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MKSDB / DB / 한일관계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Historical Materials

Article 19,598 Korean Studies Content 453 View with Viewer
Sort
By most recent record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4년 (1422)
    전판한성부사 최용소의 졸기.
    전판한성부사(前判漢城府事) 최용소(崔龍蘇)가 졸하였다. 용소는 강화 사람이니, 처음에 의릉(毅陵)의 능지기에 임명되었다가, 여러 번 벼슬을 옮겨 감찰규정(監察糾正)에 이르러 계림판관(鷄林判官)을 제수하였다. 사람됨이 청렴하고 근신하고 강개하여 치정이 여러 고을…
    #최용소 #강화 #구주절도사 #원요준 #보빙사 #피로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구주총관 원도진이 서신을 보내 종을 청구하고, 준주 태수 원성이 예물을 바치다.
    일본국의 전구주총관(前九州摠管) 원도진(源道鎭)이 예조에 서신을 보내어 피로인을 돌려준 데 대하여 사례하고 겸해 사종(寺鍾)을 청구하였다. 인하여 유황 5,000근, 단목 500근, 감초 50근, 서각(犀角) 2본, 화자주기(花磁酒器) 2개, 상아로 만든 약그…
    #일본국 #전구주총관 #원도진 #피로인 #김여지 #준주태수 #원성 #성염조 #비주태수 #원창청 #유연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5년 (1426)
    일본국왕의 사신 규주 ․ 범령 등 135명이 토의를 바치다.
    일본국왕의 사신 규주(圭籌)․범령(梵齡)과 도선주(都船主) 구준(久俊) 등 135인이 대궐에 나아가서 토의를 바치니, 임금이 인정전에 나아가서 예를 받은 뒤에, 규주와 범령은 대궐 안에 들어오도록 명하고, 구준은 대궐 밖에 있도록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
    #일본국왕 #규주 #범령 #구준 #피로인 #회례사 #대장경판 #밀교대장경판 #주화엄경판 #한자대장경 #일본 #도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세종 6년 (1424)
    대마도 좌위문대랑이 피로인 1명을 돌려 보내다.
    대마도 좌위문대랑(左衛門大郞)이 사람을 보내어 피로인 1명을 돌려보내고 이내 방물을 바치니, 면포를 회사하였다.
    #대마도 #좌위문대랑 #피로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중종 7년 (1512)
    일본국왕이 붕중을 시켜 화친을 청하게 하다.
    일본국왕이 대마도주에게 신칙하여 경오년 반란 때의 왜적(倭賊)을 베어, 붕중(弸中)을 시켜 머리를 함에 담아 와서 바치고 화친을 청하게 하였다. 처음에 홍문관(弘文館)이 상소하기를, “웅천(熊川) 제포(薺浦)의 치욕을 아직 통쾌하게 씻지 못하였는데, 지…
    #일본국왕 #대마도주 #왜적 #붕중 #웅천 #제포 #유순정 #성희안 #송일 #이손 #김응기 #신용개 #장순손 #이점 #박열 #조계상 #성세순 #안윤손 #최한홍 #윤희손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왜변 #대마도 #세사미 #세견선 #특송선 #수직인 #수도서인 #이희맹 #이사균 #김세필 #김극핍 #조순 #박소영 #도서 #종성친 #김안국 #삼포 #경세창 #한효원 #김양진 #소세량 #유중익 #왜노 #영남 #피로인 #권민수 #이자화 #신상 #성운 #박상 #홍언필 #김영 #권벌 #소세양 #유돈 #이청 #세종 #비인현 #태종 #유정현 #이우 #유인숙 #조한필 #정응린 #이정호 #박우 #정구 #성몽정 #호전 #서한 #흉노 #왜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중종 7년 (1512)
    조강에서 붕중과 성친의 일을 논의하다.
    조강에 나아갔다. …… 지사 김응기(金應箕)가 아뢰기를, …… 또 아뢰기를, “붕중(弸中)이 온 지가 오랜데, 지금 조정의 의논이 일치하지 않으니, 그를 접대할 때에 응대할 말을 미리 정하여야 하겠습니다. 성친(盛親)이 반란…
    #김응기 #붕중 #도서 #한 #고조 #백등 #대마도 #신숙주 #성종 #성희안 #수 #양제 #고구려 #안주 #살수 #종성친 #김세필 #흉노 #진 #오왕 #당 #피로인 #함경도 #경상도 #김세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중종 7년 (1512)
    압연관 우의정 성희안 등이 붕중의 화친에 대해 의견을 말하다.
    압연관(押宴官) 우의정 성희안·예조판서 신용개(申用漑)·참판 황맹헌(黃孟獻) 등이 아뢰기를, “신 등이 잔치를 대접할 때에 전교하신 분부에 따라 ‘화친을 허락할 수 없다.' 는 뜻으로 타일렀더니, 붕중(弸中)이 말하기를 ‘만일 화친을 허락하지 않으려면,…
    #성희안 #신용개 #황맹헌 #붕중 #종무신 #대마도 #일본 #피로인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중종 7년 (1512)
    압연관 송일 등이 잔치에서 붕중 등이 한 말을 전하다.
    압연관(押宴官) 송일(宋軼)·예조판서 신용개(申用漑)·참판 황맹헌(黃孟獻) 등이 아뢰기를, “어제 처음 잔치가 시작되자 먼저 선온을 내리고서 ‘상께서 한재를 당하여 친히 접견하지 못한다.’ 는 뜻을 전달하니, 붕중(弸中) 등의 하는 말이 한 가지가 아니…
    #송일 #신용개 #황맹헌 #붕중 #국행 #종성친 #대마도 #피로인 #제포 #김세균 #대마도주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중종 7년 (1512)
    우의정 성희안 등이 붕중의 편지를 가지고 들어와서 대책을 의논하다.
    우의정 성희안·예조판서 신용개(申用漑) 등이 붕중의 서계를 가지고 입계하기를, “붕중이 ‘자기는 객관에 머무르고, 도선주(都船主)를 대마도에 보내어 종성친(宗盛親)으로 하여금 와서 사죄하게 한 뒤에 화친을 청하겠다.’ 고 하니, 이는 나라의 위엄이 매우…
    #성희안 #신용개 #붕중 #대마도 #종성친 #박계봉 #일본국왕 #유순정 #피로인 #국행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조선왕조실록선조수정실록
    선수 40년 (1607)
    회답사에 쇄환사를 겸칭하도록 명하다.
    회답사에 쇄환사를 겸칭하도록 명하였다. 여우길(呂祐吉) 등이 떠난 후에 비변사가 아뢰기를, “삼가 전후 성교를 보건대 사신의 행차에 우리나라 피로인들을 모두 쇄환코자 한다 하였습니다. 무릇 이를 보고 듣는 자로서 누군들 감격치 않겠습니까. 구구하게 이런…
    #회답사 #쇄환사 #여우길 #피로인 #회답겸쇄환사 #중국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Next PageLast Page총 37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