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조태조 22년(939) 기해년태조 22년(939) 기해년22년 봄 3월 무진일. 좌승(佐丞) 좌승 고려 초기 1품에서 9품에 이르는 16등위 가운데 3품의 6등위에 해당되는 관계(官階)이다. 이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75, 선거지, 전주, 향직 및 권92, 열전5, 홍유(洪儒) 부 배현경전(裴玄慶傳) 참…
-
의종의종 24년(1170) 경인년의종 24년(1170) 경인년24년 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대관전(大觀殿)에서 신년 하례를 받고는 친히 신료가 올리는 하례의 표문을 지어 신하들에게 보여주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새해 정월이 돌아오니 만물이 새로우며 궁전에 봄이 돌아오니 용안에는 …#대관전 #신년 하례 #요 #순 #금나라 #일본국 #간자 #봉원전 #서경 #연등회 #봉은사 #영통사 #화엄회 #백관 #광화문 #관현방 #대악서 #수놓은 비단 #산호 #대모 #국자학관 #승선 #김돈중 #노영순 #임종식 #봉은전 #대원공 #왕효 #중서시랑평장사 #허홍재 #지문하성사 #최온 #판중군병마사 #동지추밀원사 #서순 #추밀원부사 #이광진 #중군병마사 #연복정 #지어사대사 #이복기 #기거주 #한뢰 #화평재 #낭성 #서해도안렴사 #박순하 #노인성 #역마 #서강 #현화사 #노인당 #우부승선 #해주 #상산 #내전 #초제 #충주목부사 #최광균 #죽장사 #수성 #연복사 #시신 #금내육관 #복원궁 #평장사 #상춘정 #좌승선 #충주 #판예빈성사 #김우번 #낭중 #진역승 #진관사 #별은기소 #금꽃 #은꽃 #금그릇 #옥그릇 #내시 #황문장 #태평호문지주 #염현사 #전중감 #김천 #재추 #대간 #편전 #홍정 #서대 #국자박사 #직한림원 #동문원 #보현원 #일식 #옷 #장신구 #술 #고기 #건포 #과일 #문하시랑 동 평장사 #참지정사 #양순정 #지추밀원사 #상서좌복야 #판비서성사 #동강 #서재 #수주 #지주사 #오록지 #흥왕사 #오병수박희 #어가 #이고 #이의방 #순검군 #개경 #정중부 #강안전 #환관 #수문전 #채원 #양숙 #군기감 #영은관 #거제현 #진도현 #익양공 #왕호 #명종 #김보당 #계림 #이의민 #곤원사 #장효 #묘호 #의종 #희릉 #강과
-
원종원종 12년(1271) 신미년원종 12년(1271) 신미년12년 봄 정월 기사일. 공유(孔愉) 공유(?~?) 원종~충렬왕 때 대장군․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전법판서․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원종 11년(1270)에는 삼별초 항쟁군의 공격으로부터 금성(錦城)(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지역을 방어하…#공유 #안세정 #아카이 #장군 #인공수 #몽고 #문하시중 #이장용 #참지정사 #최영 #임연 #모의 #박천주 #진도 #벽파정 #홍다구 #복야 #홍백수 #추밀원부사 #부카 #맹기 #추밀원사 #김련 #표문 #남송 #송나라 #일본 #시중 #중서성 #둔전경략사 #둔전 #강화도 #권농사 #낭장 #이영 #사천감 #오윤부 #김희목 #사신 #일본국신사 #비서감 #조양필 #쿠룸치 #왕국창 #조서 #국신사 #금주 #홍복원 #강윤소 #반행객사 #두원외 #밀성군 #방보 #계년 #박평 #박공 #박경순 #경기 #부사 #이이 #공국병마사 #청도감무 #임종 #최양재 #청도군 #밀성 #조천 #일선현령 #청도 #손일 #안찰사 #이오 #이숙진 #금주방어사 #김훤 #경주판관 #엄수안 #평장사 #유경 #애도 #유배 #관노 #숭겸 #공덕 #다루가치 #대정 #송사균 #최문본 #조자일 #합문지후 #신좌선 #재추 #승선 #중방 #내시 #다방 #지추밀원사 #이현원 #상장군 #정자여 #톡토르 #섭별장 #은병 #나견 #착량 #대부도 #반란 #수주부사 #안열 #도병마사 #녹과전 #이분희 #김자정 #이분성 #전원 #영송고 #당리 #최승적 #삼별초 #장흥부 #방어도령 #진정 #유학 #충청도 안찰사 #홍자번 #교주도 안찰사 #노문좌 #연등회 #봉은사 #저시교 #연등 #태조 #장일 #경상도 #주열 #전라도 #곽여필 #충청도 #소재도량 #보성 #천호 #충청 #전라 #우부승선 #홍문계 #은 #박지량 #수로방호사 #힌두 #사추 #둔전군 #행경략사 #봉주 #동경 #경략사 #동계안집사 #양주 #장세 #김세 #수령 #향리 #천서 #화주 #조휘 #지양주사 #합포 #감무 #봉주경략사 #남산궁 #동래군 #단사관 #심혼 #유천우 #전중감 #쟁기 #경상도 금주 #남해 #창선 #거제 #공부 #농무별감 #황주 #관등 #방호 장군 #박보 #별초 #영광부사 #김수 #추토사 #김방경 #배중손 #영녕공 #왕희 #왕옹 #당성 #홍택 #참수 #홍균비 #장형 #역리 #방수군 #주부개 #바얀 #관민 #도령 #지유 #경군 #초제 #변량 #이수심 #토벌 #문하시랑평장사 #김전 #몽고 사신 #승화후 #김통정 #탐라 #국자감시 #초천익 #지비케 #취납관 #개경 #서경 #대경 #민방 #상서좌승 #왕심 #질자 #상서우승 #송분 #군기감 #설공검 #호부낭중 #김서 #이창경 #보살계 #이황수 #임유무 #송송례 #나주 #전민 #승상 #대장군 #국자박사 #위문개 #비칙치 #카라쿠룩 #이추 #금칠 #청등 #팔랑충 #비목 #노태목 #오매 #화리 #등석 #승천부 #금요도 #비자 열매 #동백 열매 #교동군 #해죽 #동백 #죽점 #서해도 #은파장 #삼진강 #두련가국왕 #호적 #백호 #복대 #일식 #채정 #토번 #선의문 #원수 #과시적 #관인 #찰살적 #수령관 #영사 #오산 #왕륜사 #사면령 #참형 #교수형 #제주 #고여림 #경별초 #외별초 #직전 #전정 #잡류인 #현문혁 #직학 #정문감 #금강법석 #부다루가치 #염주 #문선열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 #백주 #대원 #원나라 #제수대보
-
태조태조 22년(939) 기해년태조 22년(939) 기해년二十二年 春三月 戊辰 佐丞龔直卒. 是歲, 晋遣國子博士謝攀, 來冊王, 爲開府儀同三司撿校太師, 餘如故.
-
의종의종 24년(1170) 경인년의종 24년(1170) 경인년二十四年 春正月 壬子朔 王受賀於大觀殿, 親製臣僚賀表, 宣示群臣, 表曰, “三陽應序, 萬物惟新, 玉殿春回, 龍顔慶洽. 體一元而敷惠, 斂諸福以大和, 是大人道長之初, 乃陽德氣萌之始. 恭惟陛下, 重高之聖哲, 疊舜之聰明, 百福是叢, 新又新而不息, 天齡更固, 月復月以無期…#대관전 #신년 하례 #요 #순 #금나라 #일본국 #간자 #봉원전 #서경 #연등회 #봉은사 #영통사 #화엄회 #백관 #광화문 #관현방 #대악서 #수놓은 비단 #산호 #대모 #국자학관 #승선 #김돈중 #노영순 #임종식 #봉은전 #대원공 #왕효 #중서시랑평장사 #허홍재 #지문하성사 #최온 #판중군병마사 #동지추밀원사 #서순 #추밀원부사 #이광진 #중군병마사 #연복정 #지어사대사 #이복기 #기거주 #한뢰 #화평재 #낭성 #서해도안렴사 #박순하 #노인성 #역마 #서강 #현화사 #노인당 #우부승선 #해주 #상산 #내전 #초제 #충주목부사 #최광균 #죽장사 #수성 #연복사 #시신 #금내육관 #복원궁 #평장사 #상춘정 #좌승선 #충주 #판예빈성사 #김우번 #낭중 #진역승 #진관사 #별은기소 #금꽃 #은꽃 #금그릇 #옥그릇 #내시 #황문장 #태평호문지주 #염현사 #전중감 #김천 #재추 #대간 #편전 #홍정 #서대 #국자박사 #직한림원 #동문원 #보현원 #일식 #옷 #장신구 #술 #고기 #건포 #과일 #문하시랑 동 평장사 #참지정사 #양순정 #지추밀원사 #상서좌복야 #판비서성사 #동강 #서재 #수주 #지주사 #오록지 #흥왕사 #오병수박희 #어가 #이고 #이의방 #순검군 #개경 #정중부 #강안전 #환관 #수문전 #채원 #양숙 #군기감 #영은관 #거제현 #진도현 #익양공 #왕호 #명종 #김보당 #계림 #이의민 #곤원사 #장효 #묘호 #의종 #희릉 #강과
-
원종원종 12년(1271) 신미년원종 12년(1271) 신미년十二年 春正月 己巳 削孔愉․安世貞職. 又以阿海畏縮不救, 遣將軍印公秀如蒙古以奏, 帝免阿海職召還. 庚午 門下侍中李藏用, 叅知政事崔瑛, 坐與謀林衍廢立, 免. 朴天澍至珍島, 賊迎致碧波亭宴慰之, 潛遣兵船二十艘, 掠官軍, 奪一艘, 殺九十餘人. 辛未 以茶丘叔父僕射致仕洪百壽…#공유 #안세정 #아카이 #장군 #인공수 #몽고 #문하시중 #이장용 #참지정사 #최영 #임연 #모의 #박천주 #진도 #벽파정 #홍다구 #복야 #홍백수 #추밀원부사 #부카 #맹기 #추밀원사 #김련 #표문 #남송 #송나라 #일본 #시중 #중서성 #둔전경략사 #둔전 #강화도 #권농사 #낭장 #이영 #사천감 #오윤부 #김희목 #사신 #일본국신사 #비서감 #조양필 #쿠룸치 #왕국창 #조서 #국신사 #금주 #홍복원 #강윤소 #반행객사 #두원외 #밀성군 #방보 #계년 #박평 #박공 #박경순 #경기 #부사 #이이 #공국병마사 #청도감무 #임종 #최양재 #청도군 #밀성 #조천 #일선현령 #청도 #손일 #안찰사 #이오 #이숙진 #금주방어사 #김훤 #경주판관 #엄수안 #평장사 #유경 #애도 #유배 #관노 #숭겸 #공덕 #다루가치 #대정 #송사균 #최문본 #조자일 #합문지후 #신좌선 #재추 #승선 #중방 #내시 #다방 #지추밀원사 #이현원 #상장군 #정자여 #톡토르 #섭별장 #은병 #나견 #착량 #대부도 #반란 #수주부사 #안열 #도병마사 #녹과전 #이분희 #김자정 #이분성 #전원 #영송고 #당리 #최승적 #삼별초 #장흥부 #방어도령 #진정 #유학 #충청도 안찰사 #홍자번 #교주도 안찰사 #노문좌 #연등회 #봉은사 #저시교 #연등 #태조 #장일 #경상도 #주열 #전라도 #곽여필 #충청도 #소재도량 #보성 #천호 #충청 #전라 #우부승선 #홍문계 #은 #박지량 #수로방호사 #힌두 #사추 #둔전군 #행경략사 #봉주 #동경 #경략사 #동계안집사 #양주 #장세 #김세 #수령 #향리 #천서 #화주 #조휘 #지양주사 #합포 #감무 #봉주경략사 #남산궁 #동래군 #단사관 #심혼 #유천우 #전중감 #쟁기 #경상도 금주 #남해 #창선 #거제 #공부 #농무별감 #황주 #관등 #방호 장군 #박보 #별초 #영광부사 #김수 #추토사 #김방경 #배중손 #영녕공 #왕희 #왕옹 #당성 #홍택 #참수 #홍균비 #장형 #역리 #방수군 #주부개 #바얀 #관민 #도령 #지유 #경군 #초제 #변량 #이수심 #토벌 #문하시랑평장사 #김전 #몽고 사신 #승화후 #김통정 #탐라 #국자감시 #초천익 #지비케 #취납관 #개경 #서경 #대경 #민방 #상서좌승 #왕심 #질자 #상서우승 #송분 #군기감 #설공검 #호부낭중 #김서 #이창경 #보살계 #이황수 #임유무 #송송례 #나주 #전민 #승상 #대장군 #국자박사 #위문개 #비칙치 #카라쿠룩 #이추 #금칠 #청등 #팔랑충 #비목 #노태목 #오매 #화리 #등석 #승천부 #금요도 #비자 열매 #동백 열매 #교동군 #해죽 #동백 #죽점 #서해도 #은파장 #삼진강 #두련가국왕 #호적 #백호 #복대 #일식 #채정 #토번 #선의문 #원수 #과시적 #관인 #찰살적 #수령관 #영사 #오산 #왕륜사 #사면령 #참형 #교수형 #제주 #고여림 #경별초 #외별초 #직전 #전정 #잡류인 #현문혁 #직학 #정문감 #금강법석 #부다루가치 #염주 #문선열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 #백주 #대원 #원나라 #제수대보
-
제신(諸臣)이성(李晟)이성李晟이성(李晟)은 담양(潭陽)(지금의 전라남도 담양군) 사람이다. 약관에 과거에 급제 급제 이성(李晟)이 과거 급제한 해는 명확하지 않으나, 원종 연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박용운,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연구』, 일지사, 1990, 432쪽.해 온수감무(溫水監務…
-
제신(諸臣)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週) 정몽주(1337~1392) 본관은 영일(迎日)(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영일읍)이고 호는 포은(圃隱)이다. 영일 정씨의 시조는 정종은(鄭宗殷)인데 그는 신라시대의 간관(諫官)이었다가 언사(言事)로 쫓겨났고, 그 후손인 정의경(鄭宜卿)이 영일로 옮…#정몽주 #달가 #지주사 #정습명 #정몽란 #정몽룡 #관례 #과거 #예문검열 #우리 태조 #화주 #삼선 #삼개 #전농시승 #정문 #예조정랑 #성균박사 #주자집주 #호병문 #사서통 #이색 #이학 #성균사예 #태상소경 #성균사성 #사신 #홍사범 #서장관 #명나라 #촉 #허산 #우사의대부 #성균대사성 #공민왕 #김의 #북원 #이인임 #지윤 #원나라 #당나라 #태조 #중국 #심왕 #김서 #오계남 #정요위 #장자온 #안사기 #정료위 #언양 #유배 #왜구 #나흥유 #일본 #하카다 #보빙사 #구주절도사 #주맹인 #윤명 #안우세 #삼도 #왜적 #우산기상시 #전공판서 #예의판서 #전법판서 #판도판서 #운봉 #밀직제학 #첨서밀직사사 #정당문학 #홍상재 #김보생 #이자용 #하성절사 #밀직부사 #진평중 #임견미 #우왕 #남경 #발해 #황상재 #동지공거 #초장 #중장 #종장 #의비 #노구산 #이성림 #염흥방 #노영수 #덕창부행수 #문윤경 #환관 #이광 #지공거 #염국보 #최영 #감시 #학사 #윤취 #동당시 #의대 #안마 #문하평리 #영원군 #하륜 #염정수 #강회백 #이숭인 #삼사좌사 #예문관대제학 #공양왕 #영서운관사 #익양군 #충의군 #순충논도좌명공신 #불교 #도교 #현릉 #정도전 #이첨 #전백영 #영남 #신우 #신창 #적인걸 #장간지 #홍무 #윤승순 #삼한 #전제 #경연 #이훈 #열명 #백금 #요임금 #순임금 #승려 #찬영 #윤이 #이초 #옥사 #대간 #도당 #형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문하시중 #판도평의사사 #병조상서시사 #영경령전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경연사 #경연관 #편수관 #통감강목 #김초 #병조좌랑 #정탁 #서경』 #대언 #국자박사 #생원 #성헌 #법사 #김종연 #행재소 #조민수 #박가흥 #지용기 #이무 #정희계 #이빈 #윤사덕 #진을서 #박위 #이옥 #이중화 #진원서 #김식 #이구철 #군관 #변안열 #이을진 #이경도 #원상 #이귀생 #정지 #우현보 #우홍수 #왕안덕 #우인열 #도진무 #이림 #박의룡 #순군관 #김저 #도둔곶 #여흥 #권근 #권중화 #장하 #이종학 #경보 #이인민 #한준 #정룡 #구천부 #이대경 #홍인계 #최공철 #최칠석 #안주 #공의 #곽선 #정단봉 #조언 #왕승귀 #장충립 #조경 #왕익부 #정전 #판삼사사 #배극렴 #대사헌 #김주 #유만수 #좌상시 #허응 #우상시 #전오륜 #간의 #박자문 #헌납 #권진 #정언 #유기 #김여지 #장령 #최함 #김무 #지평 #이원집 #이작 #형조판서 #구성우 #총랑 #성보 #정랑 #하계종 #좌랑 #박의 #창왕 #대장 #제군사 #낭관 #정득후 #남포 #안사공신 #대명률 #지정조격 #조준 #남은 #왕석 #황주 #해주 #이성계 #벽란도 #태종 #이화 #이제 #이원계 #변중량 #조영규 #황희석 #주자가례 #가묘 #수령 #참관 #이서 #도평의사 #녹사 #경력 #도사 #오부학당 #향교 #유학 #의창 #수참 #조운 #포은집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 #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 #문충 #정종성 #정종본
-
제신(諸臣)이성(李晟)이성李晟李晟, 潭陽人. 弱冠登第, 調溫水監務, 移水原司錄. 秩滿, 挈家歸竹溪村舍, 不求祿仕, 日以討墳典爲事. 後被薦, 補國子博士, 除閤門祗候. 年五十九, 拜左司補, 入直西省, 作詩云, “藥砌淸風欺我老, 竹溪明月誘吾情. 昨宵已決歸田計, 雪盡江南匹馬行.” 翌日, 棄官歸田…
-
제신(諸臣)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周鄭夢周, 字達可, 知奏事襲明之後. 母李氏有娠, 夢抱蘭盆忽墮, 驚寤而生, 因名夢蘭. 生而秀異, 肩上有黑子七列如北斗. 年至九歲, 母晝夢黑龍升園中梨樹, 驚覺出視, 乃夢蘭也, 因改夢龍. 旣冠, 改今名. 恭愍九年, 應擧連魁三場, 遂擢第一人. 十一年, 選補藝文檢閱, 十三…#정몽주 #달가 #지주사 #정습명 #정몽란 #정몽룡 #관례 #과거 #예문검열 #우리 태조 #화주 #삼선 #삼개 #전농시승 #정문 #예조정랑 #성균박사 #주자집주 #호병문 #사서통 #이색 #이학 #성균사예 #태상소경 #성균사성 #사신 #홍사범 #서장관 #명나라 #촉 #허산 #우사의대부 #성균대사성 #공민왕 #김의 #북원 #이인임 #지윤 #원나라 #당나라 #태조 #중국 #심왕 #김서 #오계남 #정요위 #장자온 #안사기 #정료위 #언양 #유배 #왜구 #나흥유 #일본 #하카다 #보빙사 #구주절도사 #주맹인 #윤명 #안우세 #삼도 #왜적 #우산기상시 #전공판서 #예의판서 #전법판서 #판도판서 #운봉 #밀직제학 #첨서밀직사사 #정당문학 #홍상재 #김보생 #이자용 #하성절사 #밀직부사 #진평중 #임견미 #우왕 #남경 #발해 #황상재 #동지공거 #초장 #중장 #종장 #의비 #노구산 #이성림 #염흥방 #노영수 #덕창부행수 #문윤경 #환관 #이광 #지공거 #염국보 #최영 #감시 #학사 #윤취 #동당시 #의대 #안마 #문하평리 #영원군 #하륜 #염정수 #강회백 #이숭인 #삼사좌사 #예문관대제학 #공양왕 #영서운관사 #익양군 #충의군 #순충논도좌명공신 #불교 #도교 #현릉 #정도전 #이첨 #전백영 #영남 #신우 #신창 #적인걸 #장간지 #홍무 #윤승순 #삼한 #전제 #경연 #이훈 #열명 #백금 #요임금 #순임금 #승려 #찬영 #윤이 #이초 #옥사 #대간 #도당 #형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문하시중 #판도평의사사 #병조상서시사 #영경령전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 #경연사 #경연관 #편수관 #통감강목 #김초 #병조좌랑 #정탁 #서경』 #대언 #국자박사 #생원 #성헌 #법사 #김종연 #행재소 #조민수 #박가흥 #지용기 #이무 #정희계 #이빈 #윤사덕 #진을서 #박위 #이옥 #이중화 #진원서 #김식 #이구철 #군관 #변안열 #이을진 #이경도 #원상 #이귀생 #정지 #우현보 #우홍수 #왕안덕 #우인열 #도진무 #이림 #박의룡 #순군관 #김저 #도둔곶 #여흥 #권근 #권중화 #장하 #이종학 #경보 #이인민 #한준 #정룡 #구천부 #이대경 #홍인계 #최공철 #최칠석 #안주 #공의 #곽선 #정단봉 #조언 #왕승귀 #장충립 #조경 #왕익부 #정전 #판삼사사 #배극렴 #대사헌 #김주 #유만수 #좌상시 #허응 #우상시 #전오륜 #간의 #박자문 #헌납 #권진 #정언 #유기 #김여지 #장령 #최함 #김무 #지평 #이원집 #이작 #형조판서 #구성우 #총랑 #성보 #정랑 #하계종 #좌랑 #박의 #창왕 #대장 #제군사 #낭관 #정득후 #남포 #안사공신 #대명률 #지정조격 #조준 #남은 #왕석 #황주 #해주 #이성계 #벽란도 #태종 #이화 #이제 #이원계 #변중량 #조영규 #황희석 #주자가례 #가묘 #수령 #참관 #이서 #도평의사 #녹사 #경력 #도사 #오부학당 #향교 #유학 #의창 #수참 #조운 #포은집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 #수문전대제학 #예문춘추관사 #익양부원군 #문충 #정종성 #정종본
-
태조 22년(939) 기해년22년 봄 3월 무진일. 좌승(佐丞) 좌승 고려 초기 1품에서 9품에 이르는 16등위 가운데 3품의 6등위에 해당되는 관계(官階)이다. 이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75, 선거지, 전주, 향직 및 권92, 열전5, 홍유(洪儒) 부 배현경전(裴玄慶傳) 참…
-
의종 24년(1170) 경인년24년 봄 정월 초하루 임자일. 왕이 대관전(大觀殿)에서 신년 하례를 받고는 친히 신료가 올리는 하례의 표문을 지어 신하들에게 보여주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새해 정월이 돌아오니 만물이 새로우며 궁전에 봄이 돌아오니 용안에는 …
-
원종 12년(1271) 신미년12년 봄 정월 기사일. 공유(孔愉) 공유(?~?) 원종~충렬왕 때 대장군․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전법판서․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무신관료이다. 원종 11년(1270)에는 삼별초 항쟁군의 공격으로부터 금성(錦城)(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지역을 방어하…
-
태조 22년(939) 기해년二十二年 春三月 戊辰 佐丞龔直卒. 是歲, 晋遣國子博士謝攀, 來冊王, 爲開府儀同三司撿校太師, 餘如故.
-
의종 24년(1170) 경인년二十四年 春正月 壬子朔 王受賀於大觀殿, 親製臣僚賀表, 宣示群臣, 表曰, “三陽應序, 萬物惟新, 玉殿春回, 龍顔慶洽. 體一元而敷惠, 斂諸福以大和, 是大人道長之初, 乃陽德氣萌之始. 恭惟陛下, 重高之聖哲, 疊舜之聰明, 百福是叢, 新又新而不息, 天齡更固, 月復月以無期…
-
원종 12년(1271) 신미년十二年 春正月 己巳 削孔愉․安世貞職. 又以阿海畏縮不救, 遣將軍印公秀如蒙古以奏, 帝免阿海職召還. 庚午 門下侍中李藏用, 叅知政事崔瑛, 坐與謀林衍廢立, 免. 朴天澍至珍島, 賊迎致碧波亭宴慰之, 潛遣兵船二十艘, 掠官軍, 奪一艘, 殺九十餘人. 辛未 以茶丘叔父僕射致仕洪百壽…
-
이성李晟이성(李晟)은 담양(潭陽)(지금의 전라남도 담양군) 사람이다. 약관에 과거에 급제 급제 이성(李晟)이 과거 급제한 해는 명확하지 않으나, 원종 연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박용운,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연구』, 일지사, 1990, 432쪽.해 온수감무(溫水監務…
-
정몽주鄭夢周정몽주(鄭夢週) 정몽주(1337~1392) 본관은 영일(迎日)(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영일읍)이고 호는 포은(圃隱)이다. 영일 정씨의 시조는 정종은(鄭宗殷)인데 그는 신라시대의 간관(諫官)이었다가 언사(言事)로 쫓겨났고, 그 후손인 정의경(鄭宜卿)이 영일로 옮…
-
이성李晟李晟, 潭陽人. 弱冠登第, 調溫水監務, 移水原司錄. 秩滿, 挈家歸竹溪村舍, 不求祿仕, 日以討墳典爲事. 後被薦, 補國子博士, 除閤門祗候. 年五十九, 拜左司補, 入直西省, 作詩云, “藥砌淸風欺我老, 竹溪明月誘吾情. 昨宵已決歸田計, 雪盡江南匹馬行.” 翌日, 棄官歸田…
-
정몽주鄭夢周鄭夢周, 字達可, 知奏事襲明之後. 母李氏有娠, 夢抱蘭盆忽墮, 驚寤而生, 因名夢蘭. 生而秀異, 肩上有黑子七列如北斗. 年至九歲, 母晝夢黑龍升園中梨樹, 驚覺出視, 乃夢蘭也, 因改夢龍. 旣冠, 改今名. 恭愍九年, 應擧連魁三場, 遂擢第一人. 十一年, 選補藝文檢閱, 十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