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종원종 14년(1273) 계유년원종 14년(1273) 계유년14년 봄 정월 기미일. 왕이 사자를 경상도에 보내 전함(戰艦)의 건조를 독려하게 했다. 경신일.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김방경(金方慶)을 판추토사(判追討事)로,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변윤(邊胤)을 추토사(追討使)로 각각 임명했다.…#경상도 #문하시랑평장사 #김방경 #판추토사 #추밀원부사 #변윤 #추토사 #원나라 사신 #선의문 #임유간 #대방후 #간의대부 #곽여필 #원나라 #원부 #장길 #중서시랑평장사 #김련 #지문하성사 #윤군정 #수사공 #전라도 방호장군 #문경수 #낙안군 #마강 #대장군 #송분 #삼별초 #합포 #혜성 #황주 #봉주 #경략사 #승도 #사원조성별감 #홍다구 #다루가치 #이익 #수로감선사 #힌두 #유통령 #만호 #정온 #박고대 #염주 #탐라 #연등회 #봉은사 #내장택 #중군행영병마원수 #좌창 #김백균 #경상도 수로방호사 #판합문사 #이신손 #충청도 방호사 #첨서추밀원사 #허공 #울릉도 작목사 #이추 #울릉도 #제주 #서해도 #안찰사 #우천석 #낙산사 #관음여의주 #원수 #탐라현 #방수산원 #정국보 #낭장 #오단 #일본 #조양필 #다자이후 #백은 #저포 #가야소도 #남경판관 #임순 #인주부사 #이석 #녹사 #배숙 #뱃사공 #어상 #향장목 #전․라주 #녹전 #재추 #서리 #초제 #천문 #소재도량 #우박 #현성사 #오교 #양종 #남산궁 #전라도 #김원윤 #장군 #송보연 #십일요 #김수 #지후 #김감 #별장 #유보 #표문 #판사 #주열 #금 #광주 #예사 #진도 #탁라 #안남부사 #공유 #홍주부사 #이행검 #홍정 #개경 #박성대 #유진장군 #김통정 #김혁정 #이기 #순안후 #동지추밀원사 #송송례 #큰비 #도병마사 #성대 #중군원수 #병마사 #시중 #판추밀원사 #김석 #상장군 #지어사대사 #나유 #남도 #금으로 장식한 안장 #채색 의복 #금은 #김신 #부다루가치 #초천익 #제상궁 #별고 #전조 #영빈관 #김일 #반전은 #태백성 #정현좌 #경별초 #외별초 #은 #전정 #유천우 #중서성 #우정 #소부소감 #이의손 #여문취 #삼청 #금경도량 #전지 #사원 #양반 #군인 #한인 #변정도감 #병량도감 #양조문안 #연등행사 #동계 #신루지 #경어유
-
충선왕충선왕 2년(1310) 경술년충선왕 2년(1310) 경술년봄 정월 초하루 기묘일. 왕이 원나라에 체류했다. 무자일. 언부전서(讞部典書)로 은퇴한 이행검(李行儉)이 죽었다. 기축일. 능침(陵寢)에 제사를 지내면서 해당 관청에서 희생물을 죽이지 않고 그대로 올리려하자 사헌규정(司憲糾正) 복기(…#원나라 #이행검 #사헌규정 #복기 #양학사 #이공보 #승상 #톡토 #환관 #심양로 #심양 #왕감 #김중의 #바차 #방신우 #장경 #금박 #문천좌 #평리 #조원서 #부다시린공주 #한국장공주 #명인전 #태조 #삼한 #개부의동삼사 #태자태사 #상주국 #부마도위 #심양왕 #정동행상서성우승상 #고려국왕 #왕장 #왕철 #요나라 #돈신명의보절정량제미익순공신 #태사 #상서우승상 #충헌 #왕직 #환숙 #사천 #세조 #압록강 #단성봉화보경량절강제좌리공신 #충경 #강후 #당나라 #왕규 #남평공주 #순성수정추충선력정원보절공신 #태위 #정동행중서성우승상 #부마 #왕거 #나얀대왕 #요수 #순성수정추충선력정원보절인량흥화봉경공신 #충렬 #동해 #안평공주 #순 #등비 #소명 #주나라 #고공단보 #태강 #안평 #탕목읍 #황고제국대장공주 #송 #요 #금나라 #고종 #원종 #민훤 #유청신 #첨의정승 #영왕 #제안부원대군 #왕용 #강양부원대군 #왕후 #단양부원대군 #왕유 #함녕부원대군 #삼중대광 #왕훈 #연덕군 #왕간 #화의군 #왕림 #익양군 #왕회 #통의군 #왕숙 #순정군 #왕정 #회인군 #보녕군 #중대광 #왕우 #왕관 #왕순 #왕이 #왕구 #원윤 #왕기 #왕희 #왕수 #올제이 #정윤 #최유엄 #수첨의정승 #대령군 #김혼 #판삼사사 #계림군 #첨의찬성사 #고흥군 #배정 #찬성사 #완산군 #김심 #밀직사 #북평군 #박의 #권보 #이호 #홍선 #김태현 #삼사우․좌사 #박경량 #김문연 #첨의평리 #조서 #조연 #지밀직사사 #채우 #권한공 #동지밀직사사 #박려 #권준 #밀직부사 #한악 #우대언 #곽원진 #좌대언 #홍수 #우부대언 #조위 #좌부대언 #홍규 #익성군 #허숭 #양천군 #이대순 #태안부원군 #전투멘테구스 #영인군 #김이랄타 #낙안군 #전테리 #함창군 #이숙 #평창군 #중모군 #박아부카 #계양군 #이바이티므르 #성산군 #유창록 #효녕군 #최흔장 #금성군 #정매살 #하동군 #이신 #영월군 #권고리 #봉화군 #임바얀투구스 #비인군 #이삼진 #회음군 #최단 #경원군 #행계림윤 #김윤 #검교평리 #충주목사 #송영 #제주목사 #장선 #광주목사 #재상 #목사 #김이 #유돈 #계림윤 #내고 #은 #민보 #평양부윤 #존무사 #자섬사 #연경궁 #김지숙 #경령전 #명종 #영통사 #해채 #건어 #건포 #불화 #인주 #판관 #설영임
-
충숙왕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봄 정월 경인일. 왕이 은자원(銀字院)으로 승려 만항(萬恒)을 찾아보았다. 신묘일. 원나라 황태후의 만수무강을 기도하기 위해 연경궁(延慶宮)에서 이레 동안 『반야경(般若經)』 『반야경』 『금강경(金剛經)』․『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금강반야…#은자원 #만항 #연경궁 #반야경 #경릉 #고릉 #상왕 #우헌납 #이규 #우사보 #우칭 #좌사보 #윤기 #순군 #재추 #체협 #경령전 #강안전 #연등회 #남양부원군 #김지겸 #충근익대공신 #낙안군 #이호 #판삼사사 #오잠 #삼사사 #백이정 #첨의평리 #상의회의도감사 #이굉 #우상시 #강방언 #좌상시 #민적 #보문각제학 #원나라 #연복사 #조계종 #경린 #경총 #대선사 #이조은 #사보 #조홀도 #정권 #이부 #최여 #식목도감 #염세 #매 #개 #재보 #요역 #공전 #공호 #민지 #찬성사 #권보 #태조 #성균관 #양현고 #만승회 #백금 #금교역 #강릉도 #명주 #등주 #상호군 #학사 #이가노 #지밀직사사 #채홍철 #오도순방계정사 #내부령 #한중희 #부사 #민부의랑 #최득평 #판관 #양전 #제찰사 #묘련사 #베르케티무르 #왕륜사 #진왕 #흥천사 #영안궁 #내원당 #구요당 #초제 #의성창 #덕천창 #선원사 #묘통사 #선부의랑 #윤신걸 #사헌집의 #윤선좌 #전교령 #백원항 #신천 #선부직랑 #안규 #산랑 #밀직부사 #중서성 #이광봉 #예안군 #이지저 #오형 #민천도감 #이진 #권한공 #평리 #조간 #지밀직 #안우기 #성균제거사 #박사 #유연 #학유 #유적 #강남 #태자부참군 #남경 #판전교시사 #홍약 #보초 #언양군 #김문연 #김이 #동지밀직사사 #숙비궁 #세자부 #시학 #주영 #윤석 #현성사 #복령사 #가락군 #우산절 #풍산군 #왕안 #정양군 #최난수 #흥해군 #우부대언
-
충혜왕충혜왕 복위년(1339) 기묘년충혜왕 복위년(1339) 기묘년여름 4월 무오일. 왕이 삼사좌윤(三司左尹) 김영후(金永煦)를 원나라에 보내 불화(佛畵)를 바치게 했다. 5월 초하루 기미일. 왕이 사사로이 보흥고(寶興庫) 보흥고 충혜왕은 유비창(有備倉)과 보흥고를 병합하였다. 특히 충혜왕…#삼사좌윤 #김영후 #원나라 #불화 #보흥고 #만호 #인승단 #삼사좌사 #홍융 #수비 #유성 #구천우 #강윤충 #순군만호 #전영보 #대호군 #손수경 #전윤장 #금은 #대정아 #인종황제 #덕릉 #경화공주 #영안궁 #의승 #복산 #열약 #조익청 #제주안무사 #윤환 #칠원군 #오자순 #해주 #홍서 #김경 #한부카 #이규 #승상 #재추 #권보 #행성 #태조성무황제 #충헌왕 #금산왕자 #카치운 #차라 #조충 #김취려 #헌종 #아릭부케 #세조 #양양 #충경왕 #안남국 #일본국 #제국대장공주 #충렬왕 #태위왕 #왕정 #왕도 #중서성 #김원상 #김찬 #낭장 #송명리 #노영서 #대행왕 #소유 #조적 #순군 #유방세 #서북면 존무사 #의주 #정주 #압록강 #호군 #강인 #정동성 #원외 #한테무르부카 #찬성사 #김인연 #정승 #강융 #단서관 #두린 #직성사인 #구통 #경화공주궁 #국인 #낙안군 #김지겸 #첨의평리 #김자 #홍빈 #조운경 #황겸 #백문거 #왕백 #주주 #조영휘 #이안 #한승 #장거재 #배성경 #정천기 #권정동성사 #제조도첨의사사 #김일봉 #신천
-
우왕우왕 5년(1379) 기미년우왕 5년(1379) 기미년정월 을해일. 요동도지휘사(遼東都指揮司) 요동도지휘사 명나라 초 요동에 설치된 군사기구이다. 명 태조는 홍무 4년(1371) 반명 세력인 요양(遼陽) 평장(平章) 유익(劉益)의 투항으로 요동 통제에 성공한 후 정료도위지휘사사(定遼都衛指揮使司)를 설치하…#요동도지휘사 #진무 #임성 #고려 #북원 #밀직부사 #안익 #양광도 계점사 #간관 #후소 #좌소 #우왕 #일본 #승려 #법인 #흉년 #연등회 #우박 #왜적 #순천 #조양 #진원 #정지 #면주 #판서 #최유용 #계점사 #지문하사 #우인열 #경상도 상원수 #목자안 #전라도 부원수 #도순문사 #심덕부 #김보생 #명나라 #조서 #입조 #세공 #예부상서 #주몽염 #고려국왕 #왕전 #한나라 #고구려 #광무제 #당나라 #송나라 #거란 #여진 #원나라 #세조 #춘추 #중서성 #주차사 #소루 #조진 #첨수참 #문천식 #오계남 #도강현 #고성군 #전공판서 #이연 #호군 #임언충 #요동 #총병 #반경 #섭왕 #인원보 #서북면 체찰사 #곡성 #남원 #판관 #순천부 #동지 #이우루스테무르 #황성 #만호 #정룡 #윤송 #양광도 도순문사 #지진 #주겸 #주저 #노국공주 #안산군 #판개성부사 #이림 #후덕부 #철성부원군 #풍천 #지주사 #유자 #안렴 #김간 #업정강천호 #임견 #이길생 #원수 #참형 #문화현 #안집사 #범영부 #장형 #단오 #격구 #태백성 #한국주 #대내전 #의홍 #박거사 #가뭄 #판전의 #양종진 #초제 #벽운 #민중 #도사 #신주 #철원군 #환관 #김실 #요 #순 #걸왕 #주왕 #안주원수 #최원지 #영청현 #검교예의판서 #윤사충 #울주 #계림부 #청도군 #홍인륭 #계림 #강릉도 #조인벽 #강릉도원수 #박수경 #안동도원수 #부윤 #첨원 #보비 #교사 #나하추 #문카라부카 #저포 #마포 #용주 #의주 #장려 #낙안군 #영녕군 #판삼사사 #손홍량 #정평 #이자용 #구주절도사 #미나모토료순 #무릉도 #여미현 #수주 #곽주 #계림윤 #김광부 #합포도순문사 #요동도사 #도평의사사 #합라 #쌍성 #테그스타이테무르 #지밀직사사 #지용기 #전라도원수 #지평현 #정당문학 #허완 #동지밀직 #윤방안 #내재추 #임견미 #대간 #최영 #단계현 #거창현 #야로현 #가수현 #해인사 #선산 #득익사 #이을진 #충주․단양도병마사 #장백숙 #청주병마사 #산음 #진주 #사주 #함양 #서해도 #양광도 #수군 #숭경윤 #양광도 상원수 #이현 #유방계 #연로 #태후전 #문하평리 #이무방 #판밀직 #배언 #진정표 #김의 #왕도 #왕정 #왕흔 #왕저 #심왕 #왕우 #왜국 #찬성사 #목인길 #양제 #전라도 #삼사좌사 #권중화 #조민수 #회암 #서운관 #도선 #경상도원수 #종부부령 #이의 #찬성사상의 #양백익 #창녕 #유배 #서경원수 #사헌부 #시비 #지윤 #양백연 #홍중선 #김도 #원순 #유보 #개경
-
우왕창왕 즉위년(1388) 무진년창왕 즉위년(1388) 무진년6월 신해일. 조민수(曹敏修)가 정비(定妃)의 교서(敎書)를 받들어 왕창(王昌)을 왕으로 옹립했는데 그 때 나이가 아홉 살이었다. 정비의 교서는 이러했다. “우리 태조께서 삼한(三韓)을 통일한 후 성군(聖君)들께서 왕위를 이어 늘 예로…#조민수 #정비 #교서 #왕창 #태조 #삼한 #종묘사직 #공민왕 #경 #최영 #의비 #숙비 #안비 #선비 #덕비 #영선옹주 #화혜옹주 #강인유 #최천검 #조영길 #신아 #왕흥 #오충좌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서해도 #교주도 #도통사 #강릉도 #박의중 #명나라 #자문 #철령 #민호 #주 #화주 #고주 #정주 #요동 #압록강 #온주 #태주 #소주 #한나라 #위나라 #오나라 #진나라 #수나라 #요서 #당나라 #도독부 #요나라 #강조 #금나라 #원나라 #탐라 #세조 #절동 #절서 #충근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 #목조 #이안사 #장사길 #밀직부사 #의주 #장려 #만호 #왜적 #전주 #김제현 #만경현 #인의현 #승려 #혼수 #국사 #찬영 #왕사 #창왕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강도 #종묘 #참형 #교수형 #우왕 #도당 #삼사좌사 #조인벽 #동지밀직사사 #구성로 #강화부 #수녕궁 #수창궁 #광주 #경상도 도체찰사 #황보림 #도흥 #김종연 #일본국 #사신 #묘파 #미나모토료순 #대장경 #청수구자 #문하찬성사 #우인열 #정당문학 #설장수 #습봉 #병마도통사 #서연 #임견미 #문하시중 #요양 #이사경 #창녕군 #이색 #수시중 #영서연사 #문하평리 #정몽주 #지서연사 #좌대언 #권근 #좌부대언 #유염 #성균대사성 #정도전 #서연시독 #사헌부 #중방 #사관 #밀직 #이광보 #동강 #도평의사사 #좌사의대부 #이행 #첨설 #의성창 #덕천고 #풍저창 #요물고 #사 #부 #승 #주부 #정희계 #안주 #허빈 #손광유 #양호 #자혜부윤 #조언 #최칠석 #화령윤 #정요 #거제현 #진무 #한원철 #평리 #윤호 #안렴사 #도관찰출척사 #성석린 #평양윤 #장하 #최유경 #교주강릉도 #밀직상의 #김사형 #밀직제학 #조운흘 #대간 #부사 #판관 #방진 #주군 #양부 #봉익 #연산현 #개태사 #청주 #유성현 #진잠현 #지밀직사사 #이빈 #어의 #주과 #낙안군 #고흥현 #풍안현 #진주 #진주목사 #육려 #동북면원수 #도순문사 #옥주 #황간현 #영동현 #왕안덕 #여흥군 #시녀 #내수 #환관 #찬성사 #지용기 #동밀직사사 #우홍수 #유준 #통진현 #군기소윤 #고봉례 #제주축마 #안무별감 #우박 #금강도량 #서균형 #유광우 #보새 #문달한 #안종원 #판상서시사 #우부대언 #상서윤 #대사성 #이지 #상서소윤 #조준 #지문하부사 #대사헌 #이치 #첨서밀직사사 #이숭인 #김사안 #생도 #상상 #개경 #순천부 #유배 #구례 #원수 #밀직사 #강회백 #이방우 #간관 #이무 #헌사 #이인임 #곡주 #안변부 #혜비 #신비 #현비 #충혜왕 #경비 #원사 #희산 #대경 #김여보화 #달달 #전리판서 #이희춘 #제주
-
원종원종 14년(1273) 계유년원종 14년(1273) 계유년十四年 春正月 己未 遣使于慶尙道, 督造戰艦. 庚申 以門下侍郞平章事金方慶判追討使, 樞密副使邊胤爲使. 壬戌 元使來, 王迎詔于宣義門, 其文, 用新制蒙古字, 人無識者. 使者云, “因林惟幹所奏, 求火熊皮也.” 癸亥 遣帶方侯澂, 諫議大夫郭汝弼如元, 謝許世子婚. 甲子 以元…#경상도 #문하시랑평장사 #김방경 #판추토사 #추밀원부사 #변윤 #추토사 #원나라 사신 #선의문 #임유간 #대방후 #간의대부 #곽여필 #원나라 #원부 #장길 #중서시랑평장사 #김련 #지문하성사 #윤군정 #수사공 #전라도 방호장군 #문경수 #낙안군 #마강 #대장군 #송분 #삼별초 #합포 #혜성 #황주 #봉주 #경략사 #승도 #사원조성별감 #홍다구 #다루가치 #이익 #수로감선사 #힌두 #유통령 #만호 #정온 #박고대 #염주 #탐라 #연등회 #봉은사 #내장택 #중군행영병마원수 #좌창 #김백균 #경상도 수로방호사 #판합문사 #이신손 #충청도 방호사 #첨서추밀원사 #허공 #울릉도 작목사 #이추 #울릉도 #제주 #서해도 #안찰사 #우천석 #낙산사 #관음여의주 #원수 #탐라현 #방수산원 #정국보 #낭장 #오단 #일본 #조양필 #다자이후 #백은 #저포 #가야소도 #남경판관 #임순 #인주부사 #이석 #녹사 #배숙 #뱃사공 #어상 #향장목 #전․라주 #녹전 #재추 #서리 #초제 #천문 #소재도량 #우박 #현성사 #오교 #양종 #남산궁 #전라도 #김원윤 #장군 #송보연 #십일요 #김수 #지후 #김감 #별장 #유보 #표문 #판사 #주열 #금 #광주 #예사 #진도 #탁라 #안남부사 #공유 #홍주부사 #이행검 #홍정 #개경 #박성대 #유진장군 #김통정 #김혁정 #이기 #순안후 #동지추밀원사 #송송례 #큰비 #도병마사 #성대 #중군원수 #병마사 #시중 #판추밀원사 #김석 #상장군 #지어사대사 #나유 #남도 #금으로 장식한 안장 #채색 의복 #금은 #김신 #부다루가치 #초천익 #제상궁 #별고 #전조 #영빈관 #김일 #반전은 #태백성 #정현좌 #경별초 #외별초 #은 #전정 #유천우 #중서성 #우정 #소부소감 #이의손 #여문취 #삼청 #금경도량 #전지 #사원 #양반 #군인 #한인 #변정도감 #병량도감 #양조문안 #연등행사 #동계 #신루지 #경어유
-
충선왕충선왕 2년(1310) 경술년충선왕 2년(1310) 경술년二年 春正月 己卯朔 王在元. 戊子 讞部典書致仕李行儉卒. 己丑 有事于寢園, 有司欲不刑牲, 司憲糾正卜祺不可曰, “夫祭尙氣, 先迎牲, 殺於庭, 所以降神也. 若以生牲爲牢, 豈合於禮乎?” 於是, 宰而薦之. 是月, 王欲傳位世子, 密令人撰表於楊學士, 尋爲從臣所沮, 乃止. …#원나라 #이행검 #사헌규정 #복기 #양학사 #이공보 #승상 #톡토 #환관 #심양로 #심양 #왕감 #김중의 #바차 #방신우 #장경 #금박 #문천좌 #평리 #조원서 #부다시린공주 #한국장공주 #명인전 #태조 #삼한 #개부의동삼사 #태자태사 #상주국 #부마도위 #심양왕 #정동행상서성우승상 #고려국왕 #왕장 #왕철 #요나라 #돈신명의보절정량제미익순공신 #태사 #상서우승상 #충헌 #왕직 #환숙 #사천 #세조 #압록강 #단성봉화보경량절강제좌리공신 #충경 #강후 #당나라 #왕규 #남평공주 #순성수정추충선력정원보절공신 #태위 #정동행중서성우승상 #부마 #왕거 #나얀대왕 #요수 #순성수정추충선력정원보절인량흥화봉경공신 #충렬 #동해 #안평공주 #순 #등비 #소명 #주나라 #고공단보 #태강 #안평 #탕목읍 #황고제국대장공주 #송 #요 #금나라 #고종 #원종 #민훤 #유청신 #첨의정승 #영왕 #제안부원대군 #왕용 #강양부원대군 #왕후 #단양부원대군 #왕유 #함녕부원대군 #삼중대광 #왕훈 #연덕군 #왕간 #화의군 #왕림 #익양군 #왕회 #통의군 #왕숙 #순정군 #왕정 #회인군 #보녕군 #중대광 #왕우 #왕관 #왕순 #왕이 #왕구 #원윤 #왕기 #왕희 #왕수 #올제이 #정윤 #최유엄 #수첨의정승 #대령군 #김혼 #판삼사사 #계림군 #첨의찬성사 #고흥군 #배정 #찬성사 #완산군 #김심 #밀직사 #북평군 #박의 #권보 #이호 #홍선 #김태현 #삼사우․좌사 #박경량 #김문연 #첨의평리 #조서 #조연 #지밀직사사 #채우 #권한공 #동지밀직사사 #박려 #권준 #밀직부사 #한악 #우대언 #곽원진 #좌대언 #홍수 #우부대언 #조위 #좌부대언 #홍규 #익성군 #허숭 #양천군 #이대순 #태안부원군 #전투멘테구스 #영인군 #김이랄타 #낙안군 #전테리 #함창군 #이숙 #평창군 #중모군 #박아부카 #계양군 #이바이티므르 #성산군 #유창록 #효녕군 #최흔장 #금성군 #정매살 #하동군 #이신 #영월군 #권고리 #봉화군 #임바얀투구스 #비인군 #이삼진 #회음군 #최단 #경원군 #행계림윤 #김윤 #검교평리 #충주목사 #송영 #제주목사 #장선 #광주목사 #재상 #목사 #김이 #유돈 #계림윤 #내고 #은 #민보 #평양부윤 #존무사 #자섬사 #연경궁 #김지숙 #경령전 #명종 #영통사 #해채 #건어 #건포 #불화 #인주 #판관 #설영임
-
충숙왕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春正月 庚寅 王訪僧萬恒于銀字院. 辛卯 轉般若經于延慶宮七日, 爲皇太后祈福. 癸巳 上王謁慶․高二陵. 上王下右獻納李樛, 右思補禹偁, 左思補尹頎于巡軍, 明日釋之. 時僧俗多有濫受職者諫官, 不肯署告身故也. 上王命宰樞及耆老, 議禘祫禮計定田民等事. 乙未 上王謁景靈殿, 還御康…#은자원 #만항 #연경궁 #반야경 #경릉 #고릉 #상왕 #우헌납 #이규 #우사보 #우칭 #좌사보 #윤기 #순군 #재추 #체협 #경령전 #강안전 #연등회 #남양부원군 #김지겸 #충근익대공신 #낙안군 #이호 #판삼사사 #오잠 #삼사사 #백이정 #첨의평리 #상의회의도감사 #이굉 #우상시 #강방언 #좌상시 #민적 #보문각제학 #원나라 #연복사 #조계종 #경린 #경총 #대선사 #이조은 #사보 #조홀도 #정권 #이부 #최여 #식목도감 #염세 #매 #개 #재보 #요역 #공전 #공호 #민지 #찬성사 #권보 #태조 #성균관 #양현고 #만승회 #백금 #금교역 #강릉도 #명주 #등주 #상호군 #학사 #이가노 #지밀직사사 #채홍철 #오도순방계정사 #내부령 #한중희 #부사 #민부의랑 #최득평 #판관 #양전 #제찰사 #묘련사 #베르케티무르 #왕륜사 #진왕 #흥천사 #영안궁 #내원당 #구요당 #초제 #의성창 #덕천창 #선원사 #묘통사 #선부의랑 #윤신걸 #사헌집의 #윤선좌 #전교령 #백원항 #신천 #선부직랑 #안규 #산랑 #밀직부사 #중서성 #이광봉 #예안군 #이지저 #오형 #민천도감 #이진 #권한공 #평리 #조간 #지밀직 #안우기 #성균제거사 #박사 #유연 #학유 #유적 #강남 #태자부참군 #남경 #판전교시사 #홍약 #보초 #언양군 #김문연 #김이 #동지밀직사사 #숙비궁 #세자부 #시학 #주영 #윤석 #현성사 #복령사 #가락군 #우산절 #풍산군 #왕안 #정양군 #최난수 #흥해군 #우부대언
-
충혜왕충혜왕 복위년(1339) 기묘년충혜왕 복위년(1339) 기묘년夏四月 戊午 王遣三司右尹金永煦如元, 獻畫佛. 五月 己未朔 王私置寶興庫. 辛酉 地震. 乙丑 王與公主, 移御萬戶印承旦第. 丙寅 王淫其舅三司左使洪戎繼室黃氏. 庚午 王蒸庶毋壽妃權氏. 辛未 王聞宦者劉成妻印氏美, 率丘天祐․康允忠, 幸其家, 命成進酒. …#삼사좌윤 #김영후 #원나라 #불화 #보흥고 #만호 #인승단 #삼사좌사 #홍융 #수비 #유성 #구천우 #강윤충 #순군만호 #전영보 #대호군 #손수경 #전윤장 #금은 #대정아 #인종황제 #덕릉 #경화공주 #영안궁 #의승 #복산 #열약 #조익청 #제주안무사 #윤환 #칠원군 #오자순 #해주 #홍서 #김경 #한부카 #이규 #승상 #재추 #권보 #행성 #태조성무황제 #충헌왕 #금산왕자 #카치운 #차라 #조충 #김취려 #헌종 #아릭부케 #세조 #양양 #충경왕 #안남국 #일본국 #제국대장공주 #충렬왕 #태위왕 #왕정 #왕도 #중서성 #김원상 #김찬 #낭장 #송명리 #노영서 #대행왕 #소유 #조적 #순군 #유방세 #서북면 존무사 #의주 #정주 #압록강 #호군 #강인 #정동성 #원외 #한테무르부카 #찬성사 #김인연 #정승 #강융 #단서관 #두린 #직성사인 #구통 #경화공주궁 #국인 #낙안군 #김지겸 #첨의평리 #김자 #홍빈 #조운경 #황겸 #백문거 #왕백 #주주 #조영휘 #이안 #한승 #장거재 #배성경 #정천기 #권정동성사 #제조도첨의사사 #김일봉 #신천
-
원종 14년(1273) 계유년14년 봄 정월 기미일. 왕이 사자를 경상도에 보내 전함(戰艦)의 건조를 독려하게 했다. 경신일.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김방경(金方慶)을 판추토사(判追討事)로,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변윤(邊胤)을 추토사(追討使)로 각각 임명했다.…
-
충선왕 2년(1310) 경술년봄 정월 초하루 기묘일. 왕이 원나라에 체류했다. 무자일. 언부전서(讞部典書)로 은퇴한 이행검(李行儉)이 죽었다. 기축일. 능침(陵寢)에 제사를 지내면서 해당 관청에서 희생물을 죽이지 않고 그대로 올리려하자 사헌규정(司憲糾正) 복기(…
-
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봄 정월 경인일. 왕이 은자원(銀字院)으로 승려 만항(萬恒)을 찾아보았다. 신묘일. 원나라 황태후의 만수무강을 기도하기 위해 연경궁(延慶宮)에서 이레 동안 『반야경(般若經)』 『반야경』 『금강경(金剛經)』․『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금강반야…
-
충혜왕 복위년(1339) 기묘년여름 4월 무오일. 왕이 삼사좌윤(三司左尹) 김영후(金永煦)를 원나라에 보내 불화(佛畵)를 바치게 했다. 5월 초하루 기미일. 왕이 사사로이 보흥고(寶興庫) 보흥고 충혜왕은 유비창(有備倉)과 보흥고를 병합하였다. 특히 충혜왕…
-
우왕 5년(1379) 기미년정월 을해일. 요동도지휘사(遼東都指揮司) 요동도지휘사 명나라 초 요동에 설치된 군사기구이다. 명 태조는 홍무 4년(1371) 반명 세력인 요양(遼陽) 평장(平章) 유익(劉益)의 투항으로 요동 통제에 성공한 후 정료도위지휘사사(定遼都衛指揮使司)를 설치하…
-
창왕 즉위년(1388) 무진년6월 신해일. 조민수(曹敏修)가 정비(定妃)의 교서(敎書)를 받들어 왕창(王昌)을 왕으로 옹립했는데 그 때 나이가 아홉 살이었다. 정비의 교서는 이러했다. “우리 태조께서 삼한(三韓)을 통일한 후 성군(聖君)들께서 왕위를 이어 늘 예로…
-
원종 14년(1273) 계유년十四年 春正月 己未 遣使于慶尙道, 督造戰艦. 庚申 以門下侍郞平章事金方慶判追討使, 樞密副使邊胤爲使. 壬戌 元使來, 王迎詔于宣義門, 其文, 用新制蒙古字, 人無識者. 使者云, “因林惟幹所奏, 求火熊皮也.” 癸亥 遣帶方侯澂, 諫議大夫郭汝弼如元, 謝許世子婚. 甲子 以元…
-
충선왕 2년(1310) 경술년二年 春正月 己卯朔 王在元. 戊子 讞部典書致仕李行儉卒. 己丑 有事于寢園, 有司欲不刑牲, 司憲糾正卜祺不可曰, “夫祭尙氣, 先迎牲, 殺於庭, 所以降神也. 若以生牲爲牢, 豈合於禮乎?” 於是, 宰而薦之. 是月, 王欲傳位世子, 密令人撰表於楊學士, 尋爲從臣所沮, 乃止. …
-
충숙왕 원년(1314) 갑인년春正月 庚寅 王訪僧萬恒于銀字院. 辛卯 轉般若經于延慶宮七日, 爲皇太后祈福. 癸巳 上王謁慶․高二陵. 上王下右獻納李樛, 右思補禹偁, 左思補尹頎于巡軍, 明日釋之. 時僧俗多有濫受職者諫官, 不肯署告身故也. 上王命宰樞及耆老, 議禘祫禮計定田民等事. 乙未 上王謁景靈殿, 還御康…
-
충혜왕 복위년(1339) 기묘년夏四月 戊午 王遣三司右尹金永煦如元, 獻畫佛. 五月 己未朔 王私置寶興庫. 辛酉 地震. 乙丑 王與公主, 移御萬戶印承旦第. 丙寅 王淫其舅三司左使洪戎繼室黃氏. 庚午 王蒸庶毋壽妃權氏. 辛未 王聞宦者劉成妻印氏美, 率丘天祐․康允忠, 幸其家, 命成進酒. …