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고종
    고종 36년(1249) 기유년
    고종 36년(1249) 기유년
    36년 봄 정월 무신일. 북계병마사가 급보를 올려 몽고 황제의 죽음을 알렸는데 이 사람이 정종(定宗) 정종(1205~1248) 우구데이칸[窩闊台汗]의 장자로 몽고 이름은 구육[貴由]이다. 어머니는 투리게네이다. 투리게네의 부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북계병마사 #정종 #최항 #연등회 #봉은사 #용암궁 #현성사 #신안공 #왕전 #몽고 #건성사 #복령사 #소재도량 #왕륜사 #구요당 #낭장 #김자진 #교서랑 #심수지 #공장 #베 #시랑 #안전 #최공주 #천병신중도량 #인왕도량 #화엄신중도량 #동진 #동주 #별초병 #지유 #박천부 #고성 #간성 #묘통사 #여정궁 #백좌도량 #최이 #추밀원부사 #이부상서 #어사대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39(1252) 임자년
    고종 39(1252) 임자년
    39년 봄 정월 병오일. 추밀원부사 이현(李峴)과 시랑 이지위(李之葳)를 몽고에 보냈다. 2월 초하루 을묘일. 일식이 있었다. 정묘일. 연등회 참석차 왕이 봉은사(奉恩寺)에 갔다. 병자일. 최항(崔沆)이 술…
    #추밀원부사 #이현 #시랑 #이지위 #몽고 #연등회 #봉은사 #최항 #건성사 #복령사 #소재도량 #인왕도량 #화엄신중도량 #장순량 #유성재 #묘통사 #금단동 #천병신중도량 #승천부 #신사 #현성사 #동계 병마사 #동진군 # #사신 #다가 #아토 #신안공 #왕전 #제포관 #승천관 #방호별감 #가마 #왕륜사 #태부 #공장 #외제석원 #구요당 #인왕백좌도량 #팔관회 #법왕사 #서궁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렬왕
    충렬왕 6년(1280) 경진년
    충렬왕 6년(1280) 경진년
    봄 정월 갑진일. 주열(朱悅)과 곽여필(郭汝弼)을 파직 파직 경상도 계점사(計點使)와 전라도 계점사로 각각 파견된 주열과 곽여필이 내고(內庫)의 처간(處干)을 사역시키지 말도록 하는 명령을 따르지 않다가 파면된 사실을 말한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고려…
    #주열 #곽여필 #참형 #교수형 #사면 #대장군 #인후 #장군 #고천백 #타나 #원나라 #동지 #관음사 #덕천사 #익장 #영춘현 #현리 #창기 #옥진 #원종 #쿠치 #친종장군 #박연 #중랑장 #이인 #동녕부 #공장 #교위 #정지연 #환도 #낭기아다이 #응방 #카바나 #유거 #대부 #내부 #수강궁 #사판궁 #밀직부사 #이존비 #전라도 #전함 #현화사 #승지 #염승익 #절령참 #옹진현 #주기 #개경 #사신 #회회 #조인규 #검교대장군 #오광찰 #명인전 #시위장군 #홍정 #동복현 #승려 #조영 #서해도 #전수미 #절령도 #초제 #제왕 #재추 #유경 #황보기 #최영 #송송례 #변윤 #감찰사 #강화경 #공부 #좌창 #우창 #대방주 #칠색 #안색 #아칙치 #양반 #노복 #녹패 #안렴사 #별감 #명주 #모시 #가죽 #돈 #포 #과실 #명표지 #시사 #심양 #숭문관 #잡단 #진척 #문응 #유배 #전중시사 #이승휴 #김일 #시승 #낭장 #우천석 #좌랑 #민훤 #광주판관 #이인정 #지후 #민지 #장경도량 #백문절 #반부 #곽예 #카야 #번국 #유사 #과거 #국자감 #사재윤 #김제 #정랑 #최옹 #좌사간 #방유 #통사사인 #유연 #권지지후 #설조 #이극 #오한경 #경사교수 #조윤통 #중서성 #담선법회 #서리 #간유지 #평장정사 #아카마 #홍원사 #진전직 #장인경 #길상사 #지선 #능묘 #가뭄 #부채 #삿갓 #이백기 #급제 #시부 #서적점녹사 #조간 #황패 #내시 #왜적 #고성군 #칠포 #한희유 #순마 #영부 #경상도 #합포현 #격구 #양루 #우박 #전시 #대제 #유비 #누리 #응경궁 #한벽루 #태통문 #박의 #원경 #첨의중찬 #김방경 #정가신 #서해도 계점사 #우준충 #도지휘사 #김주정 #쌍성 #민호 #한신 #덕광 #연첩아 #차관 #위문개 #전호 #개원로 #선위사 #탐라 #다루가치 #주철 #아야치 #대청도 #창의현 #영녕공 #상도 #차간노르 #일본 정벌 #입조 #힌두 #홍다구 #범문호 #일본 #한족 연합군 #남송군 #강남 #이끼도 #고려군 #한족군 #토리티무르 #몽고군 #동정성사 #군관 #패면 #안찰사 #승상 #안톤 #북경 #강수형 #송정 #정동원수부 #진무 #예쉬데르 #관자 #우승 #좌승 #이정 #행중서성 #선원 #최인저 #북경로 #요양로 #수달단 #일본정벌 #지휘사 #판관 #녹사 #도평의사사 #궁인 #아시감찰 #팔관회 #표문 #마제산 #정동행성 #자모아란 #두목 #중찬 #정동군사 #일본국 #정벌 #추밀원 #아후룩 #관군두목 #카비치바가투르 #두목관령 #군중 #차사 #친관두목 #순초 #군호 #행추밀원 #도원수 #초토만호 #관군관 #수령관 #진무인 #제형안찰사관 #노예 #관총사 #총사 #시위친군 #구구 #친관두목관령 #관군 #신부군인 #카비치 #양양부 #군역 #장정 #두목군인 #종파군관 #전량관 #본관두목인 #방리정 #향사 #천호 #백호 #패자 #총파관원 #전고인 #관군관원 #관군관리 #차 #소금 #술 #세국 #중서행성 #만호 #관군총관 #총파 #관사 #원수 #총관 #산군 #좌우부원수 #사만호 #부만호 #총관소관군 #부총관 #천호소관군 #부천호 #총관파소관군 #원수부 #경력 #지사 #영사 #역사 #통사 #지인 #가각고관 #진무소 #만호부 #총관소 #제령안독 #탄압 #천호소 #지관 #지인탄압 #총파소 #백호소 #사리 #3관 #총랑 #김원 #조윤번 #우승지 #요나라 #금나라 #개부의동삼사 #특진 #상주국 #행성 #자관 #차부 #부마 #두련가 #국왕 #쿠테치 #정토군 #일본 정벌군 #타포호 #진도 #상장군 #박지량 #문수 #나유 #조규 #정수기 #이신 #박보 #노정유 #안사 #조변 #안적재 #허홍재 #김덕지 #서정 #임개 #김신정 #이정익 #박익환 #유보 #김천록 #이신백 #신혁 #최공절 #여문취 #안흥 #이순 #김복대 #차공윤 #이당공 #박성진 #고세화 #송인윤 #옥환 #계부 #김천고 #서광순 #함익심 #충청도 #교주도 #동계 #병선 #원정 #정장 #동경로 #호두패 #수수군 #두령 #박구 #토토카순 #추고관두목 #회동관사 #장헌 #이부주사 #에센카야 #일관 #정인경 #허공 #참문학사 #세자보 #홍자번 #지첨의부사 #세자이사 #한강 #좌상시 #송분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동지밀직사사 #김백균 #채인평 #삼사사 #판도판서 #조서 #서문 #중서좌승상 #행중서성사 #인신 #중봉대부 #관령고려군도원수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 #호두금패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금패 #무덕장군 #관군천호 #소신교위 #관군총파 #은패 #김중성 #충현교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36년(1249) 기유년
    고종 36년(1249) 기유년
    三十六年 春正月 戊申 北界兵馬使馳報, 蒙古皇帝崩, 是爲定宗. 甲子 崔沆享王. 二月 丙戌 燃燈, 王如奉恩寺. 閏月 癸丑 移御龍嵒宮. 丁巳 幸賢聖寺. 辛酉 新安公佺, 還自蒙古. 丙寅 幸乾聖․福靈二寺, 還御本闕, 設消災道場. 三月…
    #북계병마사 #정종 #최항 #연등회 #봉은사 #용암궁 #현성사 #신안공 #왕전 #몽고 #건성사 #복령사 #소재도량 #왕륜사 #구요당 #낭장 #김자진 #교서랑 #심수지 #공장 #베 #시랑 #안전 #최공주 #천병신중도량 #인왕도량 #화엄신중도량 #동진 #동주 #별초병 #지유 #박천부 #고성 #간성 #묘통사 #여정궁 #백좌도량 #최이 #추밀원부사 #이부상서 #어사대부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고종
    고종 39(1252) 임자년
    고종 39(1252) 임자년
    三十九年 春正月 丙午 遣樞密院副使李峴, 侍郞李之葳如蒙古. 二月 乙卯朔 日食. 丁卯 燃燈, 王如奉恩寺. 丙子 崔沆獻酒饌于王, 召諸王, 宴于大內. 三月 丁酉 幸乾聖․福靈二寺. 戊戌 親設消災道場. 甲辰 設仁王道場. 己酉 設華嚴神衆…
    #추밀원부사 #이현 #시랑 #이지위 #몽고 #연등회 #봉은사 #최항 #건성사 #복령사 #소재도량 #인왕도량 #화엄신중도량 #장순량 #유성재 #묘통사 #금단동 #천병신중도량 #승천부 #신사 #현성사 #동계 병마사 #동진군 # #사신 #다가 #아토 #신안공 #왕전 #제포관 #승천관 #방호별감 #가마 #왕륜사 #태부 #공장 #외제석원 #구요당 #인왕백좌도량 #팔관회 #법왕사 #서궁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충렬왕
    충렬왕 6년(1280) 경진년
    충렬왕 6년(1280) 경진년
    六年 春正月 甲辰 罷朱悅․郭汝弼. 己酉 以星文屢變, 宥二罪以下. 癸丑 移御本闕. 庚申 遣大將軍印侯, 將軍高天伯與塔納, 如元. 壬戌 王與公主賞東池, 遂幸觀音寺. 乙丑 以德泉寺住持益藏擊殺永春縣吏, 又與妓玉眞通, 流于海島, 益藏元宗寵姬子也. 丙寅 忽赤享王于新殿. 己…
    #주열 #곽여필 #참형 #교수형 #사면 #대장군 #인후 #장군 #고천백 #타나 #원나라 #동지 #관음사 #덕천사 #익장 #영춘현 #현리 #창기 #옥진 #원종 #쿠치 #친종장군 #박연 #중랑장 #이인 #동녕부 #공장 #교위 #정지연 #환도 #낭기아다이 #응방 #카바나 #유거 #대부 #내부 #수강궁 #사판궁 #밀직부사 #이존비 #전라도 #전함 #현화사 #승지 #염승익 #절령참 #옹진현 #주기 #개경 #사신 #회회 #조인규 #검교대장군 #오광찰 #명인전 #시위장군 #홍정 #동복현 #승려 #조영 #서해도 #전수미 #절령도 #초제 #제왕 #재추 #유경 #황보기 #최영 #송송례 #변윤 #감찰사 #강화경 #공부 #좌창 #우창 #대방주 #칠색 #안색 #아칙치 #양반 #노복 #녹패 #안렴사 #별감 #명주 #모시 #가죽 #돈 #포 #과실 #명표지 #시사 #심양 #숭문관 #잡단 #진척 #문응 #유배 #전중시사 #이승휴 #김일 #시승 #낭장 #우천석 #좌랑 #민훤 #광주판관 #이인정 #지후 #민지 #장경도량 #백문절 #반부 #곽예 #카야 #번국 #유사 #과거 #국자감 #사재윤 #김제 #정랑 #최옹 #좌사간 #방유 #통사사인 #유연 #권지지후 #설조 #이극 #오한경 #경사교수 #조윤통 #중서성 #담선법회 #서리 #간유지 #평장정사 #아카마 #홍원사 #진전직 #장인경 #길상사 #지선 #능묘 #가뭄 #부채 #삿갓 #이백기 #급제 #시부 #서적점녹사 #조간 #황패 #내시 #왜적 #고성군 #칠포 #한희유 #순마 #영부 #경상도 #합포현 #격구 #양루 #우박 #전시 #대제 #유비 #누리 #응경궁 #한벽루 #태통문 #박의 #원경 #첨의중찬 #김방경 #정가신 #서해도 계점사 #우준충 #도지휘사 #김주정 #쌍성 #민호 #한신 #덕광 #연첩아 #차관 #위문개 #전호 #개원로 #선위사 #탐라 #다루가치 #주철 #아야치 #대청도 #창의현 #영녕공 #상도 #차간노르 #일본 정벌 #입조 #힌두 #홍다구 #범문호 #일본 #한족 연합군 #남송군 #강남 #이끼도 #고려군 #한족군 #토리티무르 #몽고군 #동정성사 #군관 #패면 #안찰사 #승상 #안톤 #북경 #강수형 #송정 #정동원수부 #진무 #예쉬데르 #관자 #우승 #좌승 #이정 #행중서성 #선원 #최인저 #북경로 #요양로 #수달단 #일본정벌 #지휘사 #판관 #녹사 #도평의사사 #궁인 #아시감찰 #팔관회 #표문 #마제산 #정동행성 #자모아란 #두목 #중찬 #정동군사 #일본국 #정벌 #추밀원 #아후룩 #관군두목 #카비치바가투르 #두목관령 #군중 #차사 #친관두목 #순초 #군호 #행추밀원 #도원수 #초토만호 #관군관 #수령관 #진무인 #제형안찰사관 #노예 #관총사 #총사 #시위친군 #구구 #친관두목관령 #관군 #신부군인 #카비치 #양양부 #군역 #장정 #두목군인 #종파군관 #전량관 #본관두목인 #방리정 #향사 #천호 #백호 #패자 #총파관원 #전고인 #관군관원 #관군관리 #차 #소금 #술 #세국 #중서행성 #만호 #관군총관 #총파 #관사 #원수 #총관 #산군 #좌우부원수 #사만호 #부만호 #총관소관군 #부총관 #천호소관군 #부천호 #총관파소관군 #원수부 #경력 #지사 #영사 #역사 #통사 #지인 #가각고관 #진무소 #만호부 #총관소 #제령안독 #탄압 #천호소 #지관 #지인탄압 #총파소 #백호소 #사리 #3관 #총랑 #김원 #조윤번 #우승지 #요나라 #금나라 #개부의동삼사 #특진 #상주국 #행성 #자관 #차부 #부마 #두련가 #국왕 #쿠테치 #정토군 #일본 정벌군 #타포호 #진도 #상장군 #박지량 #문수 #나유 #조규 #정수기 #이신 #박보 #노정유 #안사 #조변 #안적재 #허홍재 #김덕지 #서정 #임개 #김신정 #이정익 #박익환 #유보 #김천록 #이신백 #신혁 #최공절 #여문취 #안흥 #이순 #김복대 #차공윤 #이당공 #박성진 #고세화 #송인윤 #옥환 #계부 #김천고 #서광순 #함익심 #충청도 #교주도 #동계 #병선 #원정 #정장 #동경로 #호두패 #수수군 #두령 #박구 #토토카순 #추고관두목 #회동관사 #장헌 #이부주사 #에센카야 #일관 #정인경 #허공 #참문학사 #세자보 #홍자번 #지첨의부사 #세자이사 #한강 #좌상시 #송분 #지밀직사사 #세자원빈 #동지밀직사사 #김백균 #채인평 #삼사사 #판도판서 #조서 #서문 #중서좌승상 #행중서성사 #인신 #중봉대부 #관령고려군도원수 #소용대장군 #좌우부도통 #호두금패 #선무장군 #왕경단사관 #금패 #무덕장군 #관군천호 #소신교위 #관군총파 #은패 #김중성 #충현교위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후비(后妃)
    충렬왕(忠烈王) 후비
    충렬왕忠烈王 후비
    1.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는 이름이 쿠투루칼리미쉬[忽都魯揭里迷失]이며 원나라 세조(世祖)의 딸로 그 모친은 예쉬진카둔[阿速眞可敦]이다. 원종 15년(1274), 세자이던 충렬왕이 원나라에 머물 때 공주에게 장가들…
    #제국대장공주 #쿠투루칼리미쉬 #원나라 #세조 #예쉬진카둔 #충렬왕 #추밀원부사 #기온 #서북면 #비빈 #궁주 #재추 #국청사 #연 #토쿠 #궁려 #불제 #원성공주 #경성궁 #원성전 #응선부 #안동 #경산부 #탕목읍 #이궁 #원자 #충선왕 #설비아 #정화궁주 #동상 #정침 #평상 #식트르 #서상 #대장군 #인공수 #안평공 #힌두 #경창궁주 #토번 #깃발 #일산 #향 #만다라도량 #황금 #비단 #안장 딸린 말 #인형 #동자상 #등탑 #화관 #금교역 #흥왕사 #금탑 #내궁 #쿠라다이 #셍게 #태부시 #낭장 #왕연 #광평공 #밀직 #김선 #백저포 #잣 #인삼 #강남 #환관 #입조 #연등회 #채붕 #봉은사 #첨의부 #우승지 #설공검 #만월연 #다루가치 #수루연 #매 #새매 #승지 #이존비 #천효사 #죽판궁 #문창유 #공장 #노인수 #일관 #이습 #가림현 #정화원 #장군방 #쿠치 #순군 #금소 #응방 #미라리 #이지저 #왕지별감 #궁지별감 #홍산 #영녕공 #금 #은그릇 #세저포 #원부 #이분희 #박항 #송분 #강윤소 #이즈르부카 #채단 #견룡군 #시복 #순검군 #백갑군 #지유 #도장교 #악관 #부사 #선의문 #국학 #칠관 #동서학당 #내부 #영관 #구치삼번 #퇴게 #아야치 #대청도 #신전 #일본 #여악 #잡희 #한악 #예쉬데르 #최인저 #상장군 #노영 #과렴 #의주 #충청도 #임진강 #안남 #윤수 #조인규 #개경 #내료상장군 #김자정 #동경부사 #동경 #남반 #영인 #김지서 #시랑 #곽번 #별장 #이덕수 #중랑장 #정윤기 #강화도 #백금 #서원후 #서경 #함평부 #김중경 #순마소 #송나라 #연덕신 #조양환 #오윤부 #카다안 #세토겐 #말 #필 #나이만다이대왕 #토군대왕 #아시부마 #하서국왕 #중경군왕 #토리티무르 #타추 #공억 #서해도 안렴사 #유서 #봉주 #봉양 #성종 #쿠두루칼리미쉬 #삼한 #주나라 #왕희 #당나라 #한양 #안평공주 #진왕 #수령궁 #현성사 #부지밀직사사 #원경 #코르쿠슨 #대장경 #인화전 #고릉 #장목인명왕후 #고당왕 #인명태후 #무종 #오대 #태조 #왕장 #순 #계비 #소명 #고공단보 #강녀 #탕목 #안평 #북궐 #동진 #황고 #정신부주 #시안공 #석말천구 #차고대 #나장 #유경 #강양공 #정령원비 #명순원비 #숙창원비 #위위윤 #김양감 #진사 #최문 #무비 #빈전 #김문연 #숙비 #팔관회 #고고 #은자원 #법회 #박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조준(趙浚)
    조준趙浚
    조준(趙浚) 조준 평양 조씨 가문은 조준의 증조부인 조인규(趙仁規)대부터 문벌로 성장하였다. 역관(譯官) 출신으로 재상의 반열에 오른 조인규는 사위인 충선왕이 왕위에 오르자 최고 권세가가 되었다. 조인규는 부인 조씨와의 사이에서 5남 4녀를 두었는데 그 중 차…
    #조준 #명중 #시중 #조인규 #공민왕 #수덕궁 #보마배지유 #홍륜 #과거 #통례문부사 #강원도 #안찰사 #정선군 #명주 #사헌장령 #감문위 #대호군 #지제교 #지신사 #김도 #대언 #박진록 #김주 #우왕 #고원 #재신 #전법판서 #왜놈 #경상도 #도통사 #최영 #체복사 #도순문사 #이거인 #병마사 #유익환 #도당 #밀직제학 #상의회의도감사 #양광도 #원수 #왜적 #강릉교주도 #도검찰사 #선위좌명공신 #임견미 #염흥방 #첨서밀직사사 #윤소종 #허금 #조인옥 #유원정 #정지 #백군녕 #우리 태조 #지밀직사사 #대사헌 #정도전 #사전 #이색 #이림 #우현보 #변안열 #권근 #유백유 #정몽주 #태조 #간관 #오사충 #이서 #이준 #주례 #천관 #총재 #6경 #육전 #사도 #예속 #6부 #감 #시 #창 #고 #유품 #판도사 #전법사 #예의사 #예관 #전공사 #공관 #6전 #사 #판사사 #밀직 #판서 #봉익 #낭관 #6색장 #주공 #소공 #태공 #문왕 #무왕 #성왕 #강왕 #소하 #조참 #방현령 #두여회 #한고조 #당태종 #중서성 #영 #평장 #참정 #정당 #추밀 #원나라 #삼군 #양부 #후한 #광무제 #6시 #7감 #통헌 #춘추 #공자 #주나라 #문종 #공경 #사대부 #동반 #규정 #정언 #수령 #사림 #감무 #현령 #부사 #서리 #대간 #6조 #안집 #공사 #주리 #역리 #장인 #상인 #헌사 #공역서 #8도 #군부사 #사복시 #백경 #내승 #내수 #경기 #공호 #구사 #호적 #농장 #상승 #수의 #부병 #도감 #조성도감 #선공 #선공시 #방어․화통도감 #군기시 #임진강 #예성강 #도성 #도총도감 #5부 #개성부 #사장 #학교 #부형 #도관 #궁사 #창고 #노비 #변정도감 #방리 #이인임 #시호 #뇌사 #정렬공 #이자송 #당나라 #현릉 #중국 #명나라 #호복 #품제 #전교 #당후관 #상장군 #전리사 #도평의사 #녹사 #왕패 #성중애마 #외관 #정 #노 #안렴 #호부 #조정 #향리 #양전 #양호 #천호 #판도 #신라 #백제 #금성 #삼한 #압록강 #한왕조 #흉노 #수군만호부 #봉화 #합포 #의주 #조운 #수군만호 #둔전 #전라 #경상 #양광 #만호 #상만호 #부만호 #초피 #송자 #인삼 #봉밀 #황랍 #미두 #매 #새매 #화척 #재인 #창왕 #상신 #헌신 #편작 #침원서 #산재 #상서성 #치재 #정순 #당악 #향악 #창기 #절제사 #관찰사 #기인 #경저주인 #막사 #주선 #지문하부사 #추충여절좌명공신 #공양왕 #삼국 #수시중 #이성계 #진평 #주발 #한나라 #적인걸 #장간지 #당 #노국대장공주 #종묘 #의릉 #면성 #황려 #고성 #예안 #근비 #의비 #숙비 #헌비 #안비 #영비 #정비 #현비 #선비 #내탕 #인장 #내부 #추밀원 #부원군 #국대부인 #옹주 #택주 #작첩 #유배 #조선 #양한 #육조 #수 #오대 #우 #수문제 #요순 #걸 #주 #이제 #삼왕 #탕왕 #사관 #좌사 #우사 #서연 #8위 #군부 #42도부 #대 #오 #위 #상장 #근시 #충용위 #호군 #우다치 #쉬구치 #별보 #애마 #5원 #10장 #공장 #노예 #좌우위 #사문 #사순 #비순위 #신호위 #위정 #사막 #상사 #사설 #사옹 #상식 #사선 #6국 #김부식 #서도 #낙랑후 #정승 #김방경 #탐라 #상락공 #환관 #경릉 #대장군 #낭장 #별장 #판사 #주부 #향원 #교수관 #향교 #유학 #맹자 #가묘 #신사 #주자가례 #대부 #서인 #삼령절 #한식 #경기 8현 #동북면 #서북면 #5군 #한 #남북군 #부위병 #요나라 #금나라 #양계 #진제 #송나라 #한산 #장좌 #부위 #중방 #첨설 #상호군 #중랑장 #산원 #진차 #역호 #관리 #정역별감 #승 #반인 #경관 #역승 #상평창 #의창 #경수창 #장손평 #사창 #위인 #금살도감 #달단 #삭선 #객사 #전구서 #사재시 #군관 #민관 #재상 #문제 #가의 #서경 #순임금 #곤 #무경 #전법 도관 #공판도감 #삼사 #순군 #대성 #정조 #권지행사 #잡과 #향역 #성균 #전법 #전의 #첨설봉익 #명경 #전원 #평리 #판상서시사 #중흥공신 #녹권 #조선군충의군 #정숙공 #충렬왕 #신우 #조민수 #신창 #강후 #양공 #대리 #화장 #규전 #3과 #어사 #관 #역 #복시 #군리 #수군 #참관 #예부 #찬성사 #판예조사 #판상서 #충근여절좌명정조공신 #삼사좌사 #김진양 #수원옥 #판삼사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정도전(鄭道傳)
    정도전鄭道傳
    정도전(鄭道傳) 정도전(1342~1398) 본관이 봉화(奉化)(지금의 경상북도 봉화군)이며, 호는 삼봉(三峰)이다. 선향(先鄕)이 영주(榮州)(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이며, 출생지가 단양(丹陽) 삼봉(三峰)(지금의 충청북도 단양군)이다. 고조는 봉화의 호장을 …
    #정도전 #종지 #검교밀직제학 #정운경 #과거 #충주사록 #통례문지후 #태상박사 #종묘 #예의정랑 #예문응교 #성균사예 #북원 #사신 #이인임 #지윤 #김구용 #이숭인 #권근 #도당 #경복흥 #원나라 #명나라 #김의 #회진현 #유배 #대성 #시종관 #염흥방 #배상도 #시중 #재상 #석기 #삼각산 #고성 #이금 #승려 #찬영 #전의부령 #성균좨주 #남양부 #수령 #우리 태조 #성균대사성 #창왕 #서연시독 #밀직부사 #공양왕 #충의군 #추충논도좌명공신 #삼사우사 #무사 #현릉 #주상 #태실 #신우 #허금 #유백유 #요동 #정몽주 #임박 #박상충 #집정 #최원 #적인걸 #장간지 #진평 #주발 #김유 #홍상재 #조빙 #남양 #신창 #신종 #경연 #첨설직 #문학 #무과 #이과 #문음 #송나라 #산관 #대단관 #복원궁 #제조 #제거 #궁성숙위부 #제거궁성숙위사 #개경 #당나라 #선거 #전주 #고과 #출척 #형관 #공장 #출척사 #경연검토관 #한상경 #중국 #검토관 #신원필 #헌부 #언관 #정당문학 #동판도평의사사사 #적경원 #어구 #5군 #삼군도총제부 #우군총제사 #헌사 #원수 #총제사 #사전 #남경 #회암사 #연복사 #경기 #양광도 #한성제 #양무제 #강남 #김저 #김종연 #측천무후 #당 고종 #중종 #대간 #간관 #정득후 #이림 #이귀생 #윤이 #이초 #당 #무삼사 #객성 #자미성 #화요성 #여귀성 #동중서 #삼사 #불교 #법석 #초제 #백고좌도량 #문수회 #주나라 #유신 #태사 #과 #사대부 #환관 #한나라 #성제 #일식 #장우 #왕망 #곡영 #우현보 #우성범 #부마 #이색 #석개보 #태묘 #동호 #조순 #조천 #직사 #정경 #공자 #사관 #대부 #춘추 #유학 #임연 #원종 #왕창 #이장용 #문강 #환공 #애강 #양공 #경보 #신돈 #강녕대군 #태조 #사직 #자지 #자쾌 #연나라 #맹자 #주혜왕 #수지 #고려 #삼한 #우왕 #심이기 #태부 #승상 #자홍 #대왕 #항 #예부 #소식 #주자 #성탕 #걸 #유림 #제 #진항 #제나라 #노나라 #위 #주우 #호씨 #석작 #우재 #추 #곽광 #무제 #고명대신 #소제 #고종 #무재인 #무후 #저수량 #허경종 #춘추』 #군역 #군적 #3군 #삼군부 #도독 #호적 #무당 #전의시 #악공 #제조관 #남은 #조인옥 #장량 #고조 #도진무 #황희석 #가신 #김지경 #태종 #대언 #안원 #규정 #박자량 #집의 #우홍득 #평양부윤 #성헌 #형조 #봉화현 #공신녹권 #직첩 #녹권 #나주 #대사헌 #김주 #전농정 #정진 #종부부령 #정담 #김진양 #김전 #수이 #사인 #우연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제신(諸臣)
    윤소종(尹紹宗)
    윤소종尹紹宗
    윤소종(尹紹宗) 윤소종(1345~1393)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를 지낸 무송 윤씨(茂松尹氏) 윤구생(尹龜生)의 아들로, 공민왕 14년(1365) 윤10월 과거에 장원급제한 후 춘추관수찬(春秋館修贊)․좌정언(左正言)․좌상시(左常侍) 등을 거쳐 조선 태조 때까지…
    #윤소종 #헌숙 #찬성사 #윤택 #사관 #정언 #중서성 #영 #시중 #평장사 #참지정사 #정당문학 #추밀원 #낭관 #명기 #관작 #사 #농 #공 #상 #공경대부 #공자 #경릉 #원나라 #원세조 #중관 #이대순 #별장 #오위 #산원 #세조 #공장 #공노비 #사노비 #중랑장 #봉익대부 #제갈공명 #전한 #후한 #대언 #김흥경 #이사 #조고 #신돈 #태봉 #태조 #경녕전 #효사관 #현릉 #의릉 #인희전 #5도와 양계 #김광대 #삼한 #왜구 #달단 #홍건적 #흥왕사의 난리 #전라도 #경상도 #개경 #양계 #5도 #별묘 #정릉 #헌납 #김윤승 #사의 #우현보 #우왕 #전교시승 #성균관사예 #전의부령 #예문관응교 #지신사 #이존성 #전교부령 #우리 태조 #정지 #곽광전 #창왕 #전교령 #원구 #종묘 #사직 #산릉 #진전 #신사 #축문 #도전 #사원 #사소 #시관 #천지 #종사 #대신 #정자 #소신 #적전 #제전 #태위 #순 #우 #문조 #신종 #양부 #산재 #치재 #경연 #태묘 #곤룡포 #면류관 #도당 #우사의대부 #이인임 #허응 #민개 #대사성 #서연 #주역 #강보 #논어 #종묘사직 #서경 #소학 #노양공 #강관 #환관 #궁첩 #선비 #대부 #관각 #학사 #궁인 #내신 #주 #상저 #옥배 #영서연 #지서연 #태사 #태부 #시독 #소사 #소부 #탕 #이윤 #제나라 #환공 #관중 #정도전 #공양왕 #대사헌 #조준 #좌상시 #경연강독관 #이숭인 #이색 #영흥군 #변안열 #정관정요 #정몽주 #당 #대학연의 #강릉 #문하평리 #윤호 #유만수 #첨서밀직사사 #우홍수 #동지밀직사사 #유광우 #상의문하부사 #최원지 #밀직부사 #유용생 #판자혜부사 #정희계 #자혜부윤 #이방과 #김인찬 #이행 #밀직사 #강회백 #지밀직사사 #윤사덕 #김락 #김철 #화령백 #이조총랑 #이황 #조계종 #승려 #찬영 #왕사 #성석린 #불교 #성탕 #문왕 #태공 #상나라 #주나라 #요 임금 #순 임금 #하 #은 #한나라 #명제 #양 #무제 #후경 #대성 #당나라 #헌종 #형부시랑 #한유 #최응 #신라 #조계종 승려 #탕왕 #하나라 #무왕 #요진 #구마라습 #바라발제 #지공 #응창 #오호북적 #숭인문 #진 #대간 #요동 #장단현 #문묘 #사전 #규전 #변정도감 #예의판서 #상호군 #송문중 #이성계 #심덕부 #이사위 #금주 #최을의 #반복해 #상시 #유배 #회군 #간관 #병조전서 #수문전학사 #동지춘추관사 #윤회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345Next PageLast Page총 42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Report Error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