성 최황(崔滉), 공조판서 한응인(韓應寅),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 호조판서 이성중(李誠中), 이조판서 이산보(李山甫), 서천군(西川君) 정곤수(鄭崐壽), 판윤 이덕형(李德馨), 행 이조참판 구사맹…
-
이제독이 평양싸움에서 조선사람을 베어 수급을 바쳤다는 일을 해명하다.
중국의 이과급사(吏科給事) 양정란(楊廷蘭)이 상소하여 이제독(李提督)이 평양의 싸움에서 조선 사람을 잡아다 베어 수급을 바친 일을 논하자, 이제독이 글을 올려 스스로 해명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이 조선에 주둔하며 군사와 말을 휴양하여 기…
-
대신 ․ 비변사 ․ 삼사를 인견하여 왜를 공격할 일, 둔전 설치 등을 논의하다.
상이 행궁의 편전에 나아가 대신·비변사·삼사를 인견하였다. 상이 승지와 사관을 앞으로 나아오게 하고, 인하여 대신에게 이르기를,
“옛사람은 비록 작은 일일지라도 반드시 여러 사람에게 계책을 물어 의견이 일치된 다음에도 점을 쳐서 귀…
-
병부급사중 전대익이 이여송과 송응창이 중국 황제에게 왜적을 막아내는데 전공이 있음을 내세우는 것에 대해 비판하다.
병부급사중(兵部給事中) 전대익(田大益)이 올린 ‘교만하고 야비한 무부가 성지를 무시하고 망령되이 주달한 것은 신하로서의 예의가 없는 행동이니, 삼가 성명께서는 엄한 유시를 내리시어 이를 재억해서 나라의 체모를 보존하시기 바란다.’ 는 일로 주본을 올렸는데, 주…
-
홍계준의 주본에 봉공을 허락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을 적다.
예부 주객 청리사 제독 회동관 주사 홍계준(洪啓濬)의 주본에,
“우유부단한 신하가 나라를 그르쳐 남모르는 근심이 깊으므로 건단을 내려서 전비에 대한 지칙을 신명하여 치안을 견고히 하기를 간절히 빕니다. 신은 전객의 직을 맡고서 모든 사이의 공헌에 대하여…
-
상이 석성이 탄핵받은 사실과 부산에 머물러 있던 왜적을 엄폐하였음을 논의하다.
상이 별전에 나아가 ≪주역(周易)≫을 강하였디. 상이 이르기를,
“‘왕공이 요새를 설치하여 그 나라를 지킨다.’ 고 하였으니, 적을 방어하는 계책은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서변 호참(壕塹)은 웃음거리가 될 뿐으…
-
상이 진동지와 유격 양만금을 접견하다.
상이 진동지(陳同知)의【이름은 진등(陳登)이고 하간(河間) 사람으로 군량을 주관하였다.】하처에 나아가 접견례를 행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중국에서 재차 군사와 양식을 조발하여 구원해 주니 황제의 은혜가 망극하외다. 대인이 소방의 일로 먼 길에 수고하시…
-
총독사 윤승훈이 마초와 군량 수송 ․ 보호에 대해 급히 아뢰다.
총독사(摠督使) 분사헌부대사헌(分司憲府大司憲) 윤승훈(尹承勳)이 치계하였다.
“신이 총독의 직임을 받았는데 경리(經理)의 분부에는 매번 각로의 마초와 군량을 총독하라 책임지우면서도 한 군영에 차임하여 배신을 근수하면서 좌로의 마초와 군량을 전적으로 관리…
-
상이 호택의 관소에 거둥하다.
상이 이어 호의【호택(胡沢)】 관소에 거둥하였다.【호택은 전일 참장으로 있을 때 심유경(沈惟敬)과 강화를 강력히 주장한 자이다.】주례를 행한 뒤에 호택이 말하기를,
“제가 성안에 들어온 뒤에 예의상 마땅히 먼저 인사를 드렸어야 하는데 현재 효복(孝服)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