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안신이 왜구를 막을 병선을 제조할 것을 상소하다.
병조 참의 박안신(朴安臣)이 상서하기를,
“나라를 위하는 도리는 오직 마땅히 지난 일을 거울삼아 뒷일을 염려하여, 그 장구히 다스려지고 오래 편안하기를 도모하는 데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이고 왜도(倭島)와 심히 가까와서, 예전 삼국시대에 있어…
-
원친중 ․ 원지직 등이 토의를 바치다.
원친중(源親重)이 보낸 정지(正持) 등 3인과 원지직(源指直)이 보낸 연정(連淨)등 5인과 야인의 지휘(指揮) 파이태(波伊太) 등 3인과 오간주(五看主) 등 2인이 와서 토의를 바쳤다.
-
윤참관 이조판서 박안신이 소나무를 베는 것을 막아 배를 만드는 재목으로 쓸 수 있도록 할 것을 청하다.
왕세자가 서연에서 강하는데, 윤참관(輪參官) 이조판서 박안신(朴安臣)이 아뢰기를,
“역대로 왜구(倭寇)가 변방을 침범한 것이 간책(簡冊)에 갖추어 실려 있음은 성감(聖鑑)으로도 이미 밝게 아시는 것이옵니다. 다만 국가가 승평한 지 오래 되어 왜적(倭賊)…
-
전라도 관찰사 황신이 관아를 버리고 도망한 수령들에 관해 보고하다.
전라도관찰사 황신(黃愼)이 장계하기를,
“도내에 관아를 버리고 도망한 수령들이 많지만 선후와 원근의 차등이 없지는 않습니다. 길이 막혀 소식이 불통하므로 근처에 있는 각 고을만 우선 소문에 의해 기록해서 아뢰고, 나머지 각 고을 수령들은 뒤에 듣고 보는…
-
관아를 버리고 도피한 수령들을 등급을 달리하여 처벌하기로 하다.
비변사가 회계하기를,
“관아를 버리고 도피한 수령에 대해, 대의로 말한다면 봉강(封疆)을 맡은 신하는 봉강에서 죽어야 하니 적병이 핍근해 오더라도 죽음으로써 관아를 지키는 것이 바로 그들의 직분인데 이제 남보다 뒤질세라 도망하였으니…
-
각도의 체찰사 ․ 도원수 ․ 병사 ․ 수사에게 선참 후계의 권한을 주자고 정언 이이첨이 건의하다.
정언 이이첨(李爾瞻)【사간은 이상신(李尙信)이고 정언은 조즙(趙濈)이다.】이 와서 아뢰기를,
“오늘날 흉적이 가득하게 된 것은 오로지 군법이 해이한 데에서 연유한 것입니다. 변란 이후로 죄를 범한 자들이 모두 정당한 형벌을 받았다면 사람들이 반드시 죽음…
-
비변사에서 도망친 수령들의 정상참작, 재기용 등에 대해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도망친 수령들에 대한 일을 비변사에 일러서 의논하여 아뢰라는 일로 전교하셨습니다. 이번에 도망친 수령들에 대해서 신들이 의금부 당상과 함께 의논하여 자세히 참작해 보니, 그들이 발명한 원정(元情)은 각기 같지 …
-
의금부에서 도망친 수령의 자세한 사정 및 그 대책을 아뢰다.
의금부가 아뢰기를,
“도망친 수령들에 대해 전일 본부가 조사하여 입계했을 때, 전 연산현감(連山縣監) 이계남(李桂男), 전 공주판관(公州判官) 이함휘(李含輝), 전 서천군수(舒訓郡守) 한술(韓述) 등은 먼저 분간을 함이 옳을 듯하다…
-
당 현종의 고사를 들며 왜환을 염려하다.
석강(夕講)에 나아갔다. ≪대학연의(大學衍義)≫를 강하다가, ‘당나라 현종이 양신긍(楊愼矜)으로 대부(大府)의 출납을 맡게 하니, 신긍이 아뢰기를, 「여러 고을에서 바친 포백이 찌들어서 파손된 것이 있으니, 본 고을에 돌려보내어 절고전(折估錢)을 받고 저자에 …
-
전함을 만들어 왜구를 막은 고 판개성부사 정지의 집을 정표하다.
전라도 도관찰사 조박(趙璞)이 도평의사사에서 보고하였다.
“전라도 경내에 들어와서 노인들의 말을 들으니, 죽은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정지(鄭地)가 처음으로 전함을 만들어서 능히 왜구를 막아내었으되 장포(長浦)의 승리와 남원(南原)의 승첩에 그 공이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