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Sort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9년 (1437)
    조운 때에 왜인의 노략질에 대비할 것을 명하다.
    경상도․전라도의 감사에게 전지하기를, “요사이 들으니 대마도가 전혀 농업을 잃었고, 또 화재를 당하였으며, 게다가 병란의 근심이 있다고 하니 장래가 염려되어, 무략이 있는 자를 뽑아 변임(邊任)을 제수하여 불우의 변에 대비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겨울부…
    #경상도 #전라도 #대마도 #내이포 #왜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9년 (1437)
    경상도에 정박한 굶주린 왜인들을 구휼하게 하다.
    의정부에서 아뢰기를, “경상도의 각 포에 와서 정박한 굶주린 왜인들을 구휼하지 않을 수 없으니, 마땅히 말이나 되의 곡식을 주어서 본토로 돌아가도록 재촉하고, 또 굶주린 왜인의 배가 끊이지 않고 왕래하여, 전라도의 조선(漕船)을 김해 ․ …
    #경상도 #전라도 #김해 #양산 #진주 #사천 #고성 #남강 #낙동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19년 (1437)
    전라도 해산 등지에 관리를 두게 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전라도 진도(珍島)는 땅이 넓고 기름져서 해진(海珍) ․ 영암(靈巖) ․ 장흥(長興) ․ 강진(康津) 등 고을의 인민들이 바다를 건너서 사는 자가 많은데, 관할하는 관리가 있지 아니하니 실로 적당하지 못하옵니다. 본도…
    #전라도 #진도 #해진 #영암 #장흥 #강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남도포 만호로 칭호를 고치다.
    의정부에서 병조의 정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전라도 주량(周梁)에 있던 병선을 지금 남도포(南桃浦)로 옮겼으니, 남도포 만호라고 칭호를 고치도록 청합니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전라도 #주량 #남도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의정부에서 진도군의 수군 운영에 대해 아뢰다.
    의정부에서 병조 정문에 의하여 아뢰기를, “전라도 진도군(珍島郡)은 사면에 큰 바다가 둘러 있고 왜적들의 초입지로서 요해지가 많이 있사오니, 병선(兵船)이 없는 요해지에는 비거도선(鼻居刀船)을 만들고, 도내의 각색 군정(軍丁)과 공…
    #전라도 #진도군 #왜적 #비거도선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조말생을 삼도도순문사로 삼아 각 고을의 성보를 심정하게 하다.
    판중추원사 조말생(趙末生)으로 경상․전라․충청 삼도도순문사(三道都巡問使)를 삼아, 각 고을의 성보를 심정하게 하였다.
    #조말생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전라도 감사가 유이민의 송환문제를 지역별로 나누어 아뢰다.
    전라도 감사가 아뢰기를, “이제 남원부(南原府)에서 조사 색출한 유이하는 백성의 수효가 1,100여 호에 달합니다. 1개 읍에서 조사 색출한 것이 이와 같으니, 각도에 유우(流寓)해 있는 인명수는 무려 만으로 숫자를 헤아리게 될 것입니다. 대저 서민들이…
    #전라도 #남원부 #강원도 #고려 #왜란 #왜적 #함길도 #평안도 #평강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최윤덕이 면천산성보다 서천성을 먼저 쌓을 것을 상언하다.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최윤덕(崔閏德)이 상언하기를, “이제 면천산성(沔川山城)은 그 내부가 험하고 또 크다는 이유로 읍성으로 개축하고 있습니다. 대저 면천 밖에는 좌도도만호(左道都萬戶), 파지도만호(波知島萬戶), 탄지도만호(灘知島萬戶), 대진만호(大津…
    #최윤덕 #면천산성 #면천 #태안 #서산 #당진 #서천 #황희 #조말생 #면천읍성 #허조 #신개 #충청도 #전라도 #비인 #남포 #홍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0년 (1438)
    만호 ․ 천호 등에게 병선을 가볍게 움직이지 못하게 하다.
    의정부에서 아뢰기를, “대체로 수륙의 방어는 국경을 굳게 지키고 멀리 나가는 것을 힘쓰지 아니하면, 공을 세우려다 백성을 상하게 하는 근심이 없을 것이옵니다. 국가에서 처음 병선을 만들어 요해지에 정박하게 하고자 함은 구적을 막을 …
    #전라도 #구사경 #왜적 #방희경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21년 (1439)
    조지소에서 왜닥씨를 태안 ․ 진도 ․ 남해 ․ 하동에 나누어 심게 할 것을 아뢰다.
    조지소(造紙所)에서 아뢰기를, “강화(江華)에 심은 왜닥 씨[倭楮種]를 바다 기운이 서로 연해 있는 충청도의 태안(泰安), 전라도의 진도(珍島), 경상도의 남해(南海) ․ 하동(河東)에 나누어 심게 하옵소서.” 하니, 그대로…
    #강화 #충청도 #태안 #전라도 #진도 #경상도 #남해 #하동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5678910Next PageLast Page총 933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