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By most recent record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7년 (1476)
    대마도선위사 김자정이 견문 내용을 치계하다.
    대마도선위사(對馬島宣慰使) 김자정(金自貞)이 보고 들은 사건을 치계한 것은 이러하였다. “5월 초2일 평명(平明)에 신이 왜중추(倭中樞) 평무속(平茂續) · 첨지(僉知) 피고여문(皮古汝文) · 호군(護軍) 원무기(源茂崎) · 특송(特送) 조국차(助國次)…
    #대마도선위사 #김자정 #왜중추 #평무속 #피고여문 #원무기 #조국차 #지세포 #대마도 #사수나포 #좌수나대관 #피고파지 #종국차 #야음비도포 #종성준 #하정 #완우라포 #왜선 #도이사지 #이신도마리포 #종정수 #종상야수 #종직가 #수미요시포 #훈라포 #종성홍 #조전언팔 #하가이세수 #조선 #비주 #축주 #중국 #일본국 #하이세수 #구전포 #중원삼하수 #국분사주지 #숭목 #숭감 #구난도로 #입석우경량국장 #삼포 #고하가차 #하야이세수 #정수 #선위사 #서유산 #적왜 #삼보라 #서울 #종무승 #허득강 #이영손 #국장 #제포 #부산포 #염포 #경상도 #전라제도 #함안진 #윤자평 #남해현 #금산 #경도 #다난쇄모 #종마다이난 #사두여문 #도소지 #진성행 #시난쇄모 #교지 #난연도로 #원실차 #도여문 #등희구 #노구쇄모 #가차 #신여문 #원길 #위행 #진등지 #충길 #지평 #삼보라여모 #가문로수계 #사문로수계 #죽본변사야문 #종무세 #사동고라 #일본국왕 #김사지 #일기주 #삼보랑대랑 #약적주 #이마두참 #사가모도참 #박다 #일기 #통신사 #소유 #풍전주 #소이전 #대내전 #종직성 #종국구 #고성 #수연도로 #전산우위문독의취 #미장수 #정장 #세천우경대부승원 #산명좌위문독입도교풍 #세천 #산명 #산명입도 #세천우경대부 #탄정소필연 #일색우경대부 #대내신개정홍 #금출천전 #관동 #오륙 #진경 #합포 #외빈 #좌무위의민 #전산미장수 #전산의승 #좌좌목대선대부 #내도돈교지 #구주 #전산 #대내 #오도 #송포 #오도우구수 #국지 #종금지 #삼미삼보라 #전산전 #세견선 #김호인 #종성가 #국분사 #도서 #석야장견 #팔랑좌위문 #종대선 #종직속 #이세수 #사연나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6년 (1475)
    동부승지 임사홍이 신위문의 사송 문제에 관해 아뢰다.
    주강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동부승지(同副承旨) 임사홍(任士洪)이 아뢰기를, “구례의 별하정(別下程)은, 대신과 거추(巨酋)의 사송이면 3차로 하고, 원교직(源敎直)과 종정국(宗貞國)의 특송이면 2차로 하게 되어 있는데, 지난번 종직가(宗職家)의…
    #임사홍 #원교직 #종정국 #종직가 #종성가 #신위문 #이승소 #신정승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4년 (1473)
    일본의 등희구 ․ 원정 ․ 원길 ․ 종언팔랑무세 등이 사람을 보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살주(薩州) 이집원우진(伊集院寓鎭) 우주태수(隅州太守) 등희구(藤熙久), 일기주대관(一岐州代官) 목산십랑(牧山十郞) 원정(源正), 비전주(肥前州) 하송포(下松浦) 산성태수(山城太守) 원길(源吉), 관서로(關西路) 구주시소(九州侍所) 종언팔랑무세(宗彦八郞…
    #일본국 #살주 #우주태수 #등희구 #일기주대관 #원정 #비전주 #하송포 #산성태수 #원길 #관서로 #구주시소 #대마주 #종정수 #인위군 #신농수 #종성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4년 (1473)
    일본국 대마주의 종정수 ․ 인위군의 종성가 ․ 일기주의 원무가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對馬州) 종정수(宗貞秀), 인위군(仁位郡) 신농수(信濃守) 종성가(宗盛家), 일기주(一岐州) 수호대관(守護代官) 진궁(眞弓) 병부소부(兵部少部) 원무(源武)가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물을 바쳤다.
    #일본국 #대마주 #종정수 #인위군 #신농수 #종성가 #일기주 #원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4년 (1473)
    일본국의 정성 ․ 종언팔랑무세 ․ 종성가 ․ 원납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장문주(長門州) 삼도위(三島衛) 정성(貞成), 관서로(關西路) 구주시소(九州侍所) 종언팔랑무세(宗彦八郞茂世), 대마주(對馬州) 인위군(仁位郡) 신농수(信濃守) 종성가(宗盛家), 비전주(肥前州) 상송포(上松浦) 파다도(波多島) 원납(源納)이 사람을 보내 …
    #일본국 #장문주 #삼도위 #정성 #관서로 #구주시소 #대마주 #인위군 #신농수 #종성가 #비전주 #상송포 #파다도 #원납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4년 (1473)
    일본국 대마주 태수종정국 등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국(宗貞國), 인위군(仁位郡) 신농수(信濃守) 종성가(宗成家)가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의를 바쳤다.
    #일본국 #대마주태수 #종정국 #인위군 #신농수 #종성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4년 (1473)
    일본국에서 사람을 보내 와서 토의를 바치다.
    일본국 비전주(肥前州) 상송포(上松浦) 호자(呼子) 일기수(一岐守) 원의(源義), 상송포(上松浦) 압타(鴨打) 원영(源永), 상송포 나구야(那久野) 능등수(能登守) 뇌영(賴永), 관서로(關西路) 비축통수(肥筑通守) 위방(爲邦),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국…
    #일본국 #비전주 #상송포 #호자 #일기수 #원의 #압타 #원영 #나구야 #능등수 #뇌영 #관서로 #비축통수 #위방 #대마주태수 #종정국 #인위군 #신농수 #종성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4년 (1473)
    일본국 대마주태수 종정국 등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국(宗貞國), 인위군(仁位郡)의 신농수(信濃守) 종성가(宗盛家), 살마주(薩摩州)의 도진(島津) 등원지구(藤源持久), 비전주(肥前州) 하송포(下松浦)의 오도우구수(五島宇久守) 원승(源勝), 상송포(上松浦)의 좌지(佐志) 원차랑…
    #일본국 #대마주태수 #종정국 #인위군 #신농수 #종성가 #살마주 #도진 #등원지구 #비전주 #하송포 #오도우구수 #원승 #상송포 #좌지 #원차랑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4년 (1473)
    일본국 대마주태수 종정국 등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태수(對馬州太守) 종정국(宗貞國)과 인위군(仁位郡)의 신농수(信濃守) 종성가(宗盛家)가 사람을 보내 와서 토의를 바쳤다.
    #일본국 #대마주태수 #종정국 #인위군 #신농수 #종성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
    성종 3년 (1472)
    일본국 대마주 신농수 종성가가 토의를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對馬州) 인위군(仁位郡) 신농수(信濃守) 종성가(宗盛家)가 사람을 보내어 와서 토의를 바쳤다.
    #일본국 #대마주 #인위군 #신농수 #종성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567Next PageLast Page총 68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