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왕우왕 6년(1380) 경신년우왕 6년(1380) 경신년정월 초하루 계사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 장씨를 참형에 처한 후 그 머리를 개경으로 보냈다. ○ 우상시(右常侍) 박영충(朴永忠) 박영충(?~?) 시승(寺丞)을 지낸 죽산 박씨(竹山朴氏) 박문요(朴文瑤)의 아들로, 우왕~조선…#참형 #개경 #우상시 #박영충 #공주도병마사 #예의판서 #황보림 #전라도병마사 #안동원수 #박수경 #경상도도순문사 #영녕군 #북원 #우왕 #남산 #이무방 #배언 #등주 #요동 #요동 도사 #성부 #대관 #중서성 #예부상서 #시라문 #직성사인 #대도려 #태위 #왜적 #영선현 #나하추 #판사 #최단 #부정 #안천길 #서북면 #문하평리 #박진로 #경렬 #보성군 #부유현 #홍인계 #강계원수 #최원지 #이성안무사 #순천 #송광사 #백안교 #최영 #한방언 #안주도원수 #밀직부사 #문천식 #광주 #능성현 #화순현 #원수 #최공철 #김용휘 #이원계 #김사혁 #정지 #오언 #민백훤 #왕승보 #도흥 #전라도 #윤환 #문하시중 #숭경윤 #주의 #조빙 #손내시 #김의 #연원사 #심덕부 #입조 #명나라 #유순 #한양도 도병마사 #한양윤 #해도 도통사 #삼사좌사 #조인벽 #강릉도 상원수 #석전 #지신사 #이존성 #내수 #단오 #결성 #홍주 #우대언 #서균형 #국자감시 #영삼사사 #동․서강 #사헌부 #서연 #과거 #이문화 #이림 #전라도 조전원수 #양광도 도순문사 #안익 #도진무 #전리판서 #양광도 조전원수 #정읍현 #지용기 #보평청 #삼사우사 #석문성 #임견미 #임치 #개성윤 #권호 #전옥서령 #김덕생 #검교 #고신 #교수형 #신주감무 #신영을 #국신녹사 #전법사 #전라도 원수 #명량향 #전법판서 #권계용 #전라도 찰리사 #판전농시사 #황희석 #체복사 #환관 #이득분 #서주 #부여현 #정산현 #운제현 #고산현 #유성현 #계룡산 #양광도 원수 #청양 #신풍 #홍산 #금주 #옥주 #함열현 #풍제현 #가은현 #양산사 #순흥 #이인임 #해도원수 #나세 #최무선 #김실 #수성원수 #목촌 #현릉 #근비 #왕창 #공주 #진포 #임천 #황간 #어모 #중모 #화녕 #공성 #청리 #상주 #선주 #창성군 #사자 #양광도 #서해도 #계품사 #도당 #요양 #천계사 #중관 #상보감승 #최안 #동이 #세공 #교위 #내사 #경산부 #신곡부곡 #함양 #상호군 #문달한 #배극렴 #경상도 도순문사 #운봉현 #밀직사 #유수 #유영 #태조 #운봉 #지리산 #서경도부원수 #불일사 #김해부 #좌사의 #백군녕 #장상 #경연 #좌사 #우사 #한창읍왕 #왕길 #하후승 #승지 #금적사 #안길상 #중랑장 #방지용 #일본 #탐제장군 #오랑병위 #황병사동 #밀직 #이종덕 #문하찬성사 #권중화 #이해 #요심 #통감
-
우왕우왕 6년(1380) 경신년우왕 6년(1380) 경신년六年 正月 癸巳朔 放朝賀. 斬張氏, 傳首于京. 以右常侍朴永忠爲公州道兵馬使, 禮儀判書皇甫琳爲全羅道兵馬使, 以安東元帥朴修敬爲慶尙道都巡問使. 永寧君王彬齎詔, 還自北元. 禑馳馬于男山. 二月 李茂方․裴彦, 至登州而還. 茂方等至遼東, 都司奏省府, 臺官欽奉…#참형 #개경 #우상시 #박영충 #공주도병마사 #예의판서 #황보림 #전라도병마사 #안동원수 #박수경 #경상도도순문사 #영녕군 #북원 #우왕 #남산 #이무방 #배언 #등주 #요동 #요동 도사 #성부 #대관 #중서성 #예부상서 #시라문 #직성사인 #대도려 #태위 #왜적 #영선현 #나하추 #판사 #최단 #부정 #안천길 #서북면 #문하평리 #박진로 #경렬 #보성군 #부유현 #홍인계 #강계원수 #최원지 #이성안무사 #순천 #송광사 #백안교 #최영 #한방언 #안주도원수 #밀직부사 #문천식 #광주 #능성현 #화순현 #원수 #최공철 #김용휘 #이원계 #김사혁 #정지 #오언 #민백훤 #왕승보 #도흥 #전라도 #윤환 #문하시중 #숭경윤 #주의 #조빙 #손내시 #김의 #연원사 #심덕부 #입조 #명나라 #유순 #한양도 도병마사 #한양윤 #해도 도통사 #삼사좌사 #조인벽 #강릉도 상원수 #석전 #지신사 #이존성 #내수 #단오 #결성 #홍주 #우대언 #서균형 #국자감시 #영삼사사 #동․서강 #사헌부 #서연 #과거 #이문화 #이림 #전라도 조전원수 #양광도 도순문사 #안익 #도진무 #전리판서 #양광도 조전원수 #정읍현 #지용기 #보평청 #삼사우사 #석문성 #임견미 #임치 #개성윤 #권호 #전옥서령 #김덕생 #검교 #고신 #교수형 #신주감무 #신영을 #국신녹사 #전법사 #전라도 원수 #명량향 #전법판서 #권계용 #전라도 찰리사 #판전농시사 #황희석 #체복사 #환관 #이득분 #서주 #부여현 #정산현 #운제현 #고산현 #유성현 #계룡산 #양광도 원수 #청양 #신풍 #홍산 #금주 #옥주 #함열현 #풍제현 #가은현 #양산사 #순흥 #이인임 #해도원수 #나세 #최무선 #김실 #수성원수 #목촌 #현릉 #근비 #왕창 #공주 #진포 #임천 #황간 #어모 #중모 #화녕 #공성 #청리 #상주 #선주 #창성군 #사자 #양광도 #서해도 #계품사 #도당 #요양 #천계사 #중관 #상보감승 #최안 #동이 #세공 #교위 #내사 #경산부 #신곡부곡 #함양 #상호군 #문달한 #배극렴 #경상도 도순문사 #운봉현 #밀직사 #유수 #유영 #태조 #운봉 #지리산 #서경도부원수 #불일사 #김해부 #좌사의 #백군녕 #장상 #경연 #좌사 #우사 #한창읍왕 #왕길 #하후승 #승지 #금적사 #안길상 #중랑장 #방지용 #일본 #탐제장군 #오랑병위 #황병사동 #밀직 #이종덕 #문하찬성사 #권중화 #이해 #요심 #통감
-
종실(宗室)충혜왕(忠惠王) 왕자충혜왕忠惠王 왕자충혜왕은 아들이 한 명이니, 은천옹주(銀川翁主) 임씨(林氏)가 석기(釋器)를 낳았다. 1. 석기(釋器) 석기 석기(?~?) 충혜왕과 은천옹주(銀川翁主) 임씨(林氏) 사이에서 태난 서자로, 충정왕이 만덕사(萬德寺)로 출가…#충혜왕 #은천옹주 #석기 #충정왕 #만덕사 #호군 #임중보 #반역 #순군 #공사 #정승 #손수경 #밀직 #홍준 #감찰대부 #손용 #황숙경 #전교령 #정세공 #이대년 #강부카 #판사 #홍계 #김성 #내원승 #박란 #전우상 #대관 #감찰대 #옥관 #찬성사 #강윤충 #동래현령 #한성윤 #홍중원 #설기종 #강찬 #장만림 #주운 #제주 #이안 #정보 #서북면 도순문사 #전녹생 #평양부 #경복흥 #임견미 #서해도 도순문사 #김유 #개경 #임신 #김체 #서천길 #단양대군 #수정사 #김광수 #김옥경 #최흑려 #이인 #안협 #백성 #백언린 #이인임 #목인길 #밀직부사 #조인벽 #영준 #토산 #우왕 #평양 #최영 #중사 #최인철 #안장 딸린 말 #정양보 #목사 #이구 #순위부 #안협현 #재추 #평리 #양백익 #계룡산
-
제신(諸臣)문달한(文達漢)문달한文達漢문달한(文達漢) 문달한(?~1392) 본관은 남평(南平)(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이고 증조는 문윤실(文允實)이고 조부는 문구(文球)이다. 부친은 문경(文璟)으로 공민왕 때 대부경(大府卿)을 역임하였다.박용운, 『고려사회와 문벌귀족가문』, 경인문화사, 2…
-
종실(宗室)충혜왕(忠惠王) 왕자충혜왕忠惠王 왕자忠惠王, 一子, 銀川翁主林氏, 生釋器. 釋器, 忠定祝髮, 置萬德寺. 恭愍時, 元將召釋器, 王聞之, 遂召還. 五年, 王聞前護軍林仲甫欲奉釋器, 潜啚不軌, 囚巡軍按治, 辭連前政丞孫守卿, 前密直洪峻, 監察大…#충혜왕 #은천옹주 #석기 #충정왕 #만덕사 #호군 #임중보 #반역 #순군 #공사 #정승 #손수경 #밀직 #홍준 #감찰대부 #손용 #황숙경 #전교령 #정세공 #이대년 #강부카 #판사 #홍계 #김성 #내원승 #박란 #전우상 #대관 #감찰대 #옥관 #찬성사 #강윤충 #동래현령 #한성윤 #홍중원 #설기종 #강찬 #장만림 #주운 #제주 #이안 #정보 #서북면 도순문사 #전녹생 #평양부 #경복흥 #임견미 #서해도 도순문사 #김유 #개경 #임신 #김체 #서천길 #단양대군 #수정사 #김광수 #김옥경 #최흑려 #이인 #안협 #백성 #백언린 #이인임 #목인길 #밀직부사 #조인벽 #영준 #토산 #우왕 #평양 #최영 #중사 #최인철 #안장 딸린 말 #정양보 #목사 #이구 #순위부 #안협현 #재추 #평리 #양백익 #계룡산
-
제신(諸臣)문달한(文達漢)문달한文達漢文達漢, 平章事克謙六世孫也. 辛禑時, 授大護軍, 累遷同知密直司事, 賜推誠翊祚功臣號. 進知門下事, 轉評理. 出爲楊廣慶尙道都體察使, 禑命之曰, “往察將帥勤怠, 士卒强弱, 其有逗遛不進者, 元帥則囚以待命, 餘皆直斷.” 時倭賊千餘人, 陷沃州․保寧等縣, 遂入開泰寺, 據雞…
-
公州본래 백제의 웅천(熊川)으로 문주왕이 한성(漢城)에서 옮겨와 도읍하였다가 성왕(聖王)때 와서 다시 도읍을 남부여(南扶餘)로 옮겼다. 신라와 당나라가 협공해 멸망시키면서 당나라가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 도독부 중국에서 변경에 설치한 지방통치기구로 장관은 도독(都…#웅천 #문주왕 #한성 #성왕 #남부여 #당나라 #웅진도독부 #신문왕 #웅천주 #도독 #경덕왕 #웅주 #태조 #성종 #12목 #공주 #12주 절도사 #안절군 #하남도 #현종 #지주사 #충혜왕 #원나라 #활활적 #경화옹주 #계룡산 #신라 #서악 #웅진연소 #금강 #회도 #명종 #망이 #충순현 #속군 #속현 #백제 #덕근군 #덕은군 #고려 #견훤묘 #우술군 #후천 #비풍군 #계족산 #소부리군 #사비 #의자왕 #김유신 #소정방 #문무왕 #총관 #감무 #천정대 #조룡대 #낙화암 #황등야산군 #황산군 #개태사 #황산 #가지내현 #가을내 #신포 #영현 #시진포 #소비포현 #적오 #진현현 #진령 #노사지현 #진악산현 #석산 #부여군 #공민왕 #부여감무 #공양왕 #열이현 #두릉윤성 #열성 #열야산현 #벌음지현 #무부현 #청음
-
公州本百濟熊川, 文周王, 自漢城, 徙都之, 至聖王, 又移都南扶餘. 新羅與唐, 夾攻滅之, 唐置熊津都督府, 留兵鎭之. 唐師旣去, 新羅盡有其地. 神文王, 改爲熊川州, 置都督, 景德王, 又改熊州. 太祖二十三年, 更今名. 成宗二年, 初置十二牧, 州其一也. 十四年, 置十二州…#웅천 #문주왕 #한성 #성왕 #남부여 #당나라 #웅진도독부 #신문왕 #웅천주 #도독 #경덕왕 #웅주 #태조 #성종 #12목 #공주 #12주 절도사 #안절군 #하남도 #현종 #지주사 #충혜왕 #원나라 #활활적 #경화옹주 #계룡산 #신라 #서악 #웅진연소 #금강 #회도 #명종 #망이 #충순현 #속군 #속현 #백제 #덕근군 #덕은군 #고려 #견훤묘 #우술군 #후천 #비풍군 #계족산 #소부리군 #사비 #의자왕 #김유신 #소정방 #문무왕 #총관 #감무 #천정대 #조룡대 #낙화암 #황등야산군 #황산군 #개태사 #황산 #가지내현 #가을내 #신포 #영현 #시진포 #소비포현 #적오 #진현현 #진령 #노사지현 #진악산현 #석산 #부여군 #공민왕 #부여감무 #공양왕 #열이현 #두릉윤성 #열성 #열야산현 #벌음지현 #무부현 #청음
-
우왕 6년(1380) 경신년정월 초하루 계사일. 신년하례 행사를 생략했다. ○ 장씨를 참형에 처한 후 그 머리를 개경으로 보냈다. ○ 우상시(右常侍) 박영충(朴永忠) 박영충(?~?) 시승(寺丞)을 지낸 죽산 박씨(竹山朴氏) 박문요(朴文瑤)의 아들로, 우왕~조선…
-
우왕 6년(1380) 경신년六年 正月 癸巳朔 放朝賀. 斬張氏, 傳首于京. 以右常侍朴永忠爲公州道兵馬使, 禮儀判書皇甫琳爲全羅道兵馬使, 以安東元帥朴修敬爲慶尙道都巡問使. 永寧君王彬齎詔, 還自北元. 禑馳馬于男山. 二月 李茂方․裴彦, 至登州而還. 茂方等至遼東, 都司奏省府, 臺官欽奉…
-
충혜왕忠惠王 왕자충혜왕은 아들이 한 명이니, 은천옹주(銀川翁主) 임씨(林氏)가 석기(釋器)를 낳았다. 1. 석기(釋器) 석기 석기(?~?) 충혜왕과 은천옹주(銀川翁主) 임씨(林氏) 사이에서 태난 서자로, 충정왕이 만덕사(萬德寺)로 출가…
-
문달한文達漢문달한(文達漢) 문달한(?~1392) 본관은 남평(南平)(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이고 증조는 문윤실(文允實)이고 조부는 문구(文球)이다. 부친은 문경(文璟)으로 공민왕 때 대부경(大府卿)을 역임하였다.박용운, 『고려사회와 문벌귀족가문』, 경인문화사, 2…
-
충혜왕忠惠王 왕자忠惠王, 一子, 銀川翁主林氏, 生釋器. 釋器, 忠定祝髮, 置萬德寺. 恭愍時, 元將召釋器, 王聞之, 遂召還. 五年, 王聞前護軍林仲甫欲奉釋器, 潜啚不軌, 囚巡軍按治, 辭連前政丞孫守卿, 前密直洪峻, 監察大…
-
문달한文達漢文達漢, 平章事克謙六世孫也. 辛禑時, 授大護軍, 累遷同知密直司事, 賜推誠翊祚功臣號. 進知門下事, 轉評理. 出爲楊廣慶尙道都體察使, 禑命之曰, “往察將帥勤怠, 士卒强弱, 其有逗遛不進者, 元帥則囚以待命, 餘皆直斷.” 時倭賊千餘人, 陷沃州․保寧等縣, 遂入開泰寺, 據雞…
-
公州본래 백제의 웅천(熊川)으로 문주왕이 한성(漢城)에서 옮겨와 도읍하였다가 성왕(聖王)때 와서 다시 도읍을 남부여(南扶餘)로 옮겼다. 신라와 당나라가 협공해 멸망시키면서 당나라가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 도독부 중국에서 변경에 설치한 지방통치기구로 장관은 도독(都…
-
公州本百濟熊川, 文周王, 自漢城, 徙都之, 至聖王, 又移都南扶餘. 新羅與唐, 夾攻滅之, 唐置熊津都督府, 留兵鎭之. 唐師旣去, 新羅盡有其地. 神文王, 改爲熊川州, 置都督, 景德王, 又改熊州. 太祖二十三年, 更今名. 成宗二年, 初置十二牧, 州其一也. 十四年, 置十二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